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부활 3주 수요일-생명 강을 건너

by 당쇠 posted Apr 21,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내가 생명의 빵이다.
나에게 오는 사람은 결코 배고프지 않을 것이며,
나를 믿는 사람은 결코 목마르지 않을 것이다.
나는 마지막 날에 그들을 다시 살릴 것이다.”

지난 주일 하나원에 가서 새터민들과 함께 미사를 봉헌하며
강론 중에 한 가지를 아주 간곡히 부탁했습니다.
하나원을 나가면 다단계하는 사람들의 말을 절대로 믿지 말라고.

제가 대전에 있을 때 많은 새터민들이 이 다단계를 했습니다.
제가 하지 말라고 아무리 말해도
그들의 말이 얼마나 솔깃했는지 제 말을 듣지를 않는 것이었습니다.
신부는 절대로 거짓을 말하지 않고 진실만을 말한다는 것을
믿지 못하였던 것일까요?
아니면 제가 뭘 몰라서 그런다고 생각했기 때문일까요?
왜 그랬을까요?

남을 속이기 위해서는 정말 그럴 듯해야겠지요.
아담과 하와가 하느님께서 금한 과실을 따먹은 것은
좋고 탐스러웠기 때문입니다.
제 인생 경험에서도 저를 실족케 한 유혹들은 많은 경우,
입에 달고
귀를 즐겁게 하는 것들이었습니다.
그래서 냉큼 삼켜버립니다.
반대로 저를 성장케 하고 병든 저의 영혼을 치유한 것들은
입에 쓰고
정말로 받아들이기 힘든 것들이었습니다.
마치 입에 쓴 약과 같습니다.

주님께서 오늘 하신 말씀들이 얼마나 솔깃합니까?
주님은 우릴 결코 배고프지도 목마르지도 않게 하는 분이시랍니다.
이 말만 보면 매우 솔깃한데,
그런데 문제는 마지막 날에 우리를 다시 살리시겠답니다.
마지막 날에야 다시 살리겠다는 것이 문제이고
마지막 날에야 다시 살리시겠다는 것은
지금은 죽어야 한다는 것이기에 문제입니다.

사실 오늘 주님께서 당신에게 오는 사람은
결코 배고프지 않고 목마르지 않게 하시겠다고 하지만
당신에게 오려면 모든 것을 버리고
십자가를 져야 한다고도 하시지 않습니까?

이는 마치 강 건너편에 계시는 주님께 가는 것과 같습니다.
주님 계시는 강 건너편에 가기만 하면
거기에는 모든 것이 풍성합니다.
문제는 강을 건너야 합니다.
죽음과 생명의 강입니다.
죽으면 사는 강입니다.
홍해입니다.

주님께서 먼저 이 강을 건너셨습니다.
주님께서 강 건너편에서 손짓을 하십니다.
그러나 가야하나 말아야 하나 망설입니다.
가야 한다고 하나 언제 갈지 망설입니다.
마지막 날 살리겠다고 하시는데
그 마지막 날이 언제가 될지 두렵기도 합니다.
아무튼 주님은 오늘 생명 강 건너편에서 손짓을 하십니다.

가시렵니까?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넋두리 2010.04.21 21:57:37
    "내~가, 절망 속~에서, 주~께 아뢰나이다." 비신자였습니다. 신자가 된 지금 이 성가가 떠오르는군요. 제가 살고 있는곳에 아름다운 강이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이 아름다운 강으로 뛰어들고픈 순간이 있었답니다. 찰라적으로 나의 내면에서 그 강은죽음의 강으로 변했습니다. 그리고 제가 알지도 못하는 하느님을 불렀습니다. 잠시 후 고통이 사라지고 평화로웠습니다. 신음하며 나도모르게 소리내며 "하느님 아파요" 하는 소리가 저의 기도였습니다. 그후 세례를 받고 신앙인인지 아닌지 따지지도 않고 살다가 아주 오래전 판문점이라는 곳을 처음으로 가보게 되었고 그곳에서 북쪽으로 이어지는 낡고 낡은 다리를 보고 북쪽이 보고싶어 함께했던 가족에게 '우리 저 다리 건너가보자' 하였더랬지요. 한민족인 그쪽 사람들이 정말 나쁜 사람들일까? 우리가 그곳에 가면 정말 우리를 죽일까? 하는 마음도 동시에 들었지요. 그러나 어렸을때의 교육이 생각났습니다. 그곳에 가면 돌아올 수 없는 다리라는... 그때 옆에서 동생이 말렸습니다. 그래서 가지 못했지만 아뭏튼 저에게는 약간의 무모함도 있었음을 인정합니다. 지금 함께해준 가족들에게 감사함을 느낍니다. 그리고 저에게는 기다림도 깨어 있어야 함도 필요합니다. 항구한 마음으로....
  • ?
    홈페이지 요셉 2010.04.21 21:57:37
    그렇지요.

    우리가 몰라서 못하는 것도 있지만
    사실 알면서도 실천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가 아닌가,
    제 자신부터 정직하게 돌아보면 그래요.

    이론적으로는 신앙인인지 모르지만
    실천이 없다면 실천적 무신론자라고 말해야겠지요.

    갈망하는 자 만이 성숙한다 하니
    우리 함께 아픈 다리 서로 기대며 먼저 앞장서 가시는
    분들의 “발자취를 따라서” 가기로 해요.
    마니또님!, 뭉게구름님!
    고맙습니다.
  • ?
    홈페이지 뭉게구름 2010.04.21 21:57:37
    죽음의 강을 건너가면
    영원한 생명이 손짓을 하는데도


    멍청하고 용기가 없으니
    죽음의 강을 바라만 보고
    발 만 동동 거리고 있습니다.
  • ?
    홈페이지 마니또 2010.04.21 21:57:37
    함께 가자 우리 이길을~♪ 사랑 속에 형제 모아 ♬~
    김남주 시인의 詩...가사가 무척 좋지요?
    제가 좋아하는 민중가요인데 오랫만에 들어봅니다^^
    안치환씨 목소리가 들리네요.
    노찾사보다는 안치환씨 노래로 들을 때 더 좋은것 같아요^^

    신부님! 강을 건너 가고는 싶은데, 어떻게 건너야 하는지 몰라서요..ㅎㅎ
    앞장서서 가시면 전 그냥 신부님 뒤따라 건너갈께요..^^
  • ?
    홈페이지 요셉 2010.04.21 21:57:37
    그렇습니다.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사랑 속에 형제 모아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형제의 손잡고
    가로 질러 들판 산이라면 어기 어차 넘어주고
    사나운 파도 바다라면 어기 어차 건너 주자

    해 떨어져 어두운 길을 서로 일으켜주고
    가다 못가면 쉬었다 가자 아픈 다리 서로 기대며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마침내 하나 됨을 위하여‘
    물음에 대한 답변이 되셨는지요?

    주님 부활의 아침을 맞이하기 위해
    하루같이 새벽을 일찍 여는 님들의 고단함과
    독방의 고독이 존재하기에 우리가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