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11월 12일 토요일


길게 하는 기도가 아니라 끊임없이 하는 기도가 중요하다
주님께서는 복된 삶을 얻기 위해 기도하라고 가르치셨습니다. 그러나 말을 많이 하면 더 잘 들어주시는 줄로 생각하고 많은 말로 기도하지 말라고 가르치셨지요마태 6,7-8 참조). 주님께서는 “그분은 우리가 청하기도 전에 무엇이 필요한지 알고 계신다”고 하셨습니다. 이렇게, 청하기도 전에 무엇이 우리에게 필요한지 아신다면서 많은 말로 기도하지 말라고 하시고는 또 계속 기도하라고 이르시는 것은 좀 이상해 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게다가 “낙심하지 말고 끊임없이 기도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면서 불의한 재판관에게 지치지 않고 계속 졸라 대어 결국 자신의 말을 듣게 만든 과부의 예를 드셨지요. 그 여자가 재판관의 마음을 움직인 것은 정의나 동정심에 호소해서가 아니라 지치지 않고 졸라댔기 때문입니다.
이 이야기에서 우리는, 쉬지 않고 기도하면 자비롭고 의로우신 하느님께서 반드시 들어주신다는 것을 배웁니다. 불의하고 사악한 재판관 조차 끊임없이 청원하는 과부를 모른척 할 수 없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


50가지 예수 모습 / 안셀름 그륀
19. 빵 예수
우리가 굶주릴 때 먹고 싶은 것 우리의 양식이 되는 것이 빵이다. 그걸 먹어야 살 수 있다. 빵은 우리가 일상을 영위할 수 있도록 힘을 준다. 사막을 유랑하던 시절 유다인들은 굶주림에 지쳐 빵이 간절했다. 그때 하느님께서 손수 그들에게 빵을 내려주셨다. 하늘에서 만나를 내려주셨다. 유다인들은 사막을 헤매면서 이 만나로 배고픔을 달랬다. 예수님은 당신이 바로 우리의 배고픔을 달래주는 빵이라고 말씀하신다: “내가 생명의 빵입니다. 내게로 오는 이는 결코 배고프지 않을 것이고"(요한 6,35). 예수님의 이런 주장은 당시 유다인들을 자극시켰다. 예수님은 당신을 “빵”이라는 인격체로 지칭하셨다.
우리의 극심한 굶주림을 달랠 수 있다는 뜻으로 말씀하신 것이다.
뵐의 소설에 등장하는 케테 보그너 부인 같은 여자는 이 말뜻을 이해한다. 그녀는 예수님이 가난한 삶을 사는 자신에게 희망을 밝혀 줄 분이라는 사실을 안다. 그녀는 성당의 지루한 강론에 감동을 받지 못하지만 “사방에 울려 퍼지는, 걸걸한 목소리의 한 흑인의 노래에” 감격한다: “그리고 그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네"(103)


금주간 성서읽기 1테살 3-5장 / 2테살 1-3장 / 히브 1장


이름 없는 하느님, 김경재
예수와 바울의 유일신 신앙
예수의 유일신 신앙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셨다” (요한, 1 : 14)라는 저 유명한 성경 구절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 ‘성육신 신앙'을, 고대 신화적 세계관에서 흔했던 신이 인간 몸을 입고 잠시 인간 세상에 환생한 경우처럼 이해하면 큰 잘못이다. 위의 말은 예수라는 인간의 말씀과 행태 , 곧 그의 전 존재가 하나님의 뜻과 혼연일체가 되어 살았던 분에 대한 신앙 고백적 표현이다. 역사적 예수를 가장 가까이 모시고 살았던 베드로를 비롯한 열두 제자나 사도 바울은 예수가 ‘다윗의 혈통을 타고, 나사렛 동네에서 자란' , 자기들과 같은 유대인 중 한 사람이라는 것을 추호도 의심하지 않았다. 하나님이 그분을 지극히 사랑하고 성령을 물 붇듯이 부어주시고, 죽음의 권세에 매어 있을 수 없는 외롭고 진실한 분 이었기에 하나님이 그분을 즉음으로부터 일으켜세워 만인의 구주가 되도록 높이셨다고 증언할 뿐이다.
둘째, 예수는 이스라엘 백성이 율법서 <토라>인 <신명기> 6장 4一5절에 나타나는 구절이 모든 율법의 핵심 정신임을 갈파하여 모세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유일신 야훼 신앙을 확인하셨다.(47)
----------------------------------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수도회 한국관구
에페소 기도의 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