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복음에서 나병 환자가 주님께 나아옵니다.
나병환자가 주님께 나아오는 데는 두 가지 믿음이 전제되어있습니다.
하나는 병을 고쳐주실 수 있다는 믿음이고
다른 하나는 거절하지 않으시리라는 믿음입니다.
능력에 대한 믿음과 자비에 대한 믿음입니다.
오늘 복음에 나오는 나병환자의 말은 듣기에 따라 신앙고백이 아니라
고도의 심리적 언사로 들릴 수 있습니다.
인간의 심리를 이용하여 필요한 것을 얻어내는 언사 말입니다.
어렸을 때 어떤 친구로 하여금 무엇을 하게 할 때
두 가지 방법을 쓰곤 했습니다.
하나는 “얘는 이것 못해!”하고 약을 올리면
그 친구는 자존심 때문에 할 생각이 전혀 없던 일도 하고
자기 힘에 부치는 일도 무리를 하면서 합니다.
다른 방법은 “얘는 이것 잘 하니까 할 거야!”하고 추어주면
그 친구는 체면 때문에 하기 싫은 것도 하고
자기 힘에 부치는 것도 무리를 하여 합니다.
그러나 오늘 복음의 나환자는 주님을 심리적으로 이용할 만큼
예수님보다 우세한 입장에 있지 않았을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최 약자로서 사람들 가운데 끼이지도 못하는 처지였고
사람들 앞에 모습을 나타낼 수도 없는 처지였습니다.
그러니 그가 예수님 앞에 나아온 것은
뭇사람들의 따가운 시선도 무릅쓸 정도의 절박한 사정 때문입니다.
하느님과의 대면은 이렇게 인간의 시선을 초월해야 합니다.
인간의 시선을 신경 쓰는 한
대면은커녕 하느님 옷자락도 못 볼 것입니다.
다른 사람의 시선에 나의 시선을 뺏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하느님께 대한 나의 시선을 사람들에게 뺏기지 않으려면 나환자처럼 가난한 사람, 약한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가진 사람, 지위가 있는 사람들이 인간의 평가와 시선을 신경 쓰기에
인간의 시선 때문에 하느님께 나아가지 못한다면
우리는 아직 배가 부른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가난한 사람, 사회적 약자로서
염치불구하고, 체면불구하고 하느님께 나아가야 합니다.
하느님께 나아가기 위해서는
하느님의 능력에만 절대적인 희망을 걸고 믿어야 합니다.
믿음이 희망을 주기도 하지만 반대로 희망이 믿게 하기도 합니다.
다른 모든 것에서 희망이 어긋났을 때
우리는 하느님께 모든 희망을 걸고 의탁합니다.
이 의탁이 믿음의 다른 이름입니다.
치유의 수단이 많으면 어느 치유도 믿지 못합니다.
그렇기에 부자가 가난한 사람보다 상대적으로 믿음이 부족합니다.
간경화로 세상을 뜬 제 친구의 경험이 있습니다.
간신히 사제로 서품되었지만 한 번도 신자들과 미사를 드릴 수 없었기에
이를 아는 많은 신자들이 너무 안타까워하였고
사랑의 마음으로 이게 좋다, 저게 좋다고
갖가지 치료법을 소개하는 것이었습니다.
친구는 새로운 치료법이 소개될 때마다
지금까지 하던 치료법을 불신하게 되었고,
결국 어떤 치료법도 믿지 못하고
어떤 치료도 꾸준히 받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도 하느님 치유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으로
다른 것에 대한 희망을 과감히 끊어내야 합니다.
하느님께 나아가기 위해 우리는 하느님의 선의를 의심치 말아야 합니다.
우리가 하느님께 나아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하느님의 능력을 믿지 못하기 때문이 아니라
하느님의 선의를 믿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종종 너무 청하기만 하는 우리를
하느님께서 싫어하시고 귀찮아하신다고 생각하곤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넌센스입니다.
하느님은 우리에게 더 좋은 것을 주기 위해 덜 좋은 것은 거절할지언정
진정 우리에게 좋고 필요한 것을 거절하실 리가 없습니다.
하느님의 선의를 믿지 않는다면
아마 그것이 하느님께 대한 가장 큰 모욕이 될 것입니다.
나병환자가 주님께 나아오는 데는 두 가지 믿음이 전제되어있습니다.
하나는 병을 고쳐주실 수 있다는 믿음이고
다른 하나는 거절하지 않으시리라는 믿음입니다.
능력에 대한 믿음과 자비에 대한 믿음입니다.
오늘 복음에 나오는 나병환자의 말은 듣기에 따라 신앙고백이 아니라
고도의 심리적 언사로 들릴 수 있습니다.
인간의 심리를 이용하여 필요한 것을 얻어내는 언사 말입니다.
어렸을 때 어떤 친구로 하여금 무엇을 하게 할 때
두 가지 방법을 쓰곤 했습니다.
하나는 “얘는 이것 못해!”하고 약을 올리면
그 친구는 자존심 때문에 할 생각이 전혀 없던 일도 하고
자기 힘에 부치는 일도 무리를 하면서 합니다.
다른 방법은 “얘는 이것 잘 하니까 할 거야!”하고 추어주면
그 친구는 체면 때문에 하기 싫은 것도 하고
자기 힘에 부치는 것도 무리를 하여 합니다.
그러나 오늘 복음의 나환자는 주님을 심리적으로 이용할 만큼
예수님보다 우세한 입장에 있지 않았을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최 약자로서 사람들 가운데 끼이지도 못하는 처지였고
사람들 앞에 모습을 나타낼 수도 없는 처지였습니다.
그러니 그가 예수님 앞에 나아온 것은
뭇사람들의 따가운 시선도 무릅쓸 정도의 절박한 사정 때문입니다.
하느님과의 대면은 이렇게 인간의 시선을 초월해야 합니다.
인간의 시선을 신경 쓰는 한
대면은커녕 하느님 옷자락도 못 볼 것입니다.
다른 사람의 시선에 나의 시선을 뺏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하느님께 대한 나의 시선을 사람들에게 뺏기지 않으려면 나환자처럼 가난한 사람, 약한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가진 사람, 지위가 있는 사람들이 인간의 평가와 시선을 신경 쓰기에
인간의 시선 때문에 하느님께 나아가지 못한다면
우리는 아직 배가 부른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가난한 사람, 사회적 약자로서
염치불구하고, 체면불구하고 하느님께 나아가야 합니다.
하느님께 나아가기 위해서는
하느님의 능력에만 절대적인 희망을 걸고 믿어야 합니다.
믿음이 희망을 주기도 하지만 반대로 희망이 믿게 하기도 합니다.
다른 모든 것에서 희망이 어긋났을 때
우리는 하느님께 모든 희망을 걸고 의탁합니다.
이 의탁이 믿음의 다른 이름입니다.
치유의 수단이 많으면 어느 치유도 믿지 못합니다.
그렇기에 부자가 가난한 사람보다 상대적으로 믿음이 부족합니다.
간경화로 세상을 뜬 제 친구의 경험이 있습니다.
간신히 사제로 서품되었지만 한 번도 신자들과 미사를 드릴 수 없었기에
이를 아는 많은 신자들이 너무 안타까워하였고
사랑의 마음으로 이게 좋다, 저게 좋다고
갖가지 치료법을 소개하는 것이었습니다.
친구는 새로운 치료법이 소개될 때마다
지금까지 하던 치료법을 불신하게 되었고,
결국 어떤 치료법도 믿지 못하고
어떤 치료도 꾸준히 받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도 하느님 치유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으로
다른 것에 대한 희망을 과감히 끊어내야 합니다.
하느님께 나아가기 위해 우리는 하느님의 선의를 의심치 말아야 합니다.
우리가 하느님께 나아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하느님의 능력을 믿지 못하기 때문이 아니라
하느님의 선의를 믿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종종 너무 청하기만 하는 우리를
하느님께서 싫어하시고 귀찮아하신다고 생각하곤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넌센스입니다.
하느님은 우리에게 더 좋은 것을 주기 위해 덜 좋은 것은 거절할지언정
진정 우리에게 좋고 필요한 것을 거절하실 리가 없습니다.
하느님의 선의를 믿지 않는다면
아마 그것이 하느님께 대한 가장 큰 모욕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