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름이 있는 곳에 생명이 존재한다.
흐름이 있는 곳에 생명이 존재한다. “성전 오른편에서 흘러내리는 물, 그 물이 닿는 곳마다 생명이 존재한다.” (에제키엘 47,1-12) 하느님의 선하심이 나를 통하여 너에게 흘러가는 곳에 영적 생명이 있듯이 흐름이 있는 관계에 영의 활동이 있고 생명이 존재한다.
무한한 사랑으로 자신을 온전히 내어놓는 사랑에 찬 관계성, 하느님의 세 위격 사이에서 오가는 사랑의 흐름이 생명의 에너지를 분출하기에 선은 스스로 퍼지고 옮아가는 것이다. 선의 흐름 속에서 서로를 비추는 반사된 선을 바라볼 때마다 새로운 앎이 시작되는 것이다. 인간이 가진 참된 지식은 그렇게 생명으로 인도한다. 관계 속에서 사랑의 흐름을 경험할 때 분출되는 기쁨을 감출 수가 없다. 주님의 영이 서로에게 깊은 만족을 주기 때문이다.
죄는 죄를 보지 않으려는 곳에 숨어있으며 상호성을 거부하는 단절을 숨기려고 겉으로 보이려는 변장술로 자신을 감춘다. 위장된 선, 과장된 선, 포장하고 꾸민 선, 스스로 높인 선으로 자비의 흐름을 멈추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죄에 빠진 사람은 자만심이라는 감옥에 갇혀서 그것을 죄라고 생각조차 하지 않는다. 자아도취의 중독에 빠져있기 때문이다. 자신을 폐쇄하고 닫아버리고 오히려 자비의 흐름을 막는 것이 자신의 우월성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우리를 인도해주는 깊은 내면의 흐름과 연결고리를 거부하고 성령 안에서 주고받음에 민감하지 않을 때 우리는 성령을 거스르게 되며 용서받을 수 없는 죄에 직면하게 된다. 영의 활동을 거부하기 때문이다. 성프란치스코는 그의 권고에서 “누구든지 주님이 형제 안에서 말씀하시고 이루시는 선을 보고 형제를 질투하면, 모든 선을 말씀해 주시고 이루어 주시는 지극히 높으신 분을 질투하는 것이기에(참조: 마태 20, 15) 하느님을 모독하는 죄를 범하는 것입니다.” (성프란치스코의 권고 8)
자비는 자비를 낳는다. 자비의 흐름 속에 잉태된 말씀이 관계 속에서 태어나기 때문이다. 성프란치스코는 형제들에게 “영의 활동을 마음에 간직”하는 것을 우선성에 두라고 강조하셨다. 단절은 일반적으로 죄처럼 다루지 않고 예의범절처럼 사소하고 가볍게 여기거나 자신의 방어 수단으로 다룬다. 그렇기에 고백성사를 준비할 때 성찰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죄를 율법적 해석으로만 생각한다. 그러나 선의 흐름을 막는 단절이야말로 가장 큰 죄의 영역에 속하지 않는가?
흐름은 이미 일어나고 있으며 멈출 수도 없다. 하느님의 자비와 선하심의 흐름을 막는다는 것은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눈앞의 이익과 즐거움과 편안함 앞에서 망설임 없이 단절을 택한다. 이러한 죄는 보편적이기에 “모두가 죄인”이라고 성서는 말한다. 우리가 자비가 흐르게 하는 도구적 존재요 회개하는 자의 생존 수단이라는 사실을 확실하게 받아들이지 않으면 생명의 현장에서 죽음을 경험할 수밖에 없다. 외톨이가 되어 우울하고 외롭고 자기파괴에 이르는 중독성 있는 대체를 찾다가 파국에 직면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건강한 믿음은 자신의 연약함과 무력함과 유약한 내면의 현재를 변화와 성장의 기회로 삼는다. 이는 하느님을 받아들이고 너를 받아들이고 피조물을 받아들여 주님의 영이 자신을 지배하도록 자신의 자유를 그분의 손에 내어 맡기는 믿음에 기초를 두기 때문이며, 남이 나를 사랑하기 쉽도록 나를 개방하는 위험을 감수하기를 선택하기 때문이다. 관계의 상호성에서 반사된 선은 서로를 해방하고 자유를 준다. 자신을 내어주고 비우고 받아들이는 가운데 생명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넘쳐흘러 새로운 창조를 이루는 관계의 혁명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삼위일체 하느님을 닮은 모습은 그렇게 상호성 안에서 기쁨에 넘쳐 소통하고 환대하고 일상의 고난을 감수하면서 살아간다. “온유하고 겸손하신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배움과 “편한 멍에와 가벼운 짐”이 자비의 흐름 안에서 서로에게 생명을 선물로 주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