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들아, 주님의 훈육을 하찮게 여기지 말고, 그분께 책망받아도 낙심하지 마라.
주님은 사랑하시는 이를 훈육하시고 아들로 인정하시는 모든 이를 채찍질하신다.
여러분의 시련을 훈육으로 여겨 견디어 내십시오.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을 자녀로 대하십니다. 아버지에게 훈육받지 않는 아들이 어디 있습니까?”
오늘 히브리서는 ‘내 아들아’로 시작합니다.
이 말이 너무도 따듯하게 마음에 와닿습니다.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셔서 아버지를 모르는 저는,
그리고 아버지 훈육을 한 번도 받아본 적이 없는 저는
아버지로부터 ‘아들아’라는 말을 들어보고 훈육을 받아보는 것이 원이었지요.
저는 그랬는데 모두 그런 것이 아닌가 봅니다.
며칠 전 형제들과 대화하다가 이런 얘기를 나눈 적이 있습니다.
폭력 아버지라도 아버지가 있는 것이 좋은가,
그런 아버지라면 없는 것이 차라리 나을까.
그런 아버지라면 없는 것이 차라리 낫다는 것이 대체적인 생각이었는데
얘기를 들어보니 훈육이 아니라 폭력을 받은 사람에게는 그럴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그에게는 아버지가 아니라 원수라고 하는 것이 낫겠지요?
내 인생을 망가뜨리고 근원으로부터 무너뜨리는 존재이니 말입니다.
그래서일까 많은 사람이 훈육의 좋은 경험이 없고,
그래서 훈육받는 것을 기꺼워하지 않고 고맙게 생각지 않습니다.
그러나 부모로부터 받은 훈육의 좋은 경험이 있을지라도
그리고 나쁜 경험이 없을지라도 훈육은 본래 기꺼운 것이 아니고,
그래서 하느님의 훈육일지라도 그것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잘하고 잘 사는 아들에게는 부모가 칭찬하고 격려하지
책망하거나 훈육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머리가 이미 굵어 훈육받을 위치에 있다고 생각지 않고,
훈육을 기꺼이 받아들일 만큼 겸손하지 않기 때문이고
무엇보다도 훈육을 사랑으로 받아들이지 않거나 못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훈육을 기꺼이 받아들일 정도로 겸손한 사람은
인간적으로도 성인(成人)이고 신앙적으로도 성인(聖人)일 것입니다.
성인(成人)은 훈육이나 책망을 자기 성숙(成熟)의 기회로 삼고,
성인(聖人)은 훈육이나 책망을 자기 성화(聖化)의 기회로 삼으며,
인간의 훈육이나 질책도 하느님의 훈육과 질책으로 받아들입니다.
강론하셨는지 비교하면 더욱 풍성한 내용을
알 수 있으리라는 생각으로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