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9589 추천 수 1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제 목 : 론다니니의 피에타(1556- 1564)
작 가 : 미켈란젤로 부르나요티
크 기 : 191cm :(대리석)
소재지 : 이태리 밀라노 스포르체스코 성

미켈란젤로의 말년은 성공한 인간의 모델이었다. 타고난 천부의 재능과 더 나은 작품을 창조하기 위한 지칠 줄 모르는 열정, 거기에다 하늘이 내려준 건강으로 당시로서는 드문 89세의 장수를 누리면서, 유럽의 실세였던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과 교황청 사이를 재치 있게 넘나들면서 자신의 기량을 한껏 과시할 수 있는 작품 활동에 몰두할 수 있었고 덕분에 그가 새로운 작품을 제작할 때 마다 세상을 경탄케 하는 걸작으로 평가받곤 했다.

이렇게 되자 그의 말년에 유럽 예술계에서 미켈란젤로의 권위는 절대적이어서 젊은 예술가들은 모두 그를 자기들의 이상을 담고 있는 신처럼 숭배했고 교황들도 그의 능력을 인정해서 잇달아 작품을 의뢰하며 그를 왕자처럼 대우했다.

그러나 그는 안타깝게도 보통 많은 재능을 타고난 사람이 가졌던 여유로움이 없이 항상 더 높이 오르고자 하는 욕망에 시달리는 삶을 살아야 했다. 주위의 경쟁자를 대범히 보지 못하는 경쟁심과 질투심을 타고 났기에 당시 쌍벽을 겨루던 레오나르도 다빈치와는 평생 앙숙 관계에 있었으며, 그전에 이미 경쟁 처지에 있던 친구와 언쟁을 벌리다 심하게 얻어맞아 코가 삐뚤어진 상처를 얻은 것처럼 그의 일생은 대단한 재능 속에서도 자신의 분별없는 욕망이 만든 투쟁과 갈등의 편치 않은 삶이었다.

나이가 들어도 그의 불같은 성격은 변함이 없었고 예술가로서 최고의 명예와 안정을 누리면서도 마음속으로 끊임없이 피를 흘렸고 영혼은 고독했으며 생각은 어둡고 슬픔에 잠겨 있었다.


그가 모든 경쟁자들을 다 물리친 성공의 정상에 이르렀다고 생각했을 때야 그는 자신의 과거의 그림자를 발견하게 된다. 자신의 부질없었던 정열과 야심으로 얼룩진 상처의 과거를 뉘우치면서 신앙에로 눈을 돌리게 된다.

젊은 시절, 피렌체의 회개를 외치다 화형당한 사보나롤라의 설교에 감동을 받기도 했으나, 그의 예술에 대한 열정과 일류로서 비약하고픈 욕구는 신앙의 씨가 자라기에 너무도 강해서 그의 신앙은 여느 동시대 사람들처럼 형식적 수준에 머물고 있었다.

그전까지 그는 종교적인 주제를 많이 다루었으나 이것은 종교적 주제를 통해 자신의 예술성을 과시하고 인정받는 것이었기에 그의 작품은 비록 그것이 종교적 주제라도 신앙보다 예술적 표현을 더 중요시했으며, 이 단적인 예가 <성화해설 26번>으로 소개되고 있는< 최후의 심판>이다.

최후심판은 작가가 61세의 노년기 시작의 작품이나 문화사에서 새로운 획을 긋게 되는데, 성스러운 장소인 성당에 나체상을 그림으로서 예술이 신앙의 표현 수단이 아닌 신앙이 예술적 영감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변질시킬 만큼 그의 신앙은 미약한 것이었으나 나이가 들어가면서 그의 신앙은 순화되었다.

자신이 지은 다음과 같은 시에 그의 신앙심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주님 저의 최후의 순간에 제 손이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 십자가에 달려계신 당신의 팔을 향하게 하옵소서. 당신은 무모한 열정에 사로 잡혀 어리석은 젊음을 보낸 저를 두 팔로 안아 들임으로서 죄인의 회개를 그토록 갈망하신 당신에게 기쁨이 되게 하소서.

십자가에서 당신이 흘리신 그 보배로운 피로 내 모든 죄와
허물을 씻으시어 당신 빛의 광채로 변화시켜 주소서. 내 일생의 모든 허물을 용서하시어 늦게나마 진실에 눈뜬 내 인생이 더 풍요로워지게 하소서.”

이 작품은 작가가 임종을 맞기 3일 전까지 매달렸던 최후의 작품이며 웅대한 여러 작품에 비해 습작처럼 보이나 이 작품에서 작가의 일생을 읽을 수 있다.

‘론다니니’라는 이름은 이 작품이 로마의 궁전에 있던 것이기에 붙여진 것이다. 화가 ,건축가, 조각가로서 작가는 일생 동안 여러 권력자나 실력자들로부터 수많은 작품을 의뢰받아 이것을 다 소화할 수 없는 처지의 삶을 살아야 했다. 그런데 작품만은 누구의 주문이나 요청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신을 위해 제작한 것이기에 작가의 일생과 마지막 염원이 정확히 표현된 작가의 이력서로 볼 수 있다.

그는 작가로서의 시작을 <성화해설 43번>으로 소개되고 있는 피에타로 시작해서 이 작품 제작으로 일생을 마무리 했다. 그는 이 두 작품 외에 1547년경 자신의 무덤 장식용으로 <피렌체의 피에타>를 제작하기도 했으나 서로의 성격이 전혀 다른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그가 마지막으로 손댄 미완성인 이 작품은 그의 인생과 신앙관이 집약되어 표현된 것이기에 그의 전체 작품의 마무리로 볼 수 있는 중요하고 가치 있는 것이다.


인생 말년에 쓴 작가의 시(詩) 메아 꿀빠(Mea culpa)에서 자신의 허탈한 심정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 내 인생 여정은 연약한 배를 타고 폭풍우 치는 바다를 거쳐
마침내 모든 이가 도착하는 항구에 이르렀습니다.
이 곳은 모든 이들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
잘한 것이든, 잘못한 것이든 자신의 모든 과거의 행업이 드러나면서
하느님의 심판대 앞에 서야함을 느끼면서
나는 자신의 과오에 눈뜨게 되었습니다.

이제야 나는 예술을 우상이나 전제 군주로 만드는 게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를 깨달았습니다.
이 부질없는 상상력 때문에 나는 내 인생에 아무 쓸모가 없는
해로운 것에 열광하며 몰두했습니다.

공허하지만 행복했던 사랑에 대한 예전의 생각에서
이제는 벗어나야 할 때가 되었음을 느끼게 됩니다.
나는 이제 두 개의 죽음을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누구나 당하게 될 육신의 죽음은 담담히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지만, 일생을 거쳐 엮어진 나의 행업을 헴바쳐야 하는
하느님의 심판으로 이어지는 마지막 죽음을 생각하면
나는 두려움에 떨게 됩니다.

그동안 나의 삶에 큰 힘을 주었던 어떤 회화도 조각도
더 이상 내 영혼에 위로와 생기를 줄 수 없습니다.
나의 영혼은 이제 십자가 위에서 우리 죄인을 껴안기 위해
두 팔을 벌리고 있는 하느님의 사랑을 향해 열려 있습니다.”


이런 그의 인생이 한 여인과의 만남을 통해 새로운 계기를 맞게 된다. 불안과 허망감으로 이어지는 상처투성이의 그의 인생을 이해해준 페스카라 후작 부인인 빅토리아 콜론나(Vittoria Colonna) 였다. 64세인 작가가 그녀를 처음 만났을 때 그녀는 47세의 나이였으나, 고귀한 인품과 열렬하면서도 성숙한 신앙, 우아한 자태, 생기 넘치는 아름다움을 간직한 그가 추구하던 이상적인 면모를 지닌 여인이었기에 둘의 사이는 급속도로 가까워지면서 서로의 인생을 나누게 된다.

독신자로서 괴팍스럽고 타협을 모르는 그의 외골수 성격 때문에 화려한 명성 속에서도 항상 고독한 삶을 살아야 했던 그의 말년은 그녀와의 순수하면서도 열렬한 우정을 통해 새로운 지평이 열리게 되었다. 1538년 이후 이들의 우정은 계속되었고 그녀가 중심이 된 모임을 통해 열성적인 신앙인들을 만나게 되었으며 이것은 그의 인생과 작품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그녀는 남편을 사별한 후 1541년 비테르보(Vitterbo)의 수녀원에 들어갔으나 그들의 우정은 그녀가 죽기까지 계속되었다. 고매한 인품과 신앙을 지닌 그녀와의 만남을 통해 작가의 작품은 예술을 위한 작품이 아닌 신앙의 표현으로 탈바꿈하기 시작했다.

1547년 그녀가 사망했을 때 그는 미친 사람처럼 슬퍼하며 괴로워했다. 그에게 소중한 인생을 열어준 친구를 죽음으로 떠나 보내야 했던 인간적인 슬픔과 상실감을 통해 체득한 신앙의 정수를 이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다.

가장 큰 슬픔과 고통이 있는 곳에서 가장 순수하고 맑은 사랑이 탄생하게 되는데, 작가는 이 작품의 주제인 십자가 아래서 성모자의 만남이야 말로 신앙의 가장 순수하고 완벽함을 드러내는 것으로 보고 자신의 마지막 정열을 쏟아 이 작품을 제작했다.


성모님은 바위에 올라선 자세로 죽은 아들을 뒤에서 껴안고 있다. 이 자세로 봐서 성모님은 참혹한 죽음을 맞은 아들을 부축하는 것이 아니라, 너무도 큰 슬픔 앞에 자신을 가눌 수도 없기에 주님께 업혀 의지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것은 43번에서 소개되는 피에타와 전혀 다른 모습이다. 여기에서 성모님은 십자가에서 비참한 죽음을 맞은 아들을 믿음직하게 안고 계신다. 아들을 편안히 눕히기에 족히 벌어진 무릎에 아들을 안은 성모님의 손 역시 아들의 모든 상처를 어루만지고 치유할 만큼 강인하고 힘 있는 모습이다.

그러나 여기에 성모님은 너무 슬픔에 겨워 더 이상 아들을 위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무력한 모습으로 오히려 아들을 의지하고 계신다. 십자가에 처절한 죽음을 맞으신 예수님은 의지하는 자세로 왼쪽 어깨위에 올리고 있는 어머니를 응시하고 계신다.

그리스도는 죽은 것 같지는 않게 반쯤 눈을 뜬 자세이다. 자기 때문에 너무 상심한 어머니를 위로하고 도와야 한다는 일념에 차마 눈을 감지 못하는 충실한 아들의 모습이다.

이 모자의 극단의 고통, 서로 우열을 분간키 어려운 슬픔과 고통을 통해 모자는, 마치 성모님이 예수님을 잉태하시던 때 한 몸이 되었듯이 하나의 돌에 두 사람이 한 덩어리가 되어 있다.


pieta2.jpg

수많은 작가들이 이 주제로 십자가의 죽음 앞에선 성모님과 예수님의 고통을 다루었으나 이 작품만큼 고통의 심원한 의미를 제시한 것은 없었다.

어느 작가의 작품에서 드러나고 있는 것 보다 더 큰 고통의 모습을 보이시는 성모님이지만 참혹한 죽음을 맞은 사랑하는 자기 아들을 잊을 수 없기에 처참한 아들의 얼굴을 응시하고 계신다.

성모님은 당신 아들의 공생활이 시작되면서 많은 기적과 치유로 놀라운 말씀으로 사람들을 경탄시키는 것을 보았을 때 여느 어머니처럼 너무 신나고 기뻐 여느 어머님처럼 아들을 따라다니며 그 곁에 있고 싶어 했으나 이런 어머니의 간절한 마음을 모르시는듯 주님의 태도는 너무 매정하셨다.

너무 아들을 보고 싶은 일념으로 가까운 회당에서 강의 하신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가 측근을 통해 아들 예수님을 잠시 만나고 싶다는 전갈을 보냈을 때 예수님의 대답은 하늘이 무너지듯 매정스러운 것이었다.

“누가 내 어머니이며 내 아들인가,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이 바로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이다.”(마르코 3, 31- 35)

이 순간 성모님은 너무도 슬프고 아프셨다. 사랑하는 당신 아들이 하느님의 아들이시고 하늘나라를 전해야 하는 소명을 알면서도 육신의 어머니로서 너무 큰 아픔의 눈물을 흘리시며 돌아서야 했다.

이제 그토록 가까이서 보고 싶던 사랑하는 아들을 곁에서 지키면서 안을 수 있으니, 성모님은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은 슬픔 속에서도 이제 아들이 자기와 함께 있다는 어머니로서의 감회를 느꼈을 것이다. 성모님의 시선은 너무도 처참한 모습이나마 다시는 이별이 없는 아들의 처지로 돌아온 예수님을 슬프지만 안심스러운 눈빛으로 응시하고 계신다.

이 작품의 특징은 미완성적인 표현에 있다. 르네상스의 기법은 모든 것에 완벽을 기하는 것이기에 색채나 형상 어느 한곳에도 손댈 곳이 없는 완성된 모습이나 여기엔 미완성의 부분이 너무도 많다. 아들의 형상, 어머니의 모습 어디에도 완성된 곳이 없이 마치 작업이 진행 중인 작품과 같은 모습으로 남아있다.

기라성 같이 완벽하고 웅대한 작품들을 완성해서 사람들을 경탄시킨 작가가 인생의 마지막에 이 작품을 완성하면서 미완성으로 남긴 것은 그의 인생 이해에 큰 도움이 된다. 이 작품을 시작하면서 작가는 과거처럼 완벽한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안에서 완성을 향한 짜깁기를 한 것이 아니라, 작업 중에도 계속 새로운 계획을 세우면서 수정한 것을 볼 수 있다. 그의 완벽을 향한 지칠 줄 모르는 열정과 의지는 어떤 계획에 자신을 묶을 수 없었기에 샘솟는 옹달샘처럼 끊임없이 새로운 창조의 열정에 자신을 맡기며 이 작품을 완성했다.

작가는 일생을 통해 너무 조각 회화 건축에 있어 너무 많은 걸작을 남겼다. 작가는 “미완성의 완성”이라는 작가 특유의 방법을 도입해서 이 작품을 완성했다.

르네상스의 기법인 전체를 완벽히 표현하는 명료한 묘사보다 미완성의 부분을 남김으로서 이 미완성의 불분명함이 관객들에게 더 풍요로운 상상의 날개를 펼칠 수 있도록 인도하고 있다.

그가 일생을 거쳐 이룩한 많은 걸작들은 다른 사람의 주문에 의한 것이었으나, 이 작품은 자신을 위해 만든 것이며 죽기 3일전까지 매달리면서도 미완성으로 남긴 것은 죽음에 이르도록 완벽을 추구했던 그의 인생관의 표현이었기에 이런 면에서 이 작품은 미완성의 완성이라 볼 수 있으며 그의 인생의 모든 것이 집약된 걸작이라 볼 수 있다.



죽음이 가까운 시기에 만든 이 작품은 그가 청년기에 만든 바티칸 소장의<피에타>와 너무나 큰 대조를 보인다. 아름다운 균형과 완전한 기법은 모두 사라지고 절절한 간구만이 남았다.

이 피에타는 무르익던 르네상스 시대가 가고 격동의 시기에 작가가 얻은 인생과 신앙에 대한 깊은 체험을 풍부히 담고 있는 걸작이다. 1564년 2월 14일, 뇌졸중에 의한 임종이 다가왔을 때 그는 살비아티 추기경으로부터 병자성사를 받고 이승을 하직하면서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나는 인생에 가장 중요한 영혼의 구원을 소홀히 한 점과. 작가로서는 이제 겨우 알파벳을 익힌 처지에 세상을 하직하게 된 점을 후회합니다.”

요한복음은 주님께서 십자가에서 마지막 숨을 거두시는 모습을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어머니와 그 곁에 선 사랑하시는 제자들을 보시고, 어머니에게 말씀하셨다. 여인이여. 이 사람이 당신의 아들입니다.” 이어서 그 제자에게 “이분이 네 어머니시다 라고 말씀하셨다.” (요한 19: 25- 27)


이작품은 크리스챤 삶에 있어 어머니와 자식 됨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너무도 명확하면서도 감동적으로 알려 주고 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Agnes 2012.05.02 16:16:00
    미켈란젤로의 미완성이 아닌 나환자가된 예수를 만들어 놓은듯한 느낌을 주는 작품으로 생각해보며...
  • ?
    홈페이지 한 미 2012.05.02 16:16:00
    이종한신부님, 안녕하세요? 깊은 감동을 안고 읽어 내려갔습니다.
    감사 드리며 신부님의 건강을 위해 기도 드립니다*^_^*

성화이야기

이요한 신부님의 성화해설 나눔게시판입니다.

  1. 미켈란젤로 부르나요티 - 론다니니의 피에타

    제 목 : 론다니니의 피에타(1556- 1564) 작 가 : 미켈란젤로 부르나요티 크 기 : 191cm :(대리석) 소재지 : 이태리 밀라노 스포르체스코 성 미켈란젤로의 말년은 성공한 인간의 모델이었다. 타고난 천부의 재능과 더 나은 작품을 창조하기 위한 지칠 줄 모르...
    Date2007.02.01 By관리형제 Reply2 Views9589 file
    Read More
  2. 안토니오 가우디 - 성 가정 대성당

    제 목 : 성 가정 대성당 작 가 : 안토니오 가우디(Antonio Gau야:1852- 1926) 소 재 지 : 스페인 바르셀로나 "지혜가 있어야 집이 일어서고 슬기가 있어야 집이 튼튼하다(잠언 24, 3)." 인간 삶의 기본인 의식주 중에서 주거공간인 건물은 기능과 환경에 따라...
    Date2007.01.13 By관리형제 Reply1 Views8279 file
    Read More
  3. 베노죠 고죨리 - 삼왕의 경배

    제목 :삼왕의 경배 작가: 베노죠 고죨리( Benozzo Gozzoli :1421- 1497) 소재지 : 이태리 피렌체 리카르디 궁전 어느 문화권이나 시대에도 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존경을 받은 명문대가(名文大家)가 있으나, 서부 유럽에서 피렌체의 메디치(Medici) 가...
    Date2006.12.30 By관리형제 Reply0 Views6771 file
    Read More
  4. 그레치오의 프레스코 - 성탄

    제목: 그레치오의 프레스코 - 성탄 작가 : 익명 소재지 이태리 그레치오 성당 성(聖)미술의 주제는 크리스챤 신앙에 관계되는 모든 것이 포함되지만 그중에 가장 많이 다룬 것이 주님의 성탄과 십자가의 죽음이다. 그런데 십자가의 신비가 신앙의 핵심이긴 해...
    Date2006.12.16 By관리형제 Reply1 Views74788 file
    Read More
  5. 사도 베드로와 안드레아의 부르심

    제 목 : 사도 베드로와 안드레아의 부르심 제작년도 : 1389- 1404 소 재 지 : 미국 LA. 폴 게티(Paul Getty) 미술관 복음을 전하기 위해 순례의 삶을 선택한 성 프란치스코에게 있어 무소유는 자신이 선택한 삶의 필수적 요청이었기에 모든 점에 있어서 간소...
    Date2006.11.30 By관리형제 Reply0 Views7442 file
    Read More
  6. 미켈란젤로 부르나요티 - 피에타

    작품 :피에타( 1499) 작가 :미켈란젤로 부르나요티(Michelangelo Buonarroti: 1475- 1564) 크기 : 174cm 195cm (좌대포함) :대리석 소재지: 로마 성 베드로 대성당 역사에 혜성처럼 나타나고 있는 예술가 중 미켈란젤로 만큼 재능과 노력을 겸비한 사람은 드...
    Date2006.11.16 By관리형제 Reply3 Views6628 file
    Read More
  7. 카라바죠 - 골리앗의 머리를 들고 있는 다윗

    제목 : 골리앗의 머리를 들고 있는 다윗 크기 125cm X 101cm :켄버스 유채 소재지 :이태리 로마 보르게세(Galleria Borghese) 미술관 이 작품은 작가의 마지막 작품으로 추정되는 것이며 작가의 천재성과 심원한 작품성의 의미를 극명하게 표현하는 면에서 작...
    Date2006.10.30 By관리형제 Reply6 Views12138 file
    Read More
  8. 카라바죠 - 탈혼에 빠진 성 프란치스코

    제목 : 탈혼에 빠진 성 프란치스코 작가 : 카라바조 (Caravaggio: 1571- 1610) 크기 : 92.5 X 127.8cm (유채화) 소재지 :미국. Hartford, Wadsworth Atheneum 감성의 세계에 몰두하는 것이 예술가들의 특성이기에 작가들의 작품 세계는 나름대로의 특성이 있...
    Date2006.10.16 By관리형제 Reply0 Views10326 file
    Read More
  9. 사세타 - 성 프란치스코의 오상

    제목 : 성 프란치스코의 오상(1437) 작가: 사세타 (Stefano di Giovanni Sassetta: 1392? -1450) 규격 : 88X 52cm: 템페라 목판화 소재지 : 영국 런런 국립 미술관 오상 체험은 프란치스코 성인의 삶의 절정 체험이기에 여러 화가들이 다룬 주제이다. 성인에 ...
    Date2006.09.28 By관리형제 Reply2 Views7818 file
    Read More
  10. 에밀놀데 - 순교자

    작품명 :순교자 1.(1921) 작 가 : 에밀 놀데(Emil Nolde 1867- 1956) 규 격 : 121X 106.5cm : 켄버스 유화 소재지 : 독일 아다와 에밀 놀데 재단 인간의 미적 감각은 다양하기에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유행하던 인상...
    Date2006.09.13 By관리형제 Reply0 Views1017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Next ›
/ 4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