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030 추천 수 1 댓글 4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요한복음에는 몇 가지 중요한 주제들이 있습니다.

말씀, , 생명 이런 것들을 집요하게 얘기합니다.

 

지난 한 주간은 빵에 대한 6장의 말씀을 내내 들었는데

그래서 6장은 빵이 주제인 것 같고 그렇게 얘기해도 무방하지만

더 정확히 얘기하면 생명이 주제이며 생명을 주는 빵이 한 주제이고

오늘은 여기에 더해 생명을 주는 말씀이 또 다른 주제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니까 생명을 주는 빵이 있고, 생명을 주는 말씀이 있다는 것인데

이 말을 뒤집으면 빵이라고 하여 다 생명을 주는 것이 아니요,

말도 한 사람을 살리는 말도 있지만 고꾸라트리는 말도 있다는 거지요.

 

그러면 어떤 빵과 어떤 말이 생명을 준다는 말입니까?

이에 대해 오늘 주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영은 생명을 준다. 그러나 육은 아무 쓸모가 없다.

내가 너희에게 한 말은 영이며 생명이다."

 

당신 자신이 생명의 빵일 뿐 아니라

당신 입에서 나온 말들도 생명의 말씀인데

그것은 당신의 말씀이 영의 말이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그러므로 오늘은 영의 말이란 어떤 말인지 보겠습니다.

 

우선 영의 말이란 사랑의 말이라는 것을 쉽게 볼 수 있겠습니다.

성령을 얘기할 때 우리는 진리의 성령이라고도 하지만

제일 많이 떠올리는 것이 바로 사랑의 성령이시지요.

 

그런데 사랑의 성령이라는 말씀도 우리는 하느님이 사랑이시기에

하느님에게서 나온 영도 당연히 사랑의 영이라는 뜻에서

지극히 관념적으로 얘기할 수도 있지만

악령과 비교하면 매우 실제적인 뜻에서

사랑의 성령이라는 것을 우리는 보게 되는 것이지요.

 

복음을 보면 주님의 수많은 행적은 악령과의 싸움에 대한 얘기인데

그 대표적인 것이 막달라 마리아의 얘기입니다.

그녀는 일곱 마귀에 사로잡혀 죽음의 삶을 살다가 주님으로부터 구원받은

여인인데 구원받은 뒤에 그녀는 주님을 가장 사랑하는 여인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요즘도 이런 영혼들이 실로 많고,

적어도 마귀 병과 정신병의 경계에 있는 분들을 많이 보게 되는데

주님께서는 오늘도 이들에게서 나오라고 악령에게 명령하심으로써

이들에게서 악령을 물리치시고 정신의 병을 치유해주십니다.

 

다음으로 영의 말씀은 초월케 하는 말씀입니다.

우리가 오늘 주님 말씀 중에서 영은 생명을 준다는 말씀은

사랑의 말씀이기에 그럴 것이라는 점에서 쉽게 동의하지만

영은 생명을 주지만 육은 아무 쓸모가 없다는 말씀에는 의아함이 있습니다.

 

아무리 요한복음에 영지주의의 영향이 있다고 하지만

진정 이 말씀은 이원론적인 뜻에서 아무 쓸모가 없다는 뜻인가요?

 

왜 육이 아무 쓸모가 없겠습니까?

이 세상 사는 동안에는 육이 쓸모가 있고,

주님께서도 이 세상에 사는 동안에는 우리와 같아지시려고

우리와 똑같은 육을 취하셨는데 이것을 일컬어 육화(Incarnatio)라고 하지요.

 

그러니 이 세상 사는 동안에는 이 육이 아주 쓸모가 있지만

영원한 생명을 위해서는 아무 쓸모가 없고 그래서

영원한 생명을 살기 위해서는 육적인 것을 초월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이 땅 위에서 사는 동안에는 어쩔 수 없이 이 살덩어리를 지니고 살지만

썩어 없어질 이 살덩어리에 영원히 매이지는 말아야 할 것이고

지금도 현실적 필요 이상의 의미를 두지 않음으로써

우리는 육적인 것에서 초월해야 한다는 말씀으로 알아들어야겠습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홈페이지 김레오나르도김찬선 2020.05.02 05:44:38
    오늘 저의 강론에 더하여 어제 박 루케시오 형제의 강론을 꼭 읽어보시면 요한 복음 6장의 모든 말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우리 젊은 형제들이 아주 설득력있게 들려주는 강론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기 바랍니다.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성체순례자 2020.05.02 05:41:46
    성모성월을 시작하며

    아득한 세월
    이천 년 훌쩍 넘는 무수한 날
    한 날 한 시 빠짐없이
    노심초사 두 손 모아 기도하셔도
    성모님이니까... 하였습니다.

    생명보다 귀한 아들
    십자가 험한 죽음
    그 고통 참아내며
    다른 자식들 살리시는
    사랑의 모진 순명!
    성모님이니까... 하였습니다.

    심장에 깊게 박힌 일곱 칼!
    꿰찌르고 후벼파는 고통!
    참으시고 인내하셔도
    성모님이니까... 하였습니다.

    하나하나 살리려는 절박한
    모성적 사랑,
    우리 향한 사랑앓이로
    피눈물 흘리셔도
    성모님이니까... 하였습니다.

    온갖 십자가 내던지며 돌아서는 철없는 자식들 속썩여도 전혀 끄떡도 하지 않는 성모님이니까... 하였습니다.

    급할 때만 달려 가
    살려달라 매달리고,
    필요할 때마다
    찾아 가 징징거려도
    다 들어주시고
    늘 함께 해 주시기에 성모님이니까... 하였습니다.

    온전하지 않은
    마음 한 조각
    성모님, 감사!
    성모님, 고맙!
    건성섞인 감사의 말
    그래도 애지중지 보살펴주시기에
    성모님이니까... 하였습니다.

    지 죄로 엎어지고 쓰러지고 또 엎어진 채 강짜부려도
    어서 일어나자!
    툭툭 털어주시며
    괜찮다 괜찮아,
    속이 썪어뭉그러져도 성모님이니까... 하였습니다.

    어서 가자,
    예수님께 가자,
    내 아들 예수한테 가자, .
    당신 잘못인양 감싸주시기 급급한, 그것이 그냥 당연한
    성모님이니까... 하였습니다.

    문득 지나온 날들
    돌아보니
    성모님과 부비며 기대고 함께 걸어온 길들,
    같이 살아온 날들.

    마음 들어 엄마를 바라보니
    나 때문에,
    우리 때문에,
    한없이 눈물흘리며 소리 죽여 기도하시는
    우리 엄마 성모님!

    아! 우리 엄마 성모님 한테 나는 정말로 정말로 그러면 안 되는 것이었습니다.

    안 되는 짓만 하는 우리 새끼들 위해
    오늘도 두 손 모아
    하염없는 기도하시는
    우리 엄마 성모님께 나는 정말로 정말로 그러면 안 되는
    것이었습니다.
    정말로!

    이제 정말 우리 엄마 성모님께 이 모양 이대로의 나를 고스란이 내맡기고
    엄마의 그 눈물 그 아픔 함께하는 작은 아이 되겠습니다.
    우리 엄마 성모님!
    고마워요.
    사랑해요. 엄마!

    십자가의 사랑으로
    당신 엄마
    우리 엄마로
    내어주신
    사랑의 우리 예수님!
    온 맘 다해 사랑합니다!!!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성체순례자 2020.05.02 05:35:32
    신부님의 말씀을 같은 전례시기에는 어떻게 묵상하고
    강론하셨는지 비교하면 더욱 풍성한 내용을 알 수 있으리라는
    생각으로 올립니다.^♡^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성체순례자 2020.05.02 05:34:24
    19년 부활 제3주간 토요일
    (머리의 믿음과 행동의 믿음의 차이)
    http://www.ofmkorea.org/216617

    18년 부활 제3주간 토요일
    (해가 져야 달이 떠오르지!)
    http://www.ofmkorea.org/120911

    17년 부활 제3주간 토요일
    (떠날 것인가, 따를 것인가?)
    http://www.ofmkorea.org/103103

    16년 부활 제3주간 토요일
    (주님을 떠날 것인가, 세상을 떠날 것인가?)
    http://www.ofmkorea.org/88681

    15년 부활 제3주간 토요일
    (고통과 어려움 중에 맺어지는 영적인 관계)
    http://www.ofmkorea.org/77481

    13년 부활 제3주간 토요일
    (말이 씨가 된다고 하니.)
    http://www.ofmkorea.org/52908

    12년 부활 제3주간 토요일
    (우리도 같은 것을 할 것이다.)
    http://www.ofmkorea.org/5786

    10년 부활 제3주간 토요일
    (감수성)
    http://www.ofmkorea.org/3950

    09년 부활 제3주간 토요일
    (힘들고 지칠 때 누구를?)
    http://www.ofmkorea.org/2468

    08년 부활 제3주간 토요일
    http://www.ofmkorea.org/1125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22Apr

    부활 8부 토요일-오래된 불신인 완고함

    오늘 독서에 나오는 유대 지도자들은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어떻게 보면 진퇴양난의 모습이어서 보기에 따라 애처롭기도 하고, 그 위선과 완고함이 대가를 치르고 있음에 고소하기도 합니다.   그들은 사도들의 치유가 분명 하늘의 표징임을 ...
    Date2017.04.22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1335
    Read More
  2. No Image 21Apr

    부활 8부 금요일-은총의 허사 체험

    “당신들은 무슨 힘으로, 누구의 이름으로 그런 일을 하였소?”하고 이스라엘의 지도자들이 묻자 베드로는 이렇게 대답합니다. “나자렛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여러분이 십자가에 못 박았지만 하느님께서 죽은 이들 가운데서 다시 일으키신 바로 그...
    Date2017.04.21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1217
    Read More
  3. No Image 20Apr

    부활 8부 목요일-마음이 열리자 구원이 열리고, 구원이 열리자 문이 열리다

    “그리고 예루살렘에서부터 시작하여, 죄의 용서를 위한 회개가 그의 이름으로 모든 민족들에게 선포되어야 한다. 너희는 이 일의 증인이다.”   아시다시피 저는 지난 6일 출발하여 2 주간 중국을 방문하고 돌아왔습니다. 그래서일까요? 오늘 복음을 읽으...
    Date2017.04.2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3702
    Read More
  4. No Image 09Apr

    주님 수난 성지 주일

     예수의 죽음 앞에서 두 가지 서로 다른 반응이 나타납니다.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백인대장의 고백과  거짓 부활에 대한 수석 사제들과 바리사이들의 염려.  똑같은 것을 보고, 똑같은 것을 들었지만,  한 사람에게 그 사건은 믿음으로 나아가는 계기가 ...
    Date2017.04.09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명겸요한 Reply0 Views815
    Read More
  5. No Image 06Apr

    사순 5주 목요일-<희망하는 믿음>과 <내다보는 믿음>

    요한복음에서 얘기하는 주님의 말씀은 참 이해하기 힘들고, 그러기에 믿는 것은 더 힘듭니다. 그래서 오늘 이스라엘 사람들도 드디어 이렇게 얘기합니다. “이제 우리는 당신이 마귀 들렸다는 것을 알았소.”   이렇게 예수님을 마귀 들린 분으로 알고 있...
    Date2017.04.06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5 Views1891
    Read More
  6. No Image 05Apr

    사순 5주 수요일-눈치는 있어야 하지만 눈치를 봐서는 안 되는 것처럼

    “너희가 내 말 안에 머무르면 참으로 나의 제자가 된다. 그러면 너희가 진리를 깨닫게 될 것이다. 그리고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할 것이다.”   오늘 주님께서는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 두 가지를 말씀하십니다. 진리가 자유롭게 하고, 당신이 우리를 자...
    Date2017.04.05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682
    Read More
  7. No Image 04Apr

    사순 5주 화요일-뒤에야 깨닫는 우리

    제가 오늘 독서와 복음을 읽고서 이번에 와 닿은 것은 뒤에야 깨닫는 우리라는 것인데 다음 말씀 때문입니다. "너희는 사람의 아들을 들어 올린 뒤에야 내가 나임을 깨달을 것이다."   미리 깨달으면 얼마나 좋고, 미리가 아니라 뒤늦게 깨닫지만 않아도...
    Date2017.04.04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668
    Read More
  8. No Image 03Apr

    사순 5주 월요일-안에 있는 대로 보는 인간

    “너희 가운데 죄 없는 자가 먼저 돌을 던져라.”   오늘 율법학자와 바리사이들이 간음한 여자를 붙잡아 와 죽이고자 합니다. 이에 예수님께서 죄 없는 자부터 돌을 던지라 하시자 죄 많은 사람부터 하나둘 그 자리를 뜹니다. 그러자 우리가 잘 알다시...
    Date2017.04.03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1535
    Read More
  9. No Image 02Apr

    사순 제 5 주일-주님께서 함께 계셔도 우리는 죽는다.

    “주님, 주님께서 여기에 계셨더라면 제 오빠가 죽지 않았을 것입니다.”   오늘 마르타는 자기 오빠 나자로가 죽을 때 주님께서 함께 계셨더라면 죽지 않았을 거라고 하며 주님께 원망이랄까 서운함을 표합니다. 다른 때는 잘도 와 머무시면서 자기 오빠가...
    Date2017.04.02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479
    Read More
  10. No Image 01Apr

    사순 4주 토요일-꽃이 화병에만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듯

    오늘 이스라엘의 최고 의회 의원들과 바리사이들, 그러니까 이스라엘의 정치와 종교 지도자들은 갈릴래아에서는 예언자가 나지 않는다고 단정을 합니다.   이 말이 잘못 되었다고 우리는 비판을 하지만 한 편으로는 맞는 말이기도 합니다. 예언자란 하...
    Date2017.04.01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39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609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 800 Next ›
/ 8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