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855 추천 수 0 댓글 2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사순 3주 토요일-2016

 

, 하느님! 제가 다른 사람들, 강도짓을 하는 자나

불의를 저지르는 자나 간음을 하는 자와 같지 않고

저 세리와도 같지 않으니, 하느님께 감사드립니다.”

 

큰아들이 있었습니다.

부모는 집안의 장남이 잘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다른 자식은 초등학교밖에 가르치지 못했음에도

큰아들은 대학까지 나올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다했습니다.

 

그리고 부모가 바란 대로 큰아들은 높은 지위까지 올라갔고,

그래서 그런 자식이 부모는 아주 자랑스러웠습니다.

큰아들도 자기가 그렇게 된 것이 자랑스러웠고

부모 때문임을 알기에 부모님께 감사드렸습니다.

 

문제는 큰아들과 동생들과의 관계였습니다.

부모가 장남이 잘되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은

동생들을 끌어주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인데 큰아들은

자기 때문에 공부를 못한 동생들에게 미안해하기는커녕

같이 모이는 자리에서 동생들을 무식하다고 무시하거나

자기가 얼마나 대단한지 너무 으스대는 것이었습니다.

 

동생들은 그런 형이 꼴 보기가 싫어서,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기들과 비슷한 처지의 자기 자식들이

도시에서 형처럼 크는 형의 자식들과 비교되는 게 싫어서

명절이 되어도 부모님 뵈러 고향에 가지 않고 나중에 따로 갔습니다.

 

그러자 형은 자기 잘못은 생각지 않고 명절 때 고향에 오지 않는 동생들을

못된 놈들이라고 부모 앞에서 욕하고 자기만 효자인 양 자만하였습니다.

이런 큰아들이 부모님 보시기에 너무도 언짢고 가슴이 아팠습니다.

 

이렇게 되라고 모든 것을 다 큰 아들에게 준 것이 아닌데.

 

오늘 주님께서 비유로 든 바리사이와 세리의 비유를

제가 이렇게 각색을 해봤습니다.

 

정말 부모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헤아리는 자식이라면

부모 앞에서 다른 자식을 깔아뭉개고,

다른 자식보다 자기가 잘난 양 으스댈 수는 없습니다.

 

자기만 사랑치 않고 다른 자식도 사랑하는 부모에게

동생들에 대한 형의 비난은 너무 가슴 아프게 하는 짓이며

무엇보다도 자식에 대한 모든 것이 원죄인 부모에게는

왜 그렇게 낳고 그렇게 키웠냐는 비난이 되기에 해서는 안 될 짓입니다.

 

그렇습니다. 큰아들은 부모의 마음, 부모의 사랑을 너무도 모르는 것입니다.

자기만 사랑치 않고 모든 자식을 다 사랑하고,

자기만 잘되기를 바라지 않고 다른 자식도 잘되기를 바라며,

다른 자식이 잘되도록 장남이 역할을 해주기를 바라는 그 마음을 모릅니다.

 

그런데 우리 교만한 사람이 보통 하는 짓이 이런 것입니다.

하느님의 마음을 모르고, 특히 하느님의 사랑을 모릅니다.

그래서 호세아서는 이렇게 우리를 설득합니다.

주님을 알자. 주님을 알도록 힘쓰자.”

 

그리고 비유의 바리사이처럼 스스로 자기만 의롭다고 하는 우리에게

정녕 내가 바라는 것은 희생제물이 아니라 신의다.

번제물이 아니라 하느님을 아는 예지다.”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렇습니다. 우리에게 있어야 할 것은 하느님을 아는 예지이고,

<자처하는 의로움>이 아니라 <신의信義>입니다.

<자처하는 의로움>은 말로 치면 독백이며

심리학적으로는 심각한 자기애自己愛 증상입니다.

 

하느님도 모르고, 자기도 모르며, 이웃은 안중에도 없는

심각한 자기도취와 착각을 나도 살고 있지는 않은지,

몰라도 너무 모르는 나는 아닌지 돌아보는 오늘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용서받은죄인 2021.03.13 05:33:55
    신부님의 말씀을 같은 전례시기에는 어떻게 묵상하고
    강론하셨는지 비교하면 더욱 풍성한 내용을 알 수 있으리라는
    생각으로 올립니다.^♡^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용서받은죄인 2021.03.13 05:33:19
    20년 사순 제3주간 토요일
    (나도 의롭다 자부하는 죄인은 아닐까?)
    http://www.ofmkorea.org/328589

    19년 사순 제3주간 토요일
    (젖은 빨래를 햇빛에 말리듯)
    http://www.ofmkorea.org/204598

    18년 사순 제3주간 토요일
    (주님을 알자 함은?)
    http://www.ofmkorea.org/118807

    16년 사순 제3주간 토요일
    (자처하는 의로움과 신의)
    http://www.ofmkorea.org/87480

    15년 사순 제3주간 토요일
    (가장 부끄러워해야할 것)
    http://www.ofmkorea.org/75984

    14년 사순 제3주간 토요일
    (당신을 알아달라시는 주님)
    http://www.ofmkorea.org/61188

    13년 사순 제3주간 토요일
    (주님, 저희를 불쌍히 여기소서.)
    http://www.ofmkorea.org/51838

    12년 사순 제3주간 토요일
    (하느님을 알자!)
    http://www.ofmkorea.org/5642

    11년 사순 제3주간 토요일
    (너의 불행이 나의 행복은 되지 말아야!)
    http://www.ofmkorea.org/5017

    10년 사순 제3주간 토요일
    (사랑만이 남는다)
    http://www.ofmkorea.org/3771

    08년 사순 제3주간 토요일
    (너무 나무라지 말자)
    http://www.ofmkorea.org/906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23May

    부활 제5주간 목요일

    2019.05.23. 부활 제5주간 목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35799
    Date2019.05.23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479 file
    Read More
  2. No Image 22May

    부활 제5주간 수요일

    요한 복음 안에서 중요한 표현 중의 하나는 '머물다'라는 동사입니다. 요한이 자기 제자들을 예수님께 보냈을 때, 그들은 예수님 곁에서 하룻밤을 머물게 됩니다. 그리고 나서 그들은 예수님의 제자가 됩니다. 즉 예수님 곁에 머문다는 것은 예수님을 따른다...
    Date2019.05.22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명겸요한 Reply1 Views464
    Read More
  3. No Image 22May

    부활 5주 수요일-하느님의 손질

    지금까지는 오늘 복음말씀을 읽으면서 주로 포도나무와 가지의 관계, 곧 예수 그리스도와 우리 인간 사이의 관계만 주로 집중을 하였는데 이번에 거의 처음으로 농부이신 아버지에 대해서도 주목을 했습니다.   “나는 참 포도나무요 나의 아버지는 농부이...
    Date2019.05.22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1024
    Read More
  4. 22May

    부활 제5주간 수요일

    2019.05.22. 부활 제5주간 수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35770
    Date2019.05.22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448 file
    Read More
  5. No Image 21May

    부활 5주 화요일-시험대

    우리는 살아가면서 자주 시험대에 오르게 됩니다. 큰 시련을 닥칠 때 한 사람과 그 인생이 망가질 수도 있고 더 단단해질 수도 있는데 그 사람과 인생이 이때 시험대에 오르는 거지요.   산전수전을 다 겪어 그 그릇이 크고 단단한 사람은 웬만한 시련에 ...
    Date2019.05.21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457
    Read More
  6. 20May

    부활 제5주간 화요일

    2019.05.21. 부활 제5주간 화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35743
    Date2019.05.20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447 file
    Read More
  7. No Image 20May

    부활 5주 월요일-Tatal Love

    어제도 비가 왔잖아요? 근처 수녀원에 주일미사를 봉헌하러 같이 사는 형제와 가는데 그런데 이곳에 사는 분들은 우산을 쓰지 않고 다니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왜 그럴까 대화를 나누다 한 두 사람이라면 모를까 대부분 우산을 쓰고 다...
    Date2019.05.2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1432
    Read More
  8. 19May

    부활 제5주간 월요일

    2019.05.20. 부활 제5주간 월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35720
    Date2019.05.19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458 file
    Read More
  9. No Image 19May

    부활 제5주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 우리에게 주신 새 계명은 서로 사랑하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 사랑은 하느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신 것과 똑같은 사랑입니다. '-처럼'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시는 것으로 보아 하느님의 사랑과 우리의 사랑...
    Date2019.05.19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명겸요한 Reply1 Views421
    Read More
  10. 19May

    부활 제5주일

    2019.05.19. 부활 제5주일 - http://altaban.egloos.com/2235715
    Date2019.05.19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425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 800 Next ›
/ 8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