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말씀나누기
신대건안드레아 2013.08.27 17:01

더 중요한 것들

조회 수 2237 추천 수 0 댓글 0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성녀 모니카 기념일(연중 제21 주간 화요일: 마테 23,23-26)

최근 개신교 모 교단에서 "십일조 헌금을 하지 않는 교인은 권리가 자동 중지"되게 하는 등 장로와 교인의 권리는 축소하면서, 목사에게만 유리한 헌법 개정을 추진하여 해당 교회 내외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관련 기사: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194761).

이 기사를 자세히 읽어보면 사실 십일조 문제는 작은 법 규정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 작은 규정을 이용하여 신도들의 권리는 제한하면서 목사들의 권한은 확대시키는 등 정의가 살아 있지 않은 법이 될 우려가 있기에 비판의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려 오는 것이다.

오늘 복음에서 주님께서는 "불행하여라, 너희 위선자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아! 너희가 박

275AA33A521C59B805E5E9NIKON D7000 | 1/60sec | F/4.5 | 105.0mm | ISO-100 | Flash fired, compulsory flash mode, return light detected

하 와 시라와 소회향은 십일조를 내면서, 의로움과 자비와 신의처럼 율법에서 더 중요한 것들은 무시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십일조도 무시해서는 안 되지만, 바로 이러한 것들을 실행해야만 했다. " 하고 엄하게 꾸짖으시는 것이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십일조와 같이 하느님께 마당히 바쳐야 할 것들도 있지만 진정 그분께서 더 중요하게 여기시고 더 기쁘게 받으실 것들은 "의로움(정의)과 자비와 신의" 같은 것이다.


우리 가톨릭 교회 안에서는 주님의 이러한 질책을 받을만한 사람이 없을까?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성직자, 수도자, 평신도를 막론하고 정작 중요한 것에는 신경도 안 쓰고 마음의 문을 닫아버리면서 금육재, 삼종기도 같은 규정이나, 혹은 특정 인물(예를 들어, 사제의 경우 부유하거나 그렇듯한 직위를 지니는 신자, 그리고 평신도의 경우 본당신부)과 친해지는 것 등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는 사람들을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비 열한 정치꾼들이나 재벌들에 의해서 나라꼴이 망가지는 것에는 신경도 쓰지 않으면서, 연예인들의 동정이나 연속극의 내용에는 통달한 신자들은 또 어떤가! 이웃이 가난 등으로 말미암아 고통받는 것에는 눈길 한 번 주지않고, 온갖 탐욕으로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재물을 끌어모으려고 노력하며, 그러면서도 자신과 가족이 축복받게 해주기를 청하는 것은 당연하게 여기는 신앙인들은 또 얼마나 많은가!
그러면서 그들은 사제들이 예언자적인 충정으로 시국 선언을 하고, 특정한 사안의 불의와 거짓에 대해서 이야기할라치면(미사 중에도) 사제들에게 서슴없이 "종북 좌빨(빨갱이)" 운운하면서 사제들을 나무라고자 한다.


과연 이 시대, 이 한국의 현실 안에 예수께서 다시 오신다면 무엇을 말씀하실까?
당시의 율법학자들과 바리사이들에게 위선자들이라고 날카롭게 질타하신 날선 말씀이 더욱 더 엄중하게 이 시대의 종교인들, 특히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로 향하지 않을까? "불행하여라, 너희 위선자 그리스도인들아!" 하고 말이다.

하느님께서 진정으로 중요하게 여기시는 것, 따라서 우리도 중요하게 여겨야 하는 것들이 무엇인지 분별력을 기르고 살아가자.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13Nov

    연중 32주 수요일-존재의 구원에 이르지 못한 은총

    “열 사람이 깨끗해지지 않았느냐? 그런데 아홉은 어디에 있느냐? 이 외국인 말고는 아무도 하느님께 영광을 드리러 돌아오지 않았단 말이냐?”   이 외국인 말고는 아무도 하느님께 영광 드리러 오지 않았냐는 말씀에는 주님의 복잡한 심사가 담겨 있을 거...
    Date2013.11.13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3137
    Read More
  2. No Image 12Nov

    연중 32주 화요일-하느님 앞에서는 다 쓸모없는 종들인 우리

    “종이 분부를 받은 대로 하였다고 해서 주인이 고마워하겠느냐? 이와 같이 너희도 분부를 받은 대로 다 하고 나서, ‘저희는 쓸모없는 종입니다. 해야 할 일을 하였을 뿐입니다.’”   오늘 이 말씀에 한 가지 궁금한 것이 생각났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당...
    Date2013.11.12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3514
    Read More
  3. No Image 11Nov

    연중 제32주간 월요일

     네 형제가 죄를 짓거든 꾸짖고, 회개하거든 용서하여라.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죄를 지은 형제를 꾸짖으라고 말씀하십니다. 하지만 한편으로 '꾸짖음'이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다소 생소하게 다가오기도 합니다. 물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상대방을 ...
    Date2013.11.11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명겸요한 Reply0 Views2161
    Read More
  4. No Image 11Nov

    연중 32주 월요일-행복한 사람만 용서할 수 있다.

    “네 형제가 죄를 짓거든 꾸짖고, 회개하거든 용서하여라. 그가 너에게 하루에도 일곱 번 죄를 짓고 일곱 번 돌아와 ‘회개합니다.’ 하면, 용서해 주어야 한다.”   이 말씀은 죄지은 사람에 대해 우리가 해야 할 것에 대한 말씀입니다. 그것은 꾸짖음과 용...
    Date2013.11.11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3213
    Read More
  5. No Image 10Nov

    연중 제32주일

     사람은 죽음 이후의 상황에 대해서 알지 못합니다. 그렇기에 더욱 궁금증을 갖게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아무도 죽음 이후의 삶을 경험해 보지 못했기에, 아니 복음의 표현을 빌려 오자면,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누가 다시 살아나도 잘 믿어지지 않기에 (루...
    Date2013.11.1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명겸요한 Reply0 Views2104
    Read More
  6. No Image 10Nov

    연중 제 32 주일-하느님께는 죽음도, 죽은 사람도 없다

    “그분은 죽은 이들의 하느님이 아니라 산 이들의 하느님이시다. 사실 하느님께는 모든 사람이 살아 있는 것이다.”   오늘 독서와 복음에 대한 저의 첫 묵상은 이겁니다. 지금 있는 것이 없어지고 말 것이라면 애초에 있지도 않았을 것이다. 없어지고 말 ...
    Date2013.11.1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2949
    Read More
  7. No Image 09Nov

    어느 수련자의 강론

    평화를 빕니다. 오늘은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축일입니다. 라테라노 대성전은 로마 라테라노에 있는, 최초의 바실리카 양식의 대성당이라고 합니다. 324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라테라노 대성전을 지어 봉헌한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라테라노 대성전의 ...
    Date2013.11.09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2006
    Read More
  8. No Image 09Nov

    라테라노 대성전 축일-주님의 집인 우리

    “이 성전을 허물어라. 그러면 내가 사흘 안에 다시 세우겠다.”   라떼라노 대성전은 박해를 받던 그리스도교가 콘스탄티누스에 의해 로마제국의 국교가 된 다음 세워진 성당입니다.   오늘 말씀을 이 사실에 견줘 풀이를 하면 콘스탄티누스가 세운 성...
    Date2013.11.09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3360
    Read More
  9. No Image 08Nov

    연중 31주 금요일-하느님의 것을 이웃을 위해 마구 써라!

    “주인은 그 불의한 집사를 칭찬하였다. 그가 영리하게 대처하였기 때문이다. 세상의 자녀들이 저희끼리 거래하는 데에는 빛의 자녀들보다 영리하다.”   영리함과 영악함은 어떻게 다른가? 영리함은 사랑에 반하는가?   오늘 복음 묵상은 이런 질문으...
    Date2013.11.08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3189
    Read More
  10. No Image 07Nov

    연중 31주 목요일-잃어버린 양인가, 길 잃은 양인가?

    “나와 함께 기뻐해주십시오. 잃었던 내 양을 찾았습니다.”   오늘 복음의 비유를 들을 때 우리는 이런 생각을 해볼 수 있을 겁니다. 주님께서는 <잃었던 내 양>이라고 하시는데 과연 잃었던 주님의 양인가, 그게 아니라 주님을 떠나 길 잃은 양인가? 책...
    Date2013.11.07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386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664 665 666 667 668 669 670 671 672 673 ... 724 Next ›
/ 72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