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459 추천 수 0 댓글 2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오늘의 사도행전은 유다의 원로들과 율법학자들, 그리고 백성과
팽팽히 맞서는 스테파노의 모습을 전합니다.
그 모습을 상상하니 예전 제가 참관했던 80년대
재판의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지금은 돌아가신 문 익환 목사의 시국사건 재판이었습니다.
인상에 남은 것은
죄인으로 단죄 받는 문 익환 목사가 오히려 의연하고 당당한데 비해
죄인을 고소하는 검사들과 판결하는 법관들이
오히려 초라했던 점입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인상에 남은 것은 문 목사님의 어머니였습니다.
최후 증언에서 문 목사님은 그때 재판정에 나와 계신
당신의 95세 노모를 얘기하시며
시아버지, 남편, 아들 3대가 옥살이하는 집안에 오셔서
일생을 옥바라지 하신 어머니께 부끄럽지 않도록
감옥에 가는 것을 두려워말고 끝까지 가야 한다고 얘기하였습니다.
그러고 보니 어머니는 그 연세에도 몸도 꼿꼿하시고
아들이 또 다시 감옥에 가는데도 마음의 흔들림이 없어보였습니다.
마카베오서에 일곱 형제를 차례로 순교케 한 어머니 모습이었습니다.
오늘 스테파노 최후 재판정의 모습이 바로 그렇습니다.
단죄 받는 스테파노가 오히려 의연하고 당당하고
단죄하는 원로들과 율법학자들이 화가 치밀어 어쩔 줄 모르고
결국 스테파노를 감당하지 못해 죽이고 맙니다.
화를 내는 사람이 지는 것인데,
결국 스테파노의 목숨을 끊어버리고 말지만
스테파노에게 지고 만 것입니다.

무엇이 이렇게 만들었고
스테파노와 그들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영의 차이입니다.
스테파노는 원로들과 율법학자들을 꾸짖습니다.
듣기에 사뭇 이상하지만
“목이 뻣뻣하고 마음과 귀에 할례를 받지 못한 사람들이여,
여러분은 줄곧 성령을 거역하고 있습니다.”하고 꾸짖습니다.
마음과 귀에 할례를 받지 못한 사람이라,
이것이 무슨 뜻입니까?
겉으로는 할례를 받아 하느님의 자녀인 것 같지만
마음과 귀는 완전히 굳어질 대로 굳어져
하느님의 소리는 귓전에도 울리지 않고
마음은 더더욱 울리지 않아
하는 것마다 하느님을 거스른다는 것입니다.
겉 할례는 받았지만 속 할례는 받지 않았다는 얘기이고
무늬는 신자지만 속은 신자가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그래서 아무리 얘기해도 듣지 않고 졸기만 합니다.
아무리 얘기해도 듣지 않고 자기 생각만 합니다.
어떤 얘기를 해도 불감증에 걸려 감동이 없습니다.
그래서 스테파노는
“여러분은 줄곧 성령을 거역하고 있습니다.”하고 그들을 질타합니다.
영을 거부하고 거역하는 완고함,
그래서 영이 죽어있는 화석의 상태가 그들이었습니다.

이에 비해 스테파노는 성령으로 충만하였습니다.
스테파노의 영이 주님의 영과 일치하고
주님의 영이 스테파노의 영을 사로잡았습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에게는 닫혀 있는 하늘이
주님의 영으로 인해 스테파노에게는 열리고
다른 사람은 보지 못하는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의 영으로 인해 스테파노는 봅니다.
그리고 스테파노는 마침내
자기의 영을 주님께 바치며 맡깁니다.
또 다른 그리스도(Alter Christo)가 되어
자기를 죽이는 자들을 위해 용서청하며
마지막 숨을 거둡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프로포즈 2008.04.09 01:59:03
    法 (!LAW)
    프란치스칸은 다른 각도로 보아야 합니다...
    삼수변에 선비사에 갈거자로 만들어진 저 법!
    과연 진리인가? 제 사견에 견주어보면 진리 인듯 느껴지고 때론 아니다 느껴지는 때도 있음을 고백하며 모든 법은 성서(聖書)에 기인하여 편찬되었구 모든 인간은
    아담과 화와를 창조하신 위대하신 하느님께서 만들어주신 양심에 입각하여 하느님의 법으로 통치해온 인간의 역사임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굳이 전직 대통령처럼 사법고시를 패스안해도 우리네 인간은 하느님께서 선물해주신 양심에 의해 모든 일을 처리해 나갈 수 있습니다.
    단 악의 유혹으로 인하여 인간된 욕심을 빌미삼아 이거냐 저거냐 선과악 양과선의 선택의 기로에 놓이기에 마련인되 복되신 프란치스코 성인의 정신을 따르고자
    하는 우리들은 진정 하느님의 정신에 입각하여 삶을 추구한다면 굳이 스카이대학
    출신이 아닐지언정 사법고시를 패스 안할지언정 좋으신 하느님께서 주신 선심에 따라 가고자하는 내적 움직임을 스스로 불러일으코자 하는 마음가짐만 我에 부여코자
    하는 그 정신만 있다면 모든 일은 좋으신 주님께서 해결해 주시리라 믿습니다.....
  • ?
    홈페이지 뭉게구름 2008.04.09 01:59:03
    오늘 말씀 너무 감격적입니다!!!
    죽음을 이기신 주님.!!!!!
    주님 보시기에 합당하고,
    주님께서 기뻐하실 일만 골라서 하겠습니다.
    Grazie.!!!!!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25Apr

    행복과 불행-부활 5주간 수요일

    부활 5주간 수요일(A해) 요한 15, 1-8 오늘 복음 말씀인 요한복음 15, 1-8의 중심 되는 말씀은 예수님의 다음 두 말씀입니다: “나는 포도나무요 나의 아버지는 농부이시다.”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다.” 주님께서 당신 자신을 포도나무에 비유하고 계십...
    Date2008.04.25 By유사 Reply1 Views1466
    Read More
  2. No Image 25Apr

    “내가 주는 평화” - 부활 5주간 화요일

    “내가 주는 평화” 부활 5주간 화요일(A해) 요한 14, 27-31 오늘 복음 역시 예수님의 고별사 한 부분입니다. “나는 너희에게 평화를 남기고 간다. 내 평화를 너희에게 준다. 내가 주는 평화는 세상이 주는 평화와 같지 않다.” 미사 때 평화의 인사를 나누기 전,...
    Date2008.04.25 By유사 Reply1 Views1886
    Read More
  3. No Image 24Apr

    내 식대로 복음 전하기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승천하시면서 제자들에게 남기신 마지막 유언은 세상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전하라는 것이다. 이 말씀을 들을 때면 사제생활 19년동안 본당신부를 한적이 없어 세례 한명 준 일이 없는 내가 한심스럽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러나 오늘 축...
    Date2008.04.24 By마중물 Reply0 Views1393
    Read More
  4. No Image 24Apr

    4월 24일 목 / 머묾의 미학

    "너희는 내 사랑안에 머물러라!" 내가 머무는 곳, 내 마음이 머무는 곳, 그것이 선이다. 좋기 때문에 머문다. 좋지 않으면 절대로 머물지 않는다. 빨리 그 자리를 피하고 싶다. 누구와의 만남이 있을 때 그와 오래 머물고 싶다면 그것은 선이다. 내가 그를 좋...
    Date2008.04.24 By마중물 Reply2 Views1405
    Read More
  5. No Image 24Apr

    부활 5주 목요일-사랑에 머물다

    개가 바람이 나면 가만히 있지 못하고 온 동네를 싸다닌다고 하지요. 전에 성북동 수도원에 수캐가 있었습니다. 제가 새끼 때부터 사랑을 주던 놈이었고 수도원에 사는 덕분에 같이 숫총각으로 늙었는데, 늦바람이 났습니다. 하도 집에 있지 않고 싸돌아다녀 ...
    Date2008.04.24 By당쇠 Reply1 Views1476
    Read More
  6. No Image 23Apr

    부활 5주 수요일-有情, 無情

    한 겨울에는 몰랐습니다. 죽은 나무인지, 살아있는 나무인지. 한 겨울에는 몰랐습니다. 죽은 가지인지, 살아있는 가지인지. 그래서 뽑아내지도, 가지 치지도 않고 내버려두었습니다. 이제 봄이 되어 살아있는 것이란 모두 생명의 물을 길어 올려 푸르름을 뽐낼...
    Date2008.04.23 By당쇠 Reply1 Views1360
    Read More
  7. No Image 22Apr

    부활 5주 화요일-참 평화

    평화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관계적 평화와 존재적 평화입니다. 관계적 평화는 말 그대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 마을과 마을 사이에 국가와 국가 사이에 싸움이 없는 평화를 말합니다. 존재적 평화는 우리말로는 평안이라 함이 맞을 것입니다. 마음과 존재 모...
    Date2008.04.22 By당쇠 Reply0 Views139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380 1381 1382 1383 1384 1385 1386 1387 1388 1389 ... 1428 Next ›
/ 142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