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28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할머니께 영원한 안식을...

  '쥴리아 할머니' 하면 내 인생 여정에서 만난 각별한 분으로 기억된다.
  흔히들 할머니를 '쥴리아 여사'라 칭했고, 3-4년 부터 성탄 카드를 보내드려도 전혀 응답이 없어 아마도 연세가 많으시니 돌아가셨을런지도 모르겠네...맘 속으로만 가끔 할머니 생각을  하곤 했었다.그러던중 우연히 <페북>을 통해  얼마 전 하와이에서 영면하셨다는 사실을 알았다. 

  할머니와의 만남 인연은 십 몇 년 전, 저녁 광화문 쪽으로의 산책길에서였다.
  한 손에 지팡이를 집으신 채 하염없이 허공을 응시하며 서 계신 파란 눈의 할머니를 뵙고는, "어찌 모습이 저리도 처량하실꼬!" 심상찮아 보여, 그래도 조금 한다는 영어 실력으로 "무슨 사연이 많으신가봐요?" 라고 물었다. 그래서 알고보니, 할머니가 바로 이씨 조선 왕가의 마지막 적자, 이구씨 부인이라는 것과 방자 여사와 함께 낙선재에서 지내셨던 마지막 며느리였다는 것...등 파란만장의 세월을 보내신 이런저런 사연을 들을 수 있었다. 

  그렇게 알게 된 할머니는 내가 정동, 작은 형제회 수도원에 몸 담고 있는 수도자 신분임에 반가와 하셨음은 물론 미국 국적으로 하와이에서 지내고계셨고, 가끔 한국이 그리워 오실 때엔 바로 옆 정동 아파트에 머무르시면서 자주 아침 미사에 나오셨다.

  그런 인연으로 어쩌다 만나면 몹씨 반가와하시던 할머니!  임시 거처하시던 아파트엘 가 보면 차를 끓여주시며 여러 지난 이야기들을 스스럼없이 들려 주시는 거였다.  그러던중 몇 년 전, 이구씨가 일본에서 영면, 종묘에서 장례식을 한다는 소식이 들렸고, 할머니는 이구씨의 조강지처임에도 이런저런 이유로 장례식 동안 종묘 건너 편 세운상가에서 건네다 보시며 하염없이 눈물을 흠치셨다는 얘기를 듣고는, 그런 서글픈 사연에 대한 내용을 우리 수도원 관구 홈페이지에 짧막한 글을 두어번 올렸다.
  정작 할머니는 남편인 이구씨나 조선 왕조에 대한 부정적인 말씀은 한 마디도 없었을 뿐더러 오히려 왕가 며느리에 대한 대단한 자부심을 지니신 분이었다. 

  그런데 내 글에 대한 어카 심정을 가진 어느 여인 독자 하나가 밤낮없이 전화를 하며 그런 내용에 대한 항의로 물고 늘어지는 게 아닌가!  그런 게 바로 말로만 듣던 스토커였다.  하도 화가 나, 그 글들을 삭제해 버릴테니 더 이상 전화하지 말라 하면서 이내 지워버렸다.  그랬더니 "서울에 가면 한 턱 쏘겠다." 하길래, "한 턱이고 두 턱이고 만나고싶지도 않으니 다시는 전화하지 말라."하며 끊은 게 마지막 대화였다.  아마도 그 여인 깐엔, 왜 이씨 왕조 가문에 대한 부정적인 글을 실었는가 하는 항의에서 그랬을 테니 그 후손의 한 사람이 아니었을까싶다.

  할머니와 약속이 되어 양양 글라라 수녀원 축성식에 참석했던 일 -작년에 작고하신 다이엔 미국 수녀님과 친분이 계셨기에- 이며, 돌아오는 길에 주문진 근교 시골에 들러 당신 화폭에 담을 소재를 사진에 담기도 하고 어느 화가들과 음악가들이 어울려 지내는 집에 들러 담소를 나누기도 했다.  할머니는 그림을 썩 잘 그리시는 취미 생활을 하시는 분이라, 한국 정서에 대한 그림을 많이 그리셨다. 
  주문진 항구에 들러 곧 많은 대게를 사셨는데, 당신 자신을 위함이 아닌 정동 형제들을 위해 들려주신 것 또한 잊을 수 없는 감사! 

  성거산에서 지낼 적엔, 할머니는 잘 아시는 장애 운전사- 예전 낙선재에서 지내실 때부터 장애 아이들에게 수예나 여러가지 기술을 가르치셨단다- 를 앞세워 나를 찾아 주셨는데, 네이비에만 의존 넘어 성지로 잘못 가시어 전화를 하신 적이 있다.  그 때도 얼마나 성격이 긍정적이셨던지 짜증이나 불평보다는 오히려  "맛세오, 덕분에 이렇듯 아름다운 성지에도 와 보네!" 하시며 기뻐해 하셨다.

  그랬다.  좀 서운한 것은, 돌아가시기 전 진작에 할머니가 지내시는 하와이로 찾아 뵈어 드렸더라면...하는 아쉬움!  오늘 아침 미사와 기도에 할머니를 기억해 드리며, 이런저런 할머니와의 추억들을 되새겨 보았다.  나의 엄마와 같은 해,1923년생이시니 꼭 94세.  다행히 다음 주 토요일에 몇몇 지인들이 모여 정동 수도원에서 연미사를 올려 드린다니 참석해야겠다.
  한국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신 쥴리아 할머니, 비록 멀고 먼 하와이 바닷가에 뿌려지신 시신이지만, 한평생 한국 땅에 편히 묻히시기를 원하셨던 당신 원의대로 영령 만은 저희들과 함께 계시리라 믿지요.  사랑하는 쥴리아 할머니...영원한 안식을 주님과 함께...!!!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8 옛 것에 대한 소중함 T 평화와 선. 꼭 10년 전 '안식년' 때의 일이다. 기회가 닿아 오래 전 내가 공부하던 영국,캔터베리엘 갔었다. 놀랍게도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이 무색할 ... 2006.02.05 2685
447 하,참! 고 녀석! T 평화/ 선 불과 1시간 전에 곁을 떠나지 않고 졸졸 따라 다니던 진도개 강아지가 다른 집으로 떠나 버렸다. 3일 전에 3마리의 진도개 새끼를 어느 지인이 가져다... 3 김맛세오 2011.04.17 2677
446 수덕사의 친구들 T 평화가 강물처럼... 예나 지금이나 등산을 무척 좋아해 휴일이면 어김없이 기차나 뻐스를 타고 아니면 걸어서라도 멀고 가까운 아무 산으로 향하는 것이... 김맛세오 2013.03.05 2661
445 간밤 꿈에 초롱초롱한 수많은 별을 보았더이다 T 평화와 선. 눈을 떠보니 꿈. 어쩜 그리도 맑고 초롱초롱한 별들이 끝없이 펼쳐졌을꼬...? 예사롭지 않은 꿈을 꾸는 날엔 절로 기분이 좋아 모든 것이 잘 될 것 ... 2006.03.08 2648
444 지난 주 이야기... 주님을 찬미합니다~!!! 지난 주 목요일(9월16일) 저는 퇴근시간인 오후6시가 되자 사무실을 나와 은행동 으능정이 쪽으로 걸어갔습니다. 대전시내를 잘 아시는 분... 1 김성호 돈보스코 2010.09.20 2646
443 "섀(새)가 날아갔다!" T 평화와 선 며칠 전 저의 축일을 축하하려 보나네가 미사에 왔었습니다. 두 살 아이, 보나를 어쩌다가 만나면, 날로 귀여워 가는 모습에 그 표정만 봐도 &quot;아유, ... 1 김맛세오 2011.11.24 2641
442 기쁜 까마귀 소리 T 평화와 선 격세지감이랄까요! 세상이 참으로 많이도 변했습니다. 앞 마당 화단에 물을 줄 때면 으례히 들리는 웬 까마귀 소리...!? 까마귀 하면, 어릴적 의정부... 김맛세오 2012.04.17 2639
441 현란한 꽃의 반란 T 평화/ 선 예전에 네델란드를 여행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튜립이나 안네의 일기, 또는 램블란트, 고흐로 유명한 작은 나라면서도 세계적으로 알려진 것들이 많은... 1 김맛세오 2012.05.30 2636
440 꿈-열정-도전 T 평화와 선 예전, 30대 초반이었다. 먼 여행에서 돌아 와, 런던의 빅토리아 스테이션에 도착한 시각이 예정보다 넘 늦은 밤 11시쯤이었으니, 그 시간에 수도원이... 2 김맛세오 2011.07.26 2634
439 임종이 가까운 고종 사촌의 소식! T 온누리에 평 생자필멸(生者必滅)이라! 평소 느끼지 못하며 살다가도 주변 가까운 이들이 하나 둘 떠날 때마다, 영육간(靈肉間)의 별리를 무척이나 아쉬워하며 ... 2010.07.11 2628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