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4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온 누리에 평화가...


  한 생을 지내면서 어느 경우엔 참으로 신비로운 만남도 다 있으니, 오늘 올리고자 하는 경험이 바로 그런 경우이다.

  역시 2012년도 전 성거산에서 지낼 때의 일이다.


  수도원에 가끔 올라오는 분들 중, 자주 귀신을 만나 괴롭게 지낸다는 한 자매의 허심탄회한 고백을 들을 수 있었다.  역시 그런 삶의 고충을 아무에게도 발설하기 어려웠으니, 몇몇 신부님들이나 내노라 하는 성령 봉사를 하시는 신부님께 상의를 해 보아도 뾰족한 답이 없는 현실!  나 역시 묵묵히 들어줄 뿐 별다른 해법이 없었다.


   내용인 즉은, 자주 귀신이 나타나 이런저런 해괴망측한 훼방을 놓으니 그 괴로움이란 표현할 수 없어 가정생활 자체가 엉망이란다.  당시 어린 남매를 두었고, 그런 일로 애들 아빠와는 원만한 가정생활을 꾸리기 어려워 별거중.  그런 와중에도 신앙생활의 끈은 놓지않고 기도에 매어달려 열심히 지낸단다.


  그래선지 가끔 자매가 생각이 날 때면, 예수님의 가장 측근에서 어렵사리 지냈던 막달나 마리아나 사막의 성녀 마리아 같은 분들이 떠올려지곤 한다.  지독한 일곱 마귀에 시달렸던 막달라 마리아는 제일 먼저 예수님의 부활을 체험한 여인이요, 사막의 성녀 마리아는 젊었을 한 때 뛰어난 미모로 환락의 여인으로 살다가 그래선 안되겠다싶어 어느 날 회개의 증거로 순례자들의 대열에 끼어 예루살렘을 향해 순례를 했다.  그러나 예루살렘의 무덤 성당에 이르렀을 때, 밖의 계단에서 발이 떨어지질 않아 죗값에 대한 표증이려니, 통한의 큰 눈물을 흘리고서야 묶였던 발이 떨어져 성당 안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그 후 죽을 때까지 입고 있던 단 한 벌의 옷이 너덜너덜 다 떨어져 거의 나신인 채로 아무도 없는 사막에서  발견되어 임종 직전에 총고백을 했다는 전설같은 이야기가 떠오른다.       


   몇 년 전이었다.  참으로 상식적으론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 일어났으니, 오랫만에 자매가 서울에 올라 와 점심을 함께 하기로 약속했다.  가까운 추어탕 집으로 가 추어탕을 들려는 순간, 이게 웬일인가!?  자매의 탕 속에 커다란 수세미가 걸린 경악할 일이 발생했다.  즉시 주방 일 하는 사람들을 불러 자초지종을 말하니, 그네들의 표정이 그야말로 초죽음이었다.  물론 나는 추어탕을 들었고 그 자매는 수미가 나온 추어탕을 들지 못- 어이 그런 일이 일어 난 걸까?  지금도 의문이지만, 유명한 추어탕 집이라 수많은 사람들이 매일 줄을 서서 먹는 마당에, 하필이면 그 자매 탕 속에 그것이 나왔단 말인가?!  이해할 수 없는 의아함으로, "정말 귀신이 곡한다더니, 오늘 보란듯이 귀신이 훼방을 놓은 걸까?" 하는 생각이 아니 들 수가 없는 거였다.  


  요즘에도 일 년에 한 두번은 만나 어떻게 지내느냐고 안부를 묻지만, 오늘 미사중에 유독 그 자매가 떠올라  미사 후 바로 전화를 했다.  늘 잘 안풀리는 삶의 어려움을 호소하던 예전과는 달리 의외로 매우 명랑한 목소리로 잘 지낸다니, 하느님께 감사!  남매도, 한 애는 대학생으로 작은 여식은 고 3년으로 공부들을 잘 하며 지낸단다.


  마(魔), 귀신(鬼神)...따위의 영(靈)에 관한 영역은, 대부분 사람들의 의식 세계에서는 별로 관계없이 지내지만, 어떤 특이한 사람들에게는 실제적인 상황일 수 있다는 것이 내 개인의 소견이다.   반대로 입장에서 살던 두 형제중 하나는 귀신에 시달리며 지내는 것과는 달리, 예수님을 직접 만나 대화하는 영묘하고 맑은 영(靈)도 있지 않는가?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 내 인생의 페이스 T 온 누리에 평화를...  과연 인생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우리가 살아가면서 이에 대한 확실한 정답은 없겠지만 그렇다고 결코 무심할 수 ... 김맛세오 2017.06.20 1183
57 풀잎 풀꽃 하나의 신비! T 온 누리에 평화가...   봄이 살며시 다가 와 이렇게 말을 건네는 것같다.   "맛..님, 어느덧 2017년의 봄이 오고있네요.  여기 정원엔 맨 먼저 잔디밭에 ... 김맛세오 2017.02.28 1182
56 만물은 함께 나누어야 할 형제 자매 T 온 누리에 평화를 빌며...   며칠 전 정원에 있는 키 큰 은행나무 전지 작업이 있었다.  그런데 높은 가지 사이에 까치 한 쌍이 집을 짓느라 몇 날 며칠 분... 김맛세오 2017.03.14 1180
55 내 기억 속의 다양한 영상들 T 평화가 그대들에게...   정원에 피어나고 있는 꽃 사진을 앵글에 담으려니   유난히 할머니, 엄마의 모습이 그리워진다.   늘 초봄이면 텃밭의 흔한 꽃... 김맛세오 2017.05.08 1152
54 방하착(放下着) T 평화를 빌며...   이 아침, 얼핏 '방하착(放下着)'이란 용어가 떠오른다.   이 말은 "공허한 아상(我相), 즉 나의 모든 걸 내려놓아야 한다."는 의미로, 흔... 김맛세오 2019.01.14 1150
53 불자(佛者)인 외사촌 형을 생각하며... T 평화가 온 누리에.   오늘같은 초파일이면 단 하나 뿐인 외사촌 형이 생각난다.   15년 전쯤 큰외숙모가 돌아가셨을 때 절에다 모셨기에 이모들을 따라 ... 김맛세오 2017.05.03 1150
52 사실 매화보다 섬진강 물결이... T 평화가 온 누리에...   이맘때면 매화가 피기 시작했을 터인데...콤퓨터에 광양의 매화마을을 처보니, 거의 다 예전에 실은 사진이나 글이어서 올해엔 며칠... 김맛세오 2017.03.27 1129
51 유난히 즐거왔던 인왕산행 T 온 누리에 봄기운이...   주말엔 언제나 그렇듯이 틈을 내어 가장 가까운 인왕산엘 오르곤 한다.   길목마다 하루가 다르게 봄 기운이 무르익어 가는 모습... 김맛세오 2017.03.27 1128
50 자연의 계절, 인간의 계절 T 온 누리에 평화   어젠 가리봉동 수녀원의 주일 미사에 참례한 후, 가까운 산으로 산행을 하리라 마음을 먹었다.  딱히 정해진 산은 없었지만 지하철 노선을... 김맛세오 2017.08.08 1122
49 평창동 수도원에서의 생활 T 평화와 선 평창동 수도원은 북한산, 보현봉 자락에 위치하여 정동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공기가 맑아 좋은 곳이다. 한가지 예로서- 정동에서 지냈을 땐, 수도... 김맛세오 2019.12.11 1116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