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말씀나누기
김레오나르도 2019.02.11 03:51

연중 5주 월요일-<못된 놈>

조회 수 1439 추천 수 5 댓글 1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오늘 독서는 창세기 1장이고 하느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신 얘기,

그러니까 이 세상이 어떻게 있게 되었는지,

우리 인간이 그리고 내가 어떻게 있게 되었는지 얘기해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모든 것이 스스로 있게 된 것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창조하시어 그리 된 거라는 얘깁니다.

 

그래서 뭣이 또는 내가 왜 이렇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조상 탓이나 남 탓을 하지 말고 자기 탓도 하지 말라는 것인데

물론 인간의 죄 때문에 그리 된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고

근원적인 문제, 예를 들어 무엇이 왜 이렇게 생겨나게 되었는지에

대한 문제는 인간에게 따지지 말고 하느님께 따지라는 말입니다.

 

이런 얘기를 굳이 하는 이유는 며칠 전 뉴스를 보다가

인도의 한 젊은이가 부모를 상대로 소송을 걸었는데

자기가 원하지도 않았음에도 태어나게 된 것을 가지고

소송을 걸었다는 얘기를 듣고 기가차서 얘기하는 겁니다.

 

그러지 않아도 부모는 자기 자녀들에 대한 원죄의식이 있지요.

유전적으로 질병을 물려준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장애로 태어났거나 몸이 약하거나 성격이 못됐거나 그 모두가

자기가 그렇게 물려줬거나 만들어서 그리 된 것이라고 말입니다.

 

그래서 지난 해 놀지만 말고 뭐라도 좀 하라고 꾸짖자 자기를 칼로 찌르고

방치한 채 도망가는 아들에게 피 묻은 옷은 바꿔 입고 가라고 한

그 엄마처럼 모든 부모들은 못된 자식을 탓하고 미워하기보다는

모든 것을 자기 탓으로 여기며 끝까지 사랑을 포기치 않지요.

 

그런데 거듭 말하지만 인간이 이렇게 된 것은 부모가 그리 한 것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그리 창조하셨기에 그리 된 것입니다.

오늘 창세기는 거듭 이렇게 말하지 않습니까?

 

한 처음에 하느님께서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

그대로 되었다.”

 

모든 피조물은 하느님께서 창조하신 그대로 된 것들입니다.

그런데 인간만이 못된 놈들이 있습니다.

 

우리말에 아주 못된 짓을 하며 사람구실을 못하는 사람을 일컬어

<못된 놈>이라고 하는데 말하자면 사람이 되다가 만 것입니다.


이 말은 물론 태어날 때 조숙아로 태어난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태어난 뒤 제대로 성숙을 했어야 하는데 그 성숙이 멈춘 걸 말하는 거지요.

 

그러니까 몸뚱이는 어른으로 성장을 했는데

생각하는 것이나 마음 쓰는 것은 정상적인 어른으로 성장하지 못한 경우요,

윤리 도덕적이고 인격적으로 되어야 할 그 기준에 미달한 경우지요.

 

요즘은 거의 이 말을 들을 수 없지만 옛날 우리는

삼강오륜三綱五倫을 귀에 못이 박히게 들었습니다.


이것이 우리 인간이 되어야 할 유교적 기준이었는데

이 기준을 놓고 보면 요즘 사람들 중에는 못된 인간이 많고,

그래서 옛날 어른들은 아마 혀를 끌끌 차며 한탄을 하실 겁니다.

 

그러나 우리 창세기 신앙의 기준이랄까 영적인 기준으로 보면

하느님께서 우리인간을 창조하실 때 본래 뜻하신 대로 되지도 않고,

하지도 않는 그런 인간 그러니까 제멋대로 사는 사람을 말하는 걸 겁니다.

 

저는 하느님 본래의 뜻, 영적인 기준을 한 마디로 사랑하는 것이라고

좀 더 풀어서 얘기하면 경천애인敬天愛人,

곧 하느님을 경외하고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요,

여기애인如己愛人, 곧 남을 자기처럼 사랑하는 것이라고 하고 싶습니다.

 

그러니 사랑하지 않고, 사랑하려고도 하지 않는 사람은 다 못된 놈임을

깊이 성찰하고 반성하는 오늘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28Feb

    연중 7주 목요일-지혜, 분노에 더딘 사랑을 아는 것.

    자만하기 때문에 하는 말이 아니라 저는 정말로 하느님을 믿고 하느님의 사랑을 철석같이 믿습니다. 문제는 하느님 사랑을 너무나 잘 믿어서 마음 놓고 죄를 짓는다는 겁니다.   내가 아무리 큰 죄를 지어도 하느님은 나를 버리지 않으실 거라고, 하느님...
    Date2019.02.28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0 Views1238
    Read More
  2. No Image 27Feb

    연중 7주 수요일-지혜, 시련을 단련으로 믿는 것

    오늘도 집회서를 가지고 묵상을 하렵니다. 그래서 지혜시리즈를 이어 가려고 하는데 오늘 지혜에 대한 가르침이 으스스합니다. 지혜는 가시밭길을 걷게 하고 두려움과 공포를 몰고 온다니 말입니다.   “지혜는 처음에 그와 더불어 가시밭길을 걷고 그...
    Date2019.02.27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427
    Read More
  3. No Image 26Feb

    연중 7주 화요일-지혜, 기대하지 않고, 각오하는 것

    “얘야, 주님을 섬기러 나아갈 때, 너 자신을 시련에 대비시켜라. 네 마음을 바로잡고 확고히 다지며, 재난이 닥칠 때 허둥대지 마라. 주님께 매달려 떨어지지 마라.”   오늘은 독서와 복음을 연결시켜서 묵상을 해보겠습니다. 오늘 집회서의 첫 마디는 “...
    Date2019.02.26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376
    Read More
  4. No Image 25Feb

    연중 7주 월요일-지혜, 행복할 줄 아는 것

    오늘 집회서는 모든 지혜가 하느님에게서 온다는 말로 시작하면서 지혜란 무엇이고 어떤 것인지 얘기합니다. 하여 우리도 지혜란 어떤 것인지 묵상해봄도 좋을 것입니다.   일단 지혜란 뭘 아는 것이고 그래서 늘 지식과 비교가 되는데 지식이 사물이나 ...
    Date2019.02.25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680
    Read More
  5. No Image 24Feb

    연중 제 7 주일-미움이 있는 게 손해지 사랑이 있는 게 손해가 아니다.

    “너희가 도로 받을 가망이 있는 이들에게만 꾸어 준다면 무슨 인정을 받겠느냐? 죄인들도 고스란히 되받을 요량으로 서로 꾸어준다.”   옛날 교과서에서 인류의 위대한 스승으로 공자, 석가모니, 마호메트, 예수님, 이렇게 넷을 꼽았는데(맞나?) 제 생...
    Date2019.02.24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253
    Read More
  6. No Image 24Feb

    2019년 2월 24일 연중 7주일-터키 에페소 기도의 집

    2019년 2월 24일 연중 7주일  오늘 복음에서 주님께서는 미워하는 자들에게 잘해 주고, 저주하는 자들에게 축복하며, 학대하는 자들을 위하여 기도하라는 원수 사랑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오늘 화답송에 나오는 내용처럼 주님께서는 자비롭고 너그러운 마음인...
    Date2019.02.24 Category말씀나누기 By고도미니코 Reply0 Views515
    Read More
  7. No Image 23Feb

    연중 제7주일

    2019.02.24. 연중 제7주일 - http://altaban.egloos.com/2234275
    Date2019.02.23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46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754 755 756 757 758 759 760 761 762 763 ... 1428 Next ›
/ 142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