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2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T 평화. 선


  초교 4학년 무렵에 담뿍 어린시절의 정이 든 동지기(동작동)를 떠나 흑석동으로 우리 집은 이사를 하였다.  자연과 농촌의 순수한 시골스러움이 전부였던 동지기에 비하면 흑석동은 이미 상당히 많은 인구가 밀집된 지역이라, 서울의 변두리지만 소박함과는 거리가 먼 곳이었다.

  그래선지 10년의 세월을 흑석동에서 지냈으면서도 공부에 열중한 것 밖에는 솔직히 별다른 추억이 없다.  아마도 나대는 성격이 아니라서였는지, 가까이 오고간 초등학교 3년간과 노량진 전차역을 오간 6년간의 10여년동안 깊이 새겨진 추억거리가 별반 없다.

  있다면 성당에 다니시는 할머니를 따라, 세례를 받지 않았음에도 바늘과 실처럼 할머니의 꽁무니를 따라 성당엘 자주 간 것과, 학교 공부가 끝나 집에 돌아오기가 무섭게 만화방으로 쪼르르 달려가 연재 만화의 재미에 푹 빠져 울며 웃었던...


  그러면서도 오늘 흑석동을 주제로 이 글을 오리는 것은, 최근 초교 동창 녀석들 열댓명이 동작동에서 만나 현충원 내 지장사(옛 화장사)를 거처 흑석 3동으로 넘어가면서 '달마사' 옆길로 하여 '은로' 초교 를 지나며 느낀 바가 컸기 때문.  달마사 근방은 지역이 높은 곳이라, 흑석동에서도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 살던 달동네였었다.  '은로'초교에서 조금만 더 올라가 고개를 넘으면 숭실대학교가 나오는데, 그 일대가 상전벽해처럼 전부 아파트 숲으로 변하여 옛 길 예 동리라는 아늑한 고향에 대한 이미지는 전혀 찾아 볼 수 없었다.  모교인 '은로'초교도 고층 아파트에 둘러쌓여 작은 섬처럼 초라해 보였다.  바로 곁 '중대부속 중학교'를 지나 조금만 가면 내가 살던 동리가 나오는데, 거기 역시 개인 및 빌라 집들을 전부 부수고 아파트를 지을 부지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었다.  물론 내가 살던 기와 집 역시 꽤 오래 전에 3층 빌라로 변해 낱선 동네란 느낌 외에는 아무런 고향 내음도 나지 않았다.


            흑석3동 삐알 길을 내려오면서


            아슴아슴 떠오르는 옛 기억들...


            아득히 저 멀리 보이는

            변해도 너무 많이 변해버린 

            한강, 모래톱들마냥

            흐르고 묻혀버린 아득한 배냇 기억처럼...


            그래도 눈내리는 겨울은 오겠지?

            때가 되면 눈은 그렇게 녹을테고...


            그런데 맘 한 구석 왜 이리 허전할꼬?



  그동안 10년마다 돌아온 '안식년'을 두 번 지내는 동안, 운좋게 기회가 닿아 그때마다 예전에 공부하던 영국, 캔터베리를 간 적이 있었다.  그 동네가 제 2의 고향처럼 따스하게 느껴졌던 것은, 수십년 세월이 지났어도 옛 건물들은 물론 골목길이나 작은 빵 집...그 어느 것 하나도 변함이 없는 옛 모습 그대로여서 비록 아는 사람은 없어도 고향의 품 속에 안긴 것처럼 감회가 깊었다.

  마음 한 구석 고향이 자리해 있다는 것은 우리네 정서상 참으로 좋은 의지가지가 되는 것이다.


  물론 언젠가는 돌아가야 할 영원한 귀향이 우리네 예표가 되어야 하겠지만 말이다.    


생활나눔

일상의 삶의 체험을 나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8 또 다른 만남 T 평화와 선 성거산 줄무덤 성지 미사에 참례하러 가끔 뒷 산을 오르는 요즘... 하루가 다르게 짙어가는 가을 단풍에 넋을 잃게 만다. 역시 가을은 생각이 깊어지... 2 2010.11.07 2503
407 엄마의 달 T 평화/ 선 어젯 밤 한밤중 단잠을 자다가, 성거산 등걸 휘영청 걸려있는 보름 달 빛에 더 이상 잠을 이루지 못하고 말았으니... 인류가 존재해 온 이후 얼마나 ... 2 김맛세오 2011.05.18 2497
406 정원의 풀(잡초?)을 뽑으며... T 평화 세상에 잡초가 어디에 있습니까. 인간의 이기에 의해서 풀과 잡초를 나누는 이분법의 잣대가 저로서는 별로 탐탁치 않습니다만, 잔디를 가꾸려다 보면 어... 1 김맛세오 2012.05.16 2492
405 할미꽃 T 온누리에 평화. 선배님들 무덤가에 할미꽃이 소복히 피고 있다. 꼭 이맘때면 피어나는 할미꽃을 만나면 정말 옛적 내 할머니를 닮은 모습에 언제나 보아도 편안... 5 2007.04.05 2488
404 12월의 추위! T 평화와 선 이렇듯 컴퓨터 앞에 앉아 있노라면 언제나 넓은 창 밖의 시야가 펼쳐져 좋다. 물론 기온이 뚝떨어져 지금 영하 14도나 되는 강추위여서, 떨고 있을 ... 2010.12.15 2482
403 자매 물에 대한 한 생각 T 평화와 선 "쓰임 많고 겸손하고 값지고도 조촐한 누나 물에게서 내 주여 찬미를 받으시옵소서." 성 프란치스코는 '태양의 노래'에서 물에 대하여 위와같이 노래... 김맛세오 2011.04.05 2472
402 사랑은 너무 아파! T 온누리에 평화가. 이렇듯 바람이 차갑고 심한 날이면 피어난 꽃들은 얼마나 추울까! 꽃샘 추위라지만 사랑을 시샘하여 불어오는 삭풍 때문. 졸졸 흐르는 계곡물... 2 2007.04.03 2470
401 '미래'야, 아는 척 좀 하자꾸나 T 온 누리에 평화 어릴 적부터 강아지나 개를 무척이나 좋아했습니다. 오죽하면 멋모르고 어른들을 따라 잘 먹던 보신탕을 수도원에 입회한 이후 절대로 입에도 ... 김맛세오 2012.06.06 2465
400 포도철과 보나의 어머니 T 온누리에 평화 '성거읍' 하면 거봉으로 유명- 이맘 때 포도철이 오면, 청포도와 거봉이 그야말로 주저리 주저리 열리는 신나는 고장이라. 무엇보다도 큰이모(부... 2010.08.31 2465
399 인왕산(仁旺山) 길 T 평화와 선 치통으로 마지막 씹을 수 있는 이를 뽑아 근 2주 정도 죽 만을 먹고 지내는 힘든 요즘입니다. 꼭 사순시기에 맞추어 이런 일이 생기는 걸 보면 어지... 김맛세오 2012.03.11 2462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52 Next ›
/ 5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