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293 추천 수 2 댓글 1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울 터인즉,

저승의 세력도 그것을 이기지 못할 것이다.”

 

오늘은 성 베드로 사도좌 축일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이 축일의 이름부터 잘 알아야 합니다.

성 베드로라는 이름이 들어가 있으니 베드로 성인에 대한 축일 같지만

시몬 베드로 성인의 축일은 629일 따로 있으니 개인의 축일이 아니라

사도좌에 대한 축일이며 그러나 첫 번째 사도좌에 앉은 분이

베드로 사도기에 베드로 사도가 왜 어떻게 사도좌에 처음 앉게 되었는지,

그것에 대해서는 오늘 복음을 통해서 볼 수 있을 겁니다.

 

사실 사도좌가 중요한 것이지 누가 앉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사도좌란 이 사람이 앉을 수도 있고

저 사람이 앉을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사도좌가 어떤 자리인지 그것을 보는 것이 우선일 것입니다.

 

사도좌는 우선 이 세상의 권좌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왕좌는 자기 나라를 다스릴 임금의 자리요 권력의 자리지만

사도좌는 주님의 교회를 다스릴 청지기의 자리입니다.

 

그러므로 오늘 사도좌 축일을 지내면서 우리는 우리 가톨릭교회뿐 아니라

모든 주님의 교회와 공동체를 다스릴 청지기좌의 의미를 봐야 합니다.

 

오늘 마태오복음 외에도 복음을 보면 청지기는 주인이 집을 비우고

어디를 갔을 때 주인 대신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역할은 주인의 종들을 통솔하고 집안일을 대신 관리하는 거고요.

 

그러므로 청지기좌에 앉을 사람에게 먼저 필요한 것은 <대신의식>입니다.

그러나 이 대신의식이 주님의 큰 신하라는 뜻의 대신大臣의식도 되겠지만

주님을 대신한다는 의미의 그 대신代身 의식입니다.

 

교회는 주님의 교회라는 것이고 그러니 내 것이 아니라는 것이며,

주인의식을 가져야겠지만 내 거라는 뜻에서가 아니라

주인을 늘 의식하고, 주인님이라면 뭘 바라실지 의식하는 겁니다.

 

오늘 주님께서도 분명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겠다.”고 하셨잖아요?

당신이 세우시고 당신의 교회를 세우시겠다고 확고히 하신 겁니다.

 

일부 학자들이 주님께서는 당신 교회를 세우실 마음도 없었고

오로지 아버지 하느님의 나라를 세우려 하셨으며 그래서

당신 교회를 세우시지 않고 사도들이 주님의 교회를 세운 거라고 하지만

오늘 마태오복음에서는 분명 주님께서 당신 교회를 세우시겠다고 합니다.

 

그래서 권좌는 힘 있는 사람이 자기 힘으로 차지하지만

사도좌와 청지기좌는 주인이 그 자리에 앉히는 것이고

그러기에 이 자리에 적합한 사람은 힘 있는 사람이 아니며

이 자리에 필요한 것도 능력이 아니라 사랑입니다.

 

베드로 사도도 처음에는 사도좌를 권좌라 생각했고

그 권좌를 다른 제자들과 경쟁하여 차지할 마음이 있었습니다.

 

예루살렘 입성을 앞두고 야고보와 요한 형제가 어머니를 앞세워

자리 청탁을 하자 다른 제자들이 불쾌해했다고 복음에 나오는데

베드로 사도도 그 불쾌해한 사도들 중 하나였을 것이고,

그래서 오늘 복음과 같은 내용을 어제 마르코복음에서 봤듯이

주님이 그리스도이심을 베드로가 고백한 후 주님께서 수난을 예고하시자

안 된다고 반박도 하고 사탄 소리를 들은 것도 다 이 때문이었을 겁니다.

 

그랬기에 주님께서 돌아가셨다가 부활하신 후 이 세상을 떠나시며

베드로 사도에게 당신 교회, 곧 양들을 맡기시며 사랑을 확인하시는데

그런데 당신 양들을 사랑하느냐 묻지 않고 당신을 사랑하느냐 물으십니다.

 

물론 양들을 사랑해야 하지만

주님을 사랑하기에 주님의 양들도 사랑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주님 교회의 작은 반석들이고 청지기인 우리에게 필요한 것도 이거겠지요?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profile image
    홈페이지 민엘리사벳 2019.02.22 08:19:20
    주님이 주신 모든 것은 내가 사는 동안 잘 사용하고 관리하라고 위탁 하셨으니 착한 청지기로 살아가야겠다고 생각해 보는 아침입니다. ^^♡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06Mar

    재의 예식 다음 목요일

    2019.03.07. 재의 예식 다음 목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34459
    Date2019.03.06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485 file
    Read More
  2. No Image 06Mar

    재의 수요일-<Coram Deo/ 하느님 앞에서>

    이번 사순절을 맞이하며 드는 느낌은 <드디어 왔다>는 것입니다. 전에도 그랬겠지만 이번에는 특히 더 사순절을 맞이하며 전투를 앞둔 군인의 긴장감 같은 것을 느꼈습니다.   그러니까 드디어 왔다는 것이 보통은 사람이나 물건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
    Date2019.03.06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447
    Read More
  3. No Image 05Mar

    재의 수요일

    2019.03.06.재의 수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34430
    Date2019.03.05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1 Views505
    Read More
  4. No Image 05Mar

    연중 8주 화요일-제물일까, 뇌물일까?

    나의 믿음은 어느 정도인가? 하느님의 존재를 믿는 것은 의심하지 않고 믿는 것 같은데 그 하느님이 정말 내 생명을 쥐고 계시분이라고 확고히 믿는가? 이 하느님이 나의 생사뿐 아니라 화와 복까지 그러니까 나의 생사화복生死禍福 모두를 쥐고 계시는 ...
    Date2019.03.05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361
    Read More
  5. No Image 04Mar

    연중 8주 월요일-사랑하는 그가 우리에겐 당신입니다.

    “너에게 부족한 것이 하나 있다.”   오늘 주님께서는 영원한 생명을 얻기를 갈망하는 기특한 젊은이를, 어렸을 때부터 십계명을 성실히 지켜온 기특한 젊은이를 칭찬합니다.   사실 영원한 생명을 얻고자 하는 것이 욕심일 수도 있지만 의외로 그런 욕...
    Date2019.03.04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 Views1350
    Read More
  6. No Image 03Mar

    연중 제 8 주일-말의 곳간인 마음이 바뀌어야

    선한 사람은 마음의 선한 곳간에서 선한 것을 내놓고, 악한 자는 악한 곳간에서 악한 것을 내놓는다. 마음에서 넘치는 것을 입으로 말하는 법이다.   한 7-8년 전에도 그러더니 요즘 들어 제 입에서 가끔 욕이 나옵니다. 물론 공적인 자리가 아니고 대놓...
    Date2019.03.03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1061
    Read More
  7. No Image 03Mar

    연중 제8주일

    2019.03.03. 연중 제8주일 - http://altaban.egloos.com/2234388
    Date2019.03.03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37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644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 1320 Next ›
/ 132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