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9.10.01 03:07

더 늙기 전에

조회 수 4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더 늙기 전에

 

은퇴한 사람들은 쉬면서 즐기는 것에 대한 꿈을 가지고 있다.

경제적인 여건이 허락되면 즉시 그렇게 한다.

다람쥐 쳇바퀴 도는 삶을 살았기에 마지막으로 온몸을 펼치고 쉬면서

아무것도 하지 않을 기회가 온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삶은 개인적이고 이기적이며 자신만의 즐거움을 찾다가

인생을 끝마치게 마련이다.

 

가장 중요한 인생의 후반부를 자신만을 위하여 산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

주변 사람들과 더 좋은 관계를 만들어 가고,

젊은이들에게 지혜를 전해 주거나,

하느님 안에서 깊은 진리를 추구하는 것들이 빠져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마지막 인생을 거룩하게 하는 영적 갈망이 없다면

무력감과 외로움, 공허감 속에서 우울하게 보낼 수밖에 없다.

 

희망이 사라진 눈빛, 절망감에 젖은 얼굴, 기력 없는 몸으로

지하철을 타고 뚜렷한 목적지도 없이 떠도는 무수한 노인들을 보면 안타깝고 슬프다.

자신이 경험을 의미 있는 전체로 묶어 낼 수 있는 나이에

쓰고 버려진 물건처럼 주변을 맴도는 실상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


나는 내 인생에서 가장 전성기라고 할 수 있는 나이에

경남 산청에서 한센인들과 십여 년을 살았다.

그들은 세상에서 버려진 사람 취급을 받고 살아왔다.

스스로 선택한 삶이 아니라 강제로 떠나야 했고

가족과 이웃과 관계의 단절을 겪고 살아야 했다.

그들은 인생의 모든 단계를 거친 사람들이었다.

그 가운데에는 성장하고, 내려놓고, 넘겨주고, 고통과 눈물과 한숨을 통해

진짜 자기를 살아내는 방법을 깨우친 분들이 있었다.

그들은 할 말이 있는 분들이었다.

하느님을 만날 수 있었기 때문에

자신이 나병에 걸린 것이 축복이라고 하는 분도 있었다.

단순하고 소박한 내면에 흐르는 인간성은 찾아오는 이들에게

감동을 주고 눈물을 흘리게 했다.

그들은 미워하고, 비난하고, 죽이는

부정적인 것들을 전해 주는 짓을 그만둔 사람들이었다.

난 그들에게서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었다.

 

우리는 예수님의 신성을 강조하다 보니

예수님의 인간성을 통해 보여주신 것들을 회피해 왔다.

우리가 어떻게 천국에 갈 수 있는지를 가르치신 분으로 이해하기 전에

먼저 우리에게 어떻게 인간이 될 수 있으며

어떻게 관계를 맺고 살아야 하는지를 가르치신 분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분의 인간성을 배우는 것부터 시작하지 않은 사람이

그분의 신성을 배우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배울 것이 없다.

우리는 인간성에서 출발해야만,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시작을 올바르게 하기보다는

끝을 올바르게 만드는 일에 사로잡혀 있다.

이제와 우리 죽을 때, 아멘이라고 한다.

변화시키는 신앙은 항상 미래보다 지금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인다.

지금 내가 어떤 일을 어떻게 하고 어떤 관계를 맺는가? 하는 문제는

주변 사람들, 일터, 가족, 동물과 식물, 자연 안에 모든 피조물 안에서

현재의 순간에 하느님과 어떻게 관계를 맺는가 하는 문제다.

이는 내가 그들 안에서 하느님을 만나고 있다는 증거가 있는가? 를 성찰하게 한다.

 

지금은 내 인생에서 가장 젊을 때이다.

지금은 변화의 시간이며 하느님과 나와 만나는 시간이다.

지금 그렇다면 미래도 그러할 것이다.

 

더 늙기 전에 진짜 자기를 살아내는 방법을 찾자

더 늙기 전에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2 숨겨진 에너지를 찾아라, 너도 할 수 있다. 숨겨진 에너지를 찾아라, 너도 할 수 있다.   성과 지향적인 문화 속에서는 노예로 살아가기 쉽다. 분주한 생활방식, 지나친 경쟁, 출세 제일주의가 그렇게... 이마르첼리노M 2020.05.22 503
471 듣기로 시작되는 하느님 나라 듣기로 시작되는 하느님 나라   “이것을 듣고 명심하여 실천하여라. (신명 6,3-4) 이스라엘은 들어라” “말씀을 듣고 깨닫는다”(마태 13,23)   “말씀... 이마르첼리노M 2021.03.07 502
470 신앙으로 둔갑하는 이념의 뿌리 신앙으로 둔갑하는 이념의 뿌리   인과응보가 만들어내는 이념들은 신앙의 영역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념은 한쪽만을 강조하고 다른 쪽은 무시해버... 이마르첼리노M 2021.02.09 502
469 아브라함의 믿음 아브라함의 믿음   아브라함의 믿음 안에 숨겨진 진실은 무엇일까? 그의 마음을 사로잡은 하느님에 대한 무한한 신뢰는 자신의 자유를 온전히 내어드릴 만큼... 이마르첼리노M 2021.07.01 498
468 중독을 바라보기 중독을 바라보기   우상이 하는 일은 중독시킨다. 악습이 만든 중독도 이와 같다.   우상과 중독은 내 안에서 세 가지를 저지른다. 사로잡히게 만들... 이마르첼리노M 2020.06.03 498
467 자유를 배우는 학교 자유를 배우는 학교   하느님을 발견한 사람, 발견된 하느님을 만난 사람은 삼위일체 하느님의 관계적 사랑을 배운다. 아름다우시고 자비하시며 넓은 마음... 이마르첼리노M 2019.09.14 498
466 변화된 사람이 바꾸는 세상 변화된 사람이 바꾸는 세상   변화를 싫어하는 사람은 언제나 과거 속에 머문다. 지배문화의 상벌체계 속에 안주하면서 하느님의 사랑을 우리의 수고를 통해... 1 이마르첼리노M 2019.08.18 498
465 대림절 대림절   주님의 처음 오심을 경축하고 전례 안에서 오시는 성탄과 마지막 오심을 준비하기 위하여 회개하고 깨어 있으라는 복음의 메시지를 자주 듣는 ... 이마르첼리노M 2020.12.06 496
464 예루살렘 성 주간 수요일 : 주님채찍 기둥 경배 예루살렘 성 주간 수요일 :  주님채찍 기둥 경배 2020년 4월 8일   예루살렘 성 주간,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성지 보호구는 예수님께서 수... file 김정훈OFM 2020.04.09 496
463 거룩함의 진실 거룩함의 진실   나는 내 안에 계신 하느님을 반사해 줄 깨끗하게 닦인 내면의 거울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했다. 왜냐하면 그 거울이 내 삶의 중심이며, 하... 1 이마르첼리노M 2022.09.29 496
462 “너희는 언제나 내 사랑 안에 머물러 있어라” (요한 15,9) “너희는 언제나 내 사랑 안에 머물러 있어라” (요한 15,9)   사랑은 몸과 피를 주고받는 인격의 상호성 안에서 사랑이 된다. 내어주는 자와 받아들이는 자의 연... 이마르첼리노M 2022.05.19 495
461 수치심을 일깨우는 학교에서 수치심을 일깨우는 학교에서   수치는 겪어야 하는 일이다. 부끄러운 모습을 인정하는 것과 그 사실을 받아들이는 일은 자유와 해방을 위한 과정으로 반드... 이마르첼리노M 2019.09.06 495
460 따르기 위하여 버리는 나 따르기 위하여 버리는 나   “나를 따르려면 누구든지 자기를 버리고 매일 자기 십자가를 지고 따라야 한다.” (루가9,22)   예수께서는 내려가는 길을 가... 1 이마르첼리노M 2021.05.02 494
459 “나의 하느님 나의 전부시여!” “나의 하느님 나의 전부시여!”   아버지의 품 안에 들어가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모든 것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본다. 나누임이 없는 통합을 보는 것... 이마르첼리노M 2020.03.04 494
458 말하는 것을 알고 하는 말이냐? 말하는 것을 알고 하는 말이냐?   주제넘은 앎은 지식으로 시작한다. 하느님은 지식의 대상이 아닐뿐더러 지식의 대상이 되는 것을 거부하신다.   우리가... 이마르첼리노M 2019.07.26 493
Board Pagination ‹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