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3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어둠을 짊어지고 가는 빛의 길

 

만일 우리가 하느님과의 친교를 나눈다고 말하면서 어둠 속에서 살아간다면

우리는 거짓말을 하는 것이고 진리를 실천하지 않는 것입니다.” (1요한 1,6)

 

하느님과의 친교는 그분과의 연결이고

그분과의 연결은 그분의 말씀과의 관계다.

그분과의 관계는 말씀을 받아들여 자신의 삶으로

육화가 발생하는 구체적 현실이다.

 

육화는 이원론적이지 않은 현실이다.

이분법적 사고방식은 모든 것을 갈라놓는다.

자기중심적인 사고방식은 내가 하느님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세상을 보기 때문에

승패, 옳음과 그름, 선과 악, 위와 아래를 구분 짓는 관계를 만든다.

기도와 체험을 바탕으로 하는 육화의 현실은

전체를 보는 눈과 지혜로 현실을 읽어낸다.

이것이 아버지께서 우리를 바라보는 관점으로 세상을 보게 하는 눈이다.

 

육화의 여정은 어둠에서 빛으로 가는 것이기보다

어둠과 더불어 있는 빛 속에서 나타난다.

순전한 빛만 있으면 눈이 부셔 볼 수 없고

순전한 어둠만 있어도 분간이 어렵다.

어둠과 빛이 혼합되어 있을 때, 확실하게 볼 수 있다.

 

어둠은 빛을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자기중심적이고 이기적인 어둠은

영을 받아 실천하는 선을 명료하게 드러내 준다.

우리는 갈라놓기에 여념이 없이 살아왔기에

어둠을 지니고 사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예수님은 어둠과의 사랑에 빠진 우리에게

당신의 실천으로 아버지의 자비와 선하심을 드러내셨다.

그분은 자신의 실천으로 어둠을 지고 가는 빛의 길을 보여주셨다.

그 길은 어둠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길을 갈 수 있도록

이정표와 목표로써 길을 안내하신다.

 

완벽하게 그 길을 가는 사람은 없다.

오직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애쓰는 과정만이 우리의 몫이다.

이것이 세상을 구원하시는 예수님의 방식이다.

과정의 선과 과정의 진리는 항상 현실적인 고통을 수반한다.

이 고통은 구원하는 폭력이 아니라 구원하는 고통이다.

죽음으로 살리는 현장에서 겪는 수난의 현실이다.

고통으로 고통받는 이들을 살리시는 상처 입은 의사이신 예수께서 보여주신 길이다.

이 길을 가는 사람은 혼합된 현실을 하나로 만든다.

어둠과 빛은 서로를 드러내 주는 거울이기에 혼합된 현실 안에서

빛으로 밝혀주는 세상을 만들어 간다.

 

스스로 의롭다고, 선하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늘 분노하고 심판한다.

이들은 자신이 희생한다고 여기는 생각 때문에

더욱더 자신의 의로움에 집착한다.

그러나 혼합된 진리, 과정의 진리를 깨달은 사람은

빛에서 빛을 받아 어둠이 깃든 세상에서 빛을 따라간다.

이것이 어둠 속에서 명료하게 비추는 아버지의 빛이다.

분노와 앙갚음 역사 안에서 거짓된 기대를 하고 사는 우리에게

예수께서 보여주신 십자가의 길이다.

 

어둠을 짊어지지 못하는 우리의 실패에 대해 탓을 남에게 돌리던 사람이

자신의 어둠을 만나 자신을 비추시는 영의 현존 안에서 용기를 얻어

상처 입은 이와 대면하여 잘못과 죄의 용서를 청하게 한다.

잘못하는 너를 받아들이고 허용하고 환대하고 내려놓고 내려가는 삶으로 어둠을 밝힌다.

관계가 회복되면서 자신을 가두었던 감옥에서 해방과 자유와 기쁨을 누린다.

이것이 말씀이 육화되는 기쁜 소식이다.


2019, 12, 28.

무죄한 어린이 순교축일에

이기남 마르첼리노 마리아 형제 O.F.M.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81 옷을 벗는 자유 (이미지 관리) 옷을 벗는 자유   지배할 필요도 굽신거릴 필요도 없이 자유롭게 살려면 자신이 만들었거나 외부의 평가가 만들었거나 그 이미지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이마르첼리노M 2019.11.28 576
980 진실해야 닮을 수 있다. 진실해야 닮을 수 있다.   진실해야 변화가 이루어진다. 하느님의 이미지가 깨달음 안에서 변화하면 나도 바뀌어야 한다. 그 변화의 과정이 진실할 때 하... 이마르첼리노M 2019.11.26 594
979 십자가 위에서 부르는 노래 십자가 위에서 부르는 노래   다가가기 쉽고 다정하고 겸손하며 끊임없이 환대해주려는 마음으로 내 것과 네 것의 경계를 넘어 하느님의 자비와 선하심... 이마르첼리노M 2019.11.26 563
978 눈물의 이유 눈물의 이유   이해할 수 없는 감동 씻어주는 상처 부드럽게 해주는 앎 하느님의 손길 하느님의 마음을 아는 표시 가슴 벅찬 슬픔 실핏줄까지 범람하... 이마르첼리노M 2019.11.24 564
977 만추의 하늘 아래 만추의 하늘 아래   가을은 사과처럼 빨갛다. 노란 은행잎 주홍의 벚나무와 느티나무 메타쉐콰이어 가로수 길 먼 산의 낙엽송 산골에 피어오르는 파르... 이마르첼리노M 2019.11.16 538
976 당신 덕분에 꽃이 핍니다 당신 덕분에 꽃이 핍니다.   아름다운 말에는 꽃이 핍니다. 부드럽고 다정한 말에는 꽃이 핍니다. 순수하고 단순한 말에는 꽃이 핍니다.   가시 돋친... 이마르첼리노M 2019.11.14 647
975 과정의 진리 과정의 진리   인생의 후반기 삶에는 다 이상 영웅이 될 필요가 없고 참다운 자신이 될 필요만 있게 된다. 그리스도와의 일치는 지배하려는 나의 독재성과... 이마르첼리노M 2019.11.12 575
974 거울에 비친 나를 바라보기 거울에 비친 나를 바라보기   개별 정체성이 허용되는 시대에 내가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어떻게 느끼는가? 특별한 존재 열등한 존재 우월한 ... 이마르첼리노M 2019.11.07 535
973 소리 없는 소리로 경작하는 땅 소리 없는 소리로 경작하는 땅   내 존재의 땅 내가 서 있을 수 있는 존재의 토대는 예수께서 아버지의 삶에 참여하듯이 예수 그리스도의 삶에 참여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19.11.06 438
972 밤의 끄트머리에서 밤의 끄트머리에서   하느님의 지혜는 무뎌진 양심 무뎌진 정신 무뎌진 감수성을 날카롭게 한다.   고통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도 잠자는 지혜를 깨... 이마르첼리노M 2019.11.05 466
971 그물을 버리는 어부들 그물을 버리는 어부들   사랑과 안정의 토대를 주는 가족 그 안정을 넘어설 때 하느님과의 연결을 찾는다. 그러나 안정을 주지도 않고 하느님과의 연결도 ... 이마르첼리노M 2019.11.04 448
970 가을 밤 가을 밤   아프고 싶고 슬프고 싶고 고독하고 싶다.   고통에서 발견하는 眞 고독에서 발견하는 善 슬픔에서 발견하는 美 이마르첼리노M 2019.11.02 489
969 악을 비추는 거울 악을 비추는 거울   악을 이기는 방법은 악이 아니라 선이다. 일상의 여러 관계 안에서 단순히 더 나은 무엇인가를 하는 것이다. 악을 악으로 공격하면 둘... 1 이마르첼리노M 2019.10.31 466
968 복된 죄인들 복된 죄인들   우리는 죄인들이다. 절망과 어둠으로 향하는 죄인들이 아니라 죄에서 구원되리라는 희망을 지닌 죄인들이다. 하느님의 자비 아래에 있는... 이마르첼리노M 2019.10.28 450
967 내 믿음이 정착할 땅 내 믿음이 정착할 땅   내 안에서 발견한 하느님 내 밖에서 발견한 하느님 나는 그 가짜 하느님을 버렸다. 내 상처와 불안이 만든 하느님은 내 믿음이 ... 1 이마르첼리노M 2019.10.25 418
Board Pagination ‹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