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공포와 체념의 무덤을 열고 2

 

믿음은 확실한 사실들을 모아놓은 결합 상품이 아니다.

믿음은 신비다.

불확실한 미래를 향한 여정이다.

하느님과 인간, 인간과 하느님의 신뢰 관계다.

 

우리가 하느님을 믿는 것은 하느님이 우리를 믿으시기 때문이다.

이것이 우리 믿음의 출발점이다.

하느님이 우리를 믿으시는 것은

하느님의 사랑과 자비에 우리가 응답하는 결과에 따라 믿으시는 것이 아니다.

만일 그렇다면 하느님은 우리에게서 벌써 떠나셨을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하느님을 거슬러 자기 뱃속을 하느님으로 삼기 때문이다.

 

하느님의 자비는 우리의 답례를 바라시지만, 조건 없이 사랑하신다.

하느님의 우리에 대한 신뢰는 하느님에 대한 우리의 신뢰의 근원이다.

거기서 우리는 건강한 자기 확신을 키워나갈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의 믿음은 하느님으로부터 발생하는 자비와 선하심에 대한

실천적인 응답으로 를 받아들이는 데 있다.

자신의 삶과 감정에 정직하고 겸손하게 책임을 지는 실천이 응답하는 믿음이다.

이러한 응답으로 신뢰의 관계를 만들고 단절된 관계를 회복하게 한다.

나에게만 적용하던 생명의 에너지를 너를 향해 사용하기 때문이다.

 

자기중심적으로만 사용하던 에너지는 거짓 유령들이다.

거짓 유령들에게 점령당한 존재는 하느님과도 너와도 관계를 맺을 수 없다.

자기 자랑, 위선, 거짓말, 합리화, 변명, 교만과 자만심,

그리고 과대포장과 과장 광고가 유령들의 실체다.

하느님과 사랑에 빠지는 것,

하느님과 지신에 대한 개인적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유령들이 점령한 우월감과 강박관념의 땅에서 해방되는 길이다.

마음껏 자신을 토로할 수 있는 인간적인 하느님과

따스하고 친밀한 마음의 관계를 발전시켜

사랑과 신뢰의 관계를 만들어 가는 것이 하느님 나라의 내용이다.

자신의 마음을 열고 추상적인 사고를 교환하는 것이 아니라

양심에 불안을 주는 공포와 감정에 대해 솔직하게 나누는 이야기가 중요하다.

너무나 많은 이들이 이러한 공포와 감정을 숨기고 겉에만 맴돈다.

 

하느님이 우리를 믿으신다는 것과

조건 없이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것, 그리고 그분으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확신이

자신의 공포에 대해 웃을 수 있도록 돕는다.

건강한 자기 확신은 거기서 성장한다.

 

빠르게 흐르는 강물에 떠내려가면 익사하거나 실종된다.

강물을 거슬러 헤엄을 치는 것이 믿음의 현실이다.

 

벌주지 않으시며, 실수해도 괜찮고, 약점이 있어도 개의치 않으시는 하느님,

친근하고 분노하지 않으시는 하느님을 신뢰할 때

불안과 초조와 공포를 이겨낼 수 있다.

 

사랑에는 두려움이 없습니다. 완전한 사랑은 두려움을 쫓아냅니다. (1요한 4,18)

사람에게 순종하는 것보다 하느님께 순종하는믿음의 확신은

두려움 없는 용기로 너를 동반하고 부축하도록 생명의 에너지를 사용한다.

내적 권위가 거기서 생기고 그 권위는 부활의 증인으로 우리를 일상으로 파견한다.

 

2020, 4, 26 . 영명축일에

이기남 마르첼리노 마리아 형제 o.f.m.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2 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인식 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인식 방금, 본당 소식지 만드는 일로 알게된 자매님께서 메일을 주셨는데 서로 언니동생 하고 여러 번 메일을 주고 받고 있지요.. 제목이 ‘... 1 정마리아 2006.11.15 5190
1071 성직자. 수도자를 위한 참 인간 교육 안내 http://www.chamingan.or.kr성직자. 수도자를 위한 참 인간 교육 자아의 참 모습을 알기 위해서는 누구나 끊임없이 살펴보아야 할 부분입니다. 그것은 영적 성장... 성심인간계발원 2006.07.07 5188
1070 예수님의 연민의 눈길로 서로를 바라보는 사랑만이, 지금까지 자신이 옳다고 주장했던 것이 아니라고, 그래서 스스로가 틀렸음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마치 죽음을 통과하는 것만큼이나 고통스러운 자기 성찰의... 1 요셉 2009.06.10 5187
1069 2006년도 제 15회 성체조배 기초교육 개강 성체조배 기초교육 개강 + 찬미예수님 서울대교구 지속적인 성체조배회에서 2006년도 제 15차 성체조배 기초교육을 개최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참여를 기다립니... 지속적인 성체조배회 2006.02.15 5186
1068 헤르만 헤세의 <성 프란치스코의 생애> &lt;수레바퀴 밑에서&gt;, &lt;데미안&gt;, &lt;시타르타&gt;, &lt;지와 사랑&gt;과 같은 불후의 작품들을 남기고 &lt;유리알 유희&gt;(1943년)로 194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헤르만 헤세(18... 고파울로 2014.01.12 5185
1067 헤르만 헷세의 성 프란치스코 1147년에 건립된 독일 시토회의 마울브론(Maulbronn) 수도원은 알프스 북부 지역에서 가장 완벽하게 보존된 중세 수도원인데, 건축적인 가치로 인해 유네스코 문... 이종한요한 2014.03.30 5182
1066 반가운 형제 분들 ^^ + 평화와 선 목동 수련소에 일이 있어 갔었는데, 한참 무슨 작업을 하시는지 전부 작업복?에 장갑을 끼고 열심히 일을 하시는 모습 군복을 입으신 형제님께서 마... 정마리아 2007.02.09 5168
1065 스크랩 삶으로 증거하지 못하고 책.신문.잡지.영화를 보고 감동을 스크랩해 자신의 삶인 양 포장만 해 누구를 가르치려 덤빈다면 수도자가 아니어도 그 모습이 진실하지 ... .. 2007.06.21 5166
1064 이제 핀 봄꽃들을 보며 강원도 산골에는 이제야 봄이 되었는지, 산수유, 진달래, 목련, 벚꽃, 개나리가 피기 시작하였다. 다른 곳보다 늦게 찾아온 봄이지만, 봄꽃들은 나의 마음을 사로... 김상욱 2007.04.18 5164
1063 가톨릭 신자라면 이렇게 해서는 안됩니다. + 평화와 선 오늘 하루도 좋은 날 되시길 빌며... 전 요즘 참 마음이 아픕니다.각 종교마다 교리와는 달리, 각종 차별에 실망감을 금할 수 없습니다. 비단, 우리 ... 정마리아 2006.06.24 5164
1062 은총의 기회에 초대합니다. 평화와 선 “무엇보다도 새터민을 만난 것이 기억에 남습니다. 북한 비디오를 보고 새터민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제가 얼마나 행복한 삶을 살고 있는지를... 김 레오나르도 2009.08.06 5145
1061 쌍차 노동자를 위한 미사에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평화 김정훈 시몬 형제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쌍용 자동차 노동자들이 대한문 앞에서 오랜 시간 동안 노숙하며 투쟁하고 있습니다.  노동자들은 지난 ... 2 김시몬 2013.06.20 5143
1060 잉태와 출산 잉태와 출산 네 앞길에 어려움이 없길 바라지 마라 어렵고 곤란한 일 이 없으면 남을 업신여기고 우습게 본다. 고통과 괴로움 번민과 슬픔 상처 난 가슴은 네 삶... 2 이마르첼리노 2010.12.08 5143
1059 죄송합니다. 안녕하세요 사람이3일을 수돗물로 의지하면 정신이 몽롱하고 두통이심하며 목이 따끔거립니다.판단력이 상실되며 모든희망을 앗아갑니다.지난 1년넘는시간동안 배... 작은소금 2008.08.16 5141
1058 잊지는 않았습니다. + 평화와 선 좋은 주말 밤 되세요 ^^ 좀전에 문득 가톨릭 생활성가 방송국에 접속, 여기저기 둘러 보았는데, 너무나 오랫만인 것 같습니다. 왠지 낮설고.. 2년전,... 정마리아 2007.01.13 5140
Board Pagination ‹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