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저는 이번 주님의 세례 축일 묵상을 하면서
오래 전에 들은 얘기가 생각이 났습니다.

태국의 축제 중에는 쏭크란 축제란 것이 있다지요?
새 해 초에 지나가는 사람 아무에게나 막 물을 퍼붓는다고 합니다.
그야말로 물세례를 주고받는 것인데
불교 달력으로 정초에
한 해 동안 더러워진 부처님 상을 씻어드리는 예식에서 비롯되어
부처님을 정성껏 닦아드리듯
사람들의 더러움을 씻어준다는 깊은 뜻이 있답니다.

제가 감동받은 또 다른 얘기도 생각이 납니다.
이것은 본인에게서 직접 들은 얘기입니다.
그분은 돌아다니다 성당에 들러 더러워진 성상이 있으면
바로 그 자리에서건 나중에 다시 방문해서건
그 성상을 깨끗하게 해드리는 일을 계속하고 있답니다.
성 프란치스코가 빗자루를 가지고 다니다 더러운 성당이 있으면
성전 청소를 한 것과 같은 것이지요.

그런데 이 분이 성상은 깨끗하게 해드리면서
주변의 사람들은 어떻게 되든 무관심하다면
제가 크게 감동받지 않았을 것이고 존경스럽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요한이 예수 그리스도께 세례를 베풂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봐야 할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세례를 받으실 필요가 있겠습니까?
세상의 죄를 씻으시는 분에게 죄를 씻는 세례가 필요하겠습니까?
그러므로 주님께서 요한의 세례를 받으심은
최후의 만찬 때 제자들의 발을 씻어주시며
내가 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발을 씻어주라 하신 것과 같이
나를 씻어주듯 나의 지체들을 씻어주라는 뜻입니다.

요즘은 그런 아이가 별로 없지만
옛날에는 잘 돌보아주지 못해 꾀죄죄한 아이들이 많았지요.
코가 나와 말라 비틀어져있고
먼지와 때에 절은 얼굴에 눈물 자국이 어지러운 아이들.
상상이 가시죠?
그런데 그런 아이를 데려다 깨끗이 세면이나 목욕을 시키면
참으로 기적 같은 변화가 일어나지요.
이 또한 상상이 되시죠?
그 꾀죄죄한 아이가 이렇게 하늘스럽다니!
그러므로 아이는 더렵혀진 것이지 본색이 더러운 것이 아닙니다.
세례는 그러므로 본색, 진면목을 드러나게 하는 것입니다.
누구나 가지고 있는 하느님의 진면목을 드러나게 하는 것입니다.

폐허에 묻혀있던 다미아노의 십자가를
프란치스코가 찾아내어 제 색깔을 되찾게 하듯
우리의 무관심으로 버려지고 더러워진 아이를
우리가 챙기고 씻어주고,
더럽다고 쫒아내고 구박하던 우리 자매를
우리가 받아들이고 아껴주고,
우리의 무시와 억압으로 어그러진 우리 형제를
우리가 소중히 여기고 받드는 것이
바로 예수님께 우리가 세례를 드리는 것이고,
사람들에게 하늘스런 진면목을 되찾게 하는 것이 아닐까,
오늘 예수님의 세례 축일을 지내며 묵상합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뭉게구름 2010.01.10 19:59:33
    나의 삶으로
    사랑이신 주님이 드러 나셔야 겠습니다.

    세례 때에 순수한 마음으로
    순간 순간 지금을 살아 갑니다.
  • ?
    홈페이지 와인 2010.01.10 19:59:33
    "나의 세례"

    첫 눈을 기다리듯
    그렇게 기다려온 영혼입니다.

    촛불이 타오르듯
    그렇게 잔잔한 영혼입니다.

    하얀 미사포를
    순백의 옷으로 받아 입고
    천사보다 더 높은
    하느님의 자녀가 되었으니..

    오, 하느님!
    이제사 당신을 '아빠 아버지'라 부르나이다.

    부모님을 모시고
    조용히 살아가듯
    하느님 당신을 모시고
    그렇게 조용히 살아가게 하소서.

    가끔은 슬프고
    초라해 진다해도
    그냥 두 손으로 눈물을 훔치며

    오늘처럼 곱고
    오늘처럼 아름답게
    당신을 모시고 살아가게 하소서.

    아멘.
  • ?
    홈페이지 요셉 2010.01.10 19:59:33
    그렇습니다.
    “최후의 만찬 때 제자들의 발을 씻어주시며
    내가 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발을 씻어주라 하신 것과 같이
    나를 씻어주듯 나의 지체들을 씻어주라는 뜻입니다.“

    사람도 몇날 며칠 아니 달을 넘기며 씻지 않으면
    사람이라 말할 수 없더군요.
    행려자가 처음 외래를 올 때는 몰골이 말이 아니고
    발에서는 청국장 띄운 냄새와 몸에서 나는 지린내 등 악취로
    숨을 쉴 수가 없어 고개를 돌리다가,

    나환자를 껴안고 입맞춤을 했다는 성인의 이야기가 주마등처럼
    스치고 지나가며 저를 흔들어 깨우고, 그제야 아차!
    하고 정신을 차리고 돌린 고개를 다시 돌려 그의 얼굴을 살피게 됩니다.
    재속회 종신서원을 한지가 얼만데 아직도 정신 못 차리고
    이렇게 살고 있는 제 자신을 바라보는 마음이 아프지요.

    문득“업적을 이룩한 분들은 성인들이었지만
    우리는 그들의 업적들을 그저 이야기만 하면서
    영광과 영예를 받기 원하니,
    이것은 하느님의 종들인 우리에게 정말로 부끄러운 일입니다“
    라는 구절이 떠오릅니다.
    드러나지 않은 善을 회복시켜 드러나게 하고,
    드러난 善을 일상에서 行하기 위해서는
    드러나지 않는 선을 볼 줄 아는 안목을 길러야겠다 싶어요.
    고맙습니다.
  • ?
    홈페이지 어수룩 2010.01.10 19:59:33
    그러니까, 세례는 충만한 선, 모든 선, 완전한 선이신 하느님의 善을 드러나게 하는 표지가 된다는 말씀이시군요? 그러면 저도 하느님의 善하심이 더 잘 드러나실 수 있도록 제 자신부터 淨化해야 되겠네요. 復善而行善!(드러나지 않은 善을 회복시켜 드러나게 하고, 드러난 善을 일상에서 行한다.)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31Jan

    연중 4주일

    어제 저는 큰 이모님의 팔순 잔치에 다녀왔습니다. 오랜만에 이모를 뵈니까 너무 반가웠고, 전국 방방곡곡에서 모인 외가 가족들을 만나니 정말 반가웠습니다. 그리고 얼마나 마음이 편안하던지, 비록 저를 신부님이라고 부르지만, 고향에 온 기분 편안해지고 ...
    Date2010.01.31 By이대건 Reply1 Views873
    Read More
  2. No Image 31Jan

    연중 제 4주일-내가 너를 세웠다

    주님은 오늘 말씀하십니다. “내가 너를 세웠다.” 예레미야를 사람들 앞에 세우듯이 나를 세우셨다고 하십니다. 주저앉아 있던 나를 일으켜 세우셨다고 하십니다. 지금까지 안주하던 나를 일으켜 세우신다는 것입니다. 사실 두렵습니다. 나이를 먹을수록 점점 ...
    Date2010.01.31 By당쇠 Reply0 Views1043
    Read More
  3. No Image 30Jan

    연중 3주 토요일-그래서 당신은 저의 주님이십니다.

    제가 들어 아는 것이 정확한 것인지는 모르지만 상담을 잘 하기 위한 두 가지 요령이랄까 원칙이 있습니다. 하나는 내담자의 고통과 감정에 대한 공감입니다. 다른 하나는 그러면서도 내담자의 그 고통과 감정에 같이 휩쓸려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마...
    Date2010.01.30 By당쇠 Reply1 Views914
    Read More
  4. No Image 29Jan

    연중 3주 금요일-저를 키우소서!

    “하느님 나라는 이와 같다. 어떤 사람이 땅에 씨를 뿌리면 땅이 저절로 열매를 맺게 한다. 하느님의 나라는 겨자씨와 같다. 땅에 뿌릴 때에는 세상의 어떤 씨앗보다도 작다. 그러나 땅에 뿌려지면 자라나서 어떤 풀보다 커진다.” 지난 참사회의에서 발언의 기...
    Date2010.01.29 By당쇠 Reply0 Views852
    Read More
  5. No Image 28Jan

    연중 3주 목요일-가진 것은 작아도 마음은 크게!

    “너희는 새겨들어라. 정녕 가진 자는 더 받고, 가진 것이 없는 자는 가진 것마저 빼앗길 것이다.” 저는 이 말씀을 어떻게 이해할지 사람들을 수상쩍게 봅니다. 그렇기에 정말 이 말씀은 우리가 잘 새겨들어야 합니다. 이 말씀을 자본주의의 논리로 이해하면 큰...
    Date2010.01.28 By당쇠 Reply1 Views1000
    Read More
  6. No Image 27Jan

    연중 3주 수요일-무정란이 되지 말아야!

    어제는 소파에 누워 오늘 복음을 묵상하고 있었는데 방에 걸려 있는 하 멜키올 형제의 사진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그러면서 같이 살 때 생각이 났습니다. 오늘 복음의 여러 말씀 중에서 씨가 뿌려졌지만 뿌리가 없어서 오래 가지 못한다는 말씀이 마음에 꽂히...
    Date2010.01.27 By당쇠 Reply5 Views1311
    Read More
  7. No Image 26Jan

    연중 3주 화요일-인사하지 말라심은?

    “가거라. 나는 이제 양들을 이리떼 가운데로 보내는 것처럼 너희를 보낸다. 길에서 아무에게도 인사하지 마라.” 아시다시피 이 복음은 이 복음을 통해 프란치스코가 자기 사명을 깨달은, 그래서 우리 프란치스칸에게는 아주 중요한 복음입니다. 그리고 “복음화...
    Date2010.01.26 By당쇠 Reply4 Views121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251 1252 1253 1254 1255 1256 1257 1258 1259 1260 ... 1428 Next ›
/ 142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