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5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우리가 기도하는 것은?

 

구하면 받고, 찾으면 얻고, 두드리면 열릴 것이다.” (마태 7,7)

너희는 기도할 때 빈말을 되풀이하지 말라,

구하기도 전에 벌써 너희에게 필요한 것을 알고 계신다.” (마태6,7-9)

 

참된 믿음이 아닌 종교심에 머무는 이들이 하는 기도는

하느님을 내 편으로 만들기 위해 설득하거나, 떼를 쓰고

일종의 거래처럼 얼마를 바치고 지킬 테니 들어달라는 식의 기도다.

 

사람들의 관계가 무너지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자기에게 무엇을 주장 할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내 자리가 너보다 위다.

너는 내 자식이고 너는 내 제자다

너보다 나이도 많고 지식과 경험도 많다.

너보다 부유하고 잘 생겼고 아름답다.

너를 위해 많이 희생한다.

너보다 더 많은 시간과 돈을 내고, 더 많은 재능으로 봉사하고

더 많이 기도하고 있다.

난 열심히 했으니까 이런 자격이 있다.

내 위치에서는 이런 정도 대접을 받아야 해

겉으로는 그렇게 말하지 않더라도 속으로는 그렇게 생각하며 살아간다.

업적과 공로, 많은 양의 소유와 희생의 크기가 자격을 결정하듯이

그렇게 말하는 사람일수록 관계는 단절되거나 무너지고 만다.

 

예수께서는 사람의 영혼을 파멸시키는 이러한 오만한 태도를 없애려고

철저하게 남에게 의존하여 살아가도록 하셨다.

우리는 하느님 앞에서 영원한 걸인들이다.

우리는 영적으로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한 시도 살 수 없다.

그러므로 탄원하는 기도를 드리는 것은 삶의 진실을 정직하게 사는 방법이다.


자기 회심을 스스로 주도할 수 없다.

하느님이 우리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으셔야 한다.

자신에게만 집중해 왔던 너무 많은 때문에

어디에서도 를 보지 못하게 된 것이다.

나로 가득 찬 공간에 너를 위한 빈자리를 마련하는 하느님의 방법은

더 좋고, 더 밝고 ,더 흡족한 내용으로 채우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마음을 좋은 것으로 채우기 위해 기도한다.

그러므로 밀어내기는 영의 활동이다.

 

영적 갈망은 하느님 나라, 삼위일체의 위격적 사랑에 참여,

하느님과 일치로 달려가도록

하느님께서 처음부터 우리 안에 넣어주신 것이다.

하느님과 나, 너와 나, 사이에 올바른 관계를 맺으려면

구하고, 찾고, 두드리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의 눈앞에 놓인 숙제들만을 해결해 달라고 하는 기도는

하느님까지 이용하여 끝없는 욕망을 채우려는 기도일 때가 많다.

자신의 한계 상황에 이르러 간절히 구하는 기도도 있지만

자기만족을 위한 기도일 수 있으며

눈앞의 이익과 편안함과 즐거움에 관련되어있음을 볼 수 있다.

      

일용할 양식을 구하라는 말씀은 자만심에 가득 찬 우리에게

스스로 만들어 내고 뭐든지 하면 된다는 오만을 보게 하고

받지 않으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존재라는 사실을 일깨우는 말씀이다.

 

하루하루가 아무 값도 없이 우리에게 주어진 선물이다.

그날그날 주시는 하느님의 선물에 감사하는 태도로 살면

우리는 깊은 차원에서 만족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자격이 있어서 주시는 것이 아니다.

아버지의 자비는 우리가 바치고 지키는 것에 대한 보상으로 주시는 것이 아니다.

아버지는 아버지로서의 일을 하신다.

날마다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우리 스르로 깨달음 안에서 당신께 돌아오도록 기다리시는 분이시며

한결같은 사랑으로 허용하고 용서해 주시는 분이시다.

 

우리가 기도하는 것은

하느님이 달라지기를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달라지기를 구하는 것이며

어떻게 되기를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 있는 관계가 이루어지기를 기도하는 것이고

우리의 삶과 하느님과 맺는 관계 안에서

영의 현존 아래 내 의지를 두기 위해 기도하는 것이다.

 

주님의 영의 활동을 간직하고 관계 안에서 선을 선택하는 자유로

아버지의 뜻을 이루기 위하여

사람에게 자유를 주는 법을 실천하기 위해 기도하는 것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7 회개(회심)의 성찰 2 회개(회심)의 성찰 2 바꾸는 것의 중심에는 마음이 있다. 마음이 나를 움직이게 한다. 나를 통치하는 것은 마음이다. 우리 눈에서 비늘이 상징하는 것은 자... 이마르첼리노M 2020.02.24 465
1026 회개(회심)의 성찰 1 회개(회심)의 성찰 1   “때가 차서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마르1,16)   사순절을 눈앞에 두고 회개한다는 것이 무... 이마르첼리노M 2020.02.24 432
1025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은밀한 동기로 자신을 높이거나 내세우던 사람이 아버지의 자비를 경험하면 진지하게 자신을 살피기 시작한다. 자기 생각으... 이마르첼리노M 2020.02.23 372
1024 하느님 나라의 때와 장소에 대한 성찰 하느님 나라의 때와 장소에 대한 성찰   재의 수요일을 며칠 앞두고 가톨릭교회의 전례 시기를 생각해 보았다. 대림 시기, 성탄 시기, 사순시기, 부활 시... 이마르첼리노M 2020.02.22 461
1023 조건 없는 사랑을 배우는 학교 조건 없는 사랑을 배우는 학교   변화를 거부하고 변화에 저항하는 사람은 하느님의 선하심을 자신의 업적과 공로로 바꾸기를 좋아한다. 잘 지키고 잘 바... 이마르첼리노M 2020.02.19 397
1022 기도는 기도하는 사람을 바꾼다. 기도는 기도하는 사람을 바꾼다.   내가 믿는 하느님 나라는 신과 인간이 한 곳에 공존하는 나라’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 나라는 사후에 오게 될 나라라기... 1 이마르첼리노M 2020.02.17 453
1021 가슴 태우며 죄인들을 품는 아버지의 품 가슴 태우며 죄인들을 품는 아버지의 품   더 높은 차원에서 보려면 안경을 바꿔야 한다. 하느님 자비의 시선으로 보는 눈을 지혜라고 해도 될까? 내... 이마르첼리노M 2020.02.15 403
1020 피조물의 거울 내 방안에 키우고 있는 화초에게경외심찬 마음으로 바라보지 않는다면난 하느님께대한 경외심이 없는것이다.지나가는 길고양이를 경외심찬 마음으로바라보지 않는... file 일어나는불꽃 2020.02.14 447
1019 역설 역설   많이 바치면 사랑하게 되는가? 아니다. 사랑하면 바친다.   잘 지키면 사랑하게 되는가? 아니다. 사랑하면 지킨다.   바치는 것과 지키... 이마르첼리노M 2020.02.12 357
1018 말에서 떨어진 바오로처럼 말에서 떨어진 바오로처럼   깨달음으로 내면의 자유를 경험하면 깨어나기 시작한다. 깨어나는 순간 눈이 열리어 ‘나’를 알게 되고 하느님을 느끼기 시작한... 이마르첼리노M 2020.02.10 362
1017 의식으로 통제하는 무의식 의식으로 통제하는 무의식 자신을 중심으로 사는 사람은 몸의 요구에 따라 사는 사람이다. 사랑받고 싶고, 인정받고 싶은 욕구와 더불어 안전에 대한 욕구... 이마르첼리노M 2020.02.09 410
1016 지금 행복한 사람은 미래에도 행복하다. 지금 행복한 사람은 미래에도 행복하다.   착하고 성실한 신자들 가운데는 내세를 위한 업적 쌓기에 바쁘게 사는 사람이 많다. 꽃을 꽃 자체로 보지 못하... 이마르첼리노M 2020.02.07 428
1015 지금을 어떻게 살까? 지금을 어떻게 살까?   남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갈망에 깨어있지 못할 때 선함을 가장한 선으로 자신을 증명하기 위하여 다른 사람과 하느님... 이마르첼리노M 2020.02.05 389
1014 침묵의 학교에서 배우는 학생들 침묵의 학교에서 배우는 학생들   외딴곳에서 기도하시는 예수님처럼 예수님을 따르려는 사람은 하느님의 언어인 침묵을 배우는 사람이다.   예수께... 이마르첼리노M 2020.02.01 451
1013 ‘No’는 사랑의 언어다. ‘No’는 사랑의 언어다.   진실한 내면의 사랑에는 거절의 신성함이 있다. 관계성 안에서의 선은 긍정적인 ‘예’로 시작하지만 ‘아니요’라고 해야만 선을 지... 이마르첼리노M 2020.01.31 413
Board Pagination ‹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