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나만의 자유를 관계의 자유로

 

믿음은 물질적인 세계 속에 살면서

물질적인 세계관에 집착하지 않는 가난이다.

가난이 주는 자유를 누려본 사람은 덧셈보다 뺄셈을 좋아한다.

어느 것에도 묶이지 않는 자유,

하느님과 연결된 자유는 그렇게 행복한 현재로

기쁨과 즐거움 속에서 항상 너를 향해 있다.

가장 보잘것없는 사람”(마태 25)으로 현존하시는 분이시며,

하느님 나라는 너희들 가운데 있다”(루가17,21)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며

너와의 관계가 하느님 나라를 발견하는 너이기 때문이다.

 

물질적 세계관을 영적인 세계관으로 둔갑시키는 사람은

자아도취의 그물에 걸려 다른 사람과 자신을 구분하고

스스로 연민에 빠져 거룩한 척하지만 자유가 없다.

자신을 높이기 위해 비교와 경쟁과 타인에 대한 비난 속에서 늘 불안하고

물리쳐야 할 원수와 해결해야 할 숙제가 항상 남아있기 때문이다.

 

흔히 영적인 자만심에 갇힌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자유롭게 살도록 가만히 놔두지 않는다.

자신의 말을 들으라고 강요하고 자신의 행동을 따르라고 자꾸만 재촉하기 때문이다.

사랑한다는 명분으로 괴롭히는 사람들은 영적인 삶과 믿음에 있어서

각자가 자기 몫의 삶을 살도록 도와주기보다 현실과 타협하라고 부추긴다.

그런 사람은 사람을 이해하려고 하기보다는 가르치려고만 한다.

의지가 약한 사람은 흉내도 내지 못할 정도로 광적인 거룩함으로 포장하고

성실함과 선한 의도까지 내보이기 때문에 그들을 방어하기가 어렵다.

의도가 옳다고 하더라도 상대방에게는 전혀 도움이 안 되는 이유는

상대방을 잘 알지 못하고 상대방이 느끼는 것을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은 친구들이라 하더라도 결별해야 한다.

 

어떻게 말할지를 아는 것보다, 어떻게 들을 것인가를 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

남에게 해답을 제시하는 데 익숙한 사람은 들을 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다.

선입견과 편견에 치우쳐 듣지 않고, 이해하지 않고, 섣부르게 판단할 때,

상대방을 더 큰 곤경에 빠트린다.

이것은 폭력이다.

사랑이라는 명분으로 저지르는 폭력,

예수께서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파 사람들을 강하게 비판하신 이유가 거기에 있다.

 

누군가가 나를 이해해주고 관심을 보이게 되면

놀랍게도 우리가 가졌던 문제들이 사라진다.

누군가 나와 동반하고 부축의 손길을 느낄 때,

나의 짐을 함께 져준다고 느낄 때 하느님을 발견하게 된다.

 

서로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이해해주는 것이다.

관계의 구원을 가져다주는 이해,

이해를 바탕으로 너의 필요성을 채우기 위해

부축하는 마음으로 하는 동반이야말로 기쁜 소식을 발생시키는 복음이다.

 

자유가 관계를 구원하는 데 쓰이지 않고 자신만을 위해 사용된다면

인류의 구원이라는 희망의 씨가 자랄 곳은 없다.

 

십자가 위의 예수께서 하신 일이 그리스도라는 하느님과 우리를 연결하신 일이다.

그분께서는 어느 것에도 매이지 않은 자유로 벗을 위하여당신의 생명을 내놓으셨다.

당신을 따르라고 모범을 보여주셨다.

 

사람에게 자유를 주는 법

연결된 자유가 묶인 자유를 해방하는 여기에 구원이라는 진정한 실재가 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78 김 찬선(레오나르도) 신부님 인터뷰 + 평화와 선 대구사이버대학교 웹진과의 인터뷰 내용입니다. 아래 사이트 클릭 http://www.dcu.ac.kr/webzine/11th/menu05.html 정마리아 2007.03.08 5663
1177 김경상 마태오 사진 전시회-형제들 초청 사진작가 김경상 마태오씨가 형제들을 사진전에 초대한답니다. 장소는 시청 프레스센터 1층 전시장입니다. 단 입장료 오천원, 교황 바오로2세 추모사진전 개막 [... 신성길 2006.04.07 5971
1176 김인선젬마자매님의 막내딸 세레나입니다. 김인선 젬마 자매님의 막내딸 김수정 세레나입니다. 우선 저희 어머니를 위해 기도해주시고 저희 가족들과 함께 해주신 많은 신부님들과 수사님들께 감사의 말... 1 세레나 2013.01.22 7945
1175 김제형제회 설립을 축하드립니다. 김제형제회 설립을 축하드립니다.   김제형제회의 설립을 축하드립니다. 창조적 고통은 아름다운 생명의 모습이며. 진실은 추위 속에서도 피어나는 꽃이라는 믿음... 1 이마르첼리노M 2022.03.20 651
1174 김찬선 신부님 영성의 향기 제2강이 방송되고 있습니다. 평화와 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지난주에 이어 2강 '하느님의 어머니 마리아' 라는 주제로 방송 되고 있습니다. 방송 시간은 1강과 같고, 인터넷 업데이트는 ... 정마리아 2008.01.02 5271
1173 김찬선 신부님 평화방송 영성의향기 방송 시간 평화와 선 기쁜 성탄 보내세요 김찬선(레오나르도) 신부님께서 평화방송 영성의향기에 출연하시어 강의를 하신 것은 이번주에 방송 됩니다. 월요일 밤 11시 수요... 정마리아 2007.12.24 6149
1172 까치둥지묵상 1    내 방 창문너머에 까치부부 한쌍이 둥지를 만들고 있다. 난 얼마전부터 한쌍의 까치들이 둥지를 짓는 모습들을 지켜보고 관찰하고 있었다. 난 지켜보면 지켜... 일어나는불꽃 2017.02.18 1172
1171 깨달은 사람, 깨어난 사람, 깨어있는 사람 깨달은 사람, 깨어난 사람, 깨어있는 사람   깨달음이 깨어남으로, 깨어남이 깨어있음으로,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지 않으면 신앙이 근거를 두는 삶의 의미... 이마르첼리노M 2021.05.20 625
1170 깨달음 깨달음 스스로를 낮추다가 이르는 바닥 스스로를 높이다가 추락하여 이르는 바닥 욕정을 채우다가 타락하여 이르는 바닥 바닥을 알면 높이를 안다 높이를 알면 ... 이마르첼리노 2011.04.21 4071
1169 깨달음의 발견 깨달음의 발견   깨달음은 성령의 선물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 내용에 들어가 보면 단순히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깨달음은 알... 이마르첼리노M 2019.09.17 474
1168 깨어 있어라. 그리고 준비해라 깨어 있어라. 그리고 준비해라   우리의 목적은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면서 나에게서 내가 해방되는 삶이 믿는 이들이 누리는 기쁨이며 하느님 나라 행... 이마르첼리노M 2023.12.04 162
1167 깨어남과 깨어 있음 깨어남과 깨어 있음   언제든지 선을 행하려고 깨어있는 사람은 현재의 자유로 희망의 봉오리를 연다. 측은하고 가엾이 여기시는 하느님의 마음을 지니고 ... 이마르첼리노M 2020.10.30 417
1166 깨죽에 떨어진 눈물 깨죽에 떨어진 눈물   구름모자 카페에서 깨죽 한 그릇씩 앞에 놓고 깨죽이 불러온 사연들 서로 다른 모성의 회상 회상의 거울 앞에선 비정의 어머니와 ... 이마르첼리노M 2019.12.23 395
1165 껌할아버지 이야기 1 안드레아 2009.06.17 7126
1164 꽃과 연초록 속에서 너를 본다. 꽃과 연초록 속에서 너를 본다.   꽃피는 4월 연초록 잎새에 기름이 뚝뚝 연한 속살들이 가슴을 열고 생명을 가진 피조물 안에서 창조주의 선하심과 아... 이마르첼리노M 2020.04.17 473
Board Pagination ‹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