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나만의 자유를 관계의 자유로

 

믿음은 물질적인 세계 속에 살면서

물질적인 세계관에 집착하지 않는 가난이다.

가난이 주는 자유를 누려본 사람은 덧셈보다 뺄셈을 좋아한다.

어느 것에도 묶이지 않는 자유,

하느님과 연결된 자유는 그렇게 행복한 현재로

기쁨과 즐거움 속에서 항상 너를 향해 있다.

가장 보잘것없는 사람”(마태 25)으로 현존하시는 분이시며,

하느님 나라는 너희들 가운데 있다”(루가17,21)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며

너와의 관계가 하느님 나라를 발견하는 너이기 때문이다.

 

물질적 세계관을 영적인 세계관으로 둔갑시키는 사람은

자아도취의 그물에 걸려 다른 사람과 자신을 구분하고

스스로 연민에 빠져 거룩한 척하지만 자유가 없다.

자신을 높이기 위해 비교와 경쟁과 타인에 대한 비난 속에서 늘 불안하고

물리쳐야 할 원수와 해결해야 할 숙제가 항상 남아있기 때문이다.

 

흔히 영적인 자만심에 갇힌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자유롭게 살도록 가만히 놔두지 않는다.

자신의 말을 들으라고 강요하고 자신의 행동을 따르라고 자꾸만 재촉하기 때문이다.

사랑한다는 명분으로 괴롭히는 사람들은 영적인 삶과 믿음에 있어서

각자가 자기 몫의 삶을 살도록 도와주기보다 현실과 타협하라고 부추긴다.

그런 사람은 사람을 이해하려고 하기보다는 가르치려고만 한다.

의지가 약한 사람은 흉내도 내지 못할 정도로 광적인 거룩함으로 포장하고

성실함과 선한 의도까지 내보이기 때문에 그들을 방어하기가 어렵다.

의도가 옳다고 하더라도 상대방에게는 전혀 도움이 안 되는 이유는

상대방을 잘 알지 못하고 상대방이 느끼는 것을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은 친구들이라 하더라도 결별해야 한다.

 

어떻게 말할지를 아는 것보다, 어떻게 들을 것인가를 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

남에게 해답을 제시하는 데 익숙한 사람은 들을 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다.

선입견과 편견에 치우쳐 듣지 않고, 이해하지 않고, 섣부르게 판단할 때,

상대방을 더 큰 곤경에 빠트린다.

이것은 폭력이다.

사랑이라는 명분으로 저지르는 폭력,

예수께서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파 사람들을 강하게 비판하신 이유가 거기에 있다.

 

누군가가 나를 이해해주고 관심을 보이게 되면

놀랍게도 우리가 가졌던 문제들이 사라진다.

누군가 나와 동반하고 부축의 손길을 느낄 때,

나의 짐을 함께 져준다고 느낄 때 하느님을 발견하게 된다.

 

서로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이해해주는 것이다.

관계의 구원을 가져다주는 이해,

이해를 바탕으로 너의 필요성을 채우기 위해

부축하는 마음으로 하는 동반이야말로 기쁜 소식을 발생시키는 복음이다.

 

자유가 관계를 구원하는 데 쓰이지 않고 자신만을 위해 사용된다면

인류의 구원이라는 희망의 씨가 자랄 곳은 없다.

 

십자가 위의 예수께서 하신 일이 그리스도라는 하느님과 우리를 연결하신 일이다.

그분께서는 어느 것에도 매이지 않은 자유로 벗을 위하여당신의 생명을 내놓으셨다.

당신을 따르라고 모범을 보여주셨다.

 

사람에게 자유를 주는 법

연결된 자유가 묶인 자유를 해방하는 여기에 구원이라는 진정한 실재가 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 나무 옮겨심기 +그리스도의 평화       올해 초에 수련소에서 소나무를 옮겨심는 작업을 하였다.   참 감회가 새로웠다.왜냐하면 수련기 때 우리동기들이   심은 ... 일어나는불꽃 2013.12.06 5021
» 나만의 자유를 관계의 자유로 나만의 자유를 관계의 자유로   믿음은 물질적인 세계 속에 살면서 물질적인 세계관에 집착하지 않는 가난이다. 가난이 주는 자유를 누려본 사람은 덧셈보다... 이마르첼리노M 2021.03.22 478
365 나만 좋은 땅에는 꽃이 피지 않는다. 나만 좋은 땅에는 꽃이 피지 않는다.   우리의 믿음은 올바름보다 올바른 관계가 더 중요하다. 도덕적 성취와 계명을 지키는 것이 올바름의 길이라면 믿... 이마르첼리노M 2021.03.18 524
364 나를 잊어버리는 기쁨 나를 잊어버리는 기쁨   삶을 좋아하는 사람 놀이처럼 즐길 줄 아는 사람 하느님 나라의 현재를 아는 사람 참되고 영원한 삶을 원하는 사람은 가장 가... 이마르첼리노M 2020.08.23 466
363 나를 변화케 하는 것은? 나를 변화케 하는 것은?   나를 변화케 하는 것은 생각이 아니라 만남이다. 너와 나 사이에 있는 하느님의 현존 그 하느님은 만남의 구체적 현실이다. 그... 1 이마르첼리노M 2019.08.10 519
362 나를 돌아보며 좋은글 말 한 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는 뜻은 말 한 마디를 잘못하여 천냥 빚을 지을 수 있다는 격이니 어찌 말 한 마디를 소홀히 하여 가난함을 돌아오게 할 ... 경현 2009.07.23 5494
361 나는 포도나무에 붙어 있는 가지다. 나는 포도나무에 붙어 있는 가지다.   나는 포도나무에 붙어 있는 가지다. 전체 안에 부분으로써의 가지다.   나는 몇 년 전에 아프리카 앙골라를 방문한 ... 이마르첼리노M 2021.09.01 416
360 나는 안전하게 살 권리가 있다 동국대 김익중 교수의 탈핵 강의 - 꼭 들어보시길 .. &lt;embed width=&quot;560&quot; height=&quot;315&quot; src=&quot;//www.youtube.com/v/wctPJzslzh0?hl=ko_KR&amp;version=3&quot; type=&quot;application/x-shockwave-flash&quot; allowscriptaccess=... 이마르첼리노M 2014.07.26 2605
359 나는 안다 나는 안다.   구름 덮인 하늘 아래 꽃들은 안다. 해가 어디에 있는지   안개 낀 하늘 아래 새들은 안다. 아침이 되었는지   슬픔과 고통이 어둡... 이마르첼리노M 2020.10.15 405
358 나는 몰랐습니다. 나는 몰랐습니다.   나는 몰랐습니다. 나의 생명이 자신에게만 중요하다고 생각했지 하느님께 더욱 중요하다는 사실을,   나는 몰랐습니다. 기쁨과 슬픔이 나에... 1 이마르첼리노M 2022.08.10 354
357 나는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 나는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   나는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 당신은 십자가에 달리는 한이 있어도 남을 십자가에 매달기를 거부하셨습니다. 나는 당신... 이마르첼리노M 2021.03.04 621
356 나는 누구인가? (2) 나는 누구인가?(2) 성서의 하느님과 그리스도 예수께서 말씀하시고 당신 친히 걸어가신 사랑의 길은 사랑하면 죽을 수밖에 없다는 진리를 발견하도록 이끌어... 이마르첼리노M 2021.09.22 449
355 나는 누구인가? (1) 나는 누구인가? (1)   전에는 내가 누구인지를 몰랐습니다. 지금도 나는 내가 누구인지 잘 모릅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 어떤 분이신지를 조금씩 알게 되면... 이마르첼리노M 2021.09.22 427
354 나는 내가 좋다. 나는 내가 좋다.   나는 나에게서 나를 떼어내어 나를 본다. 어둠과 그늘을 보고 슬퍼하는 나를 보고 억압된 상처와 분노를 바라본다. 그리고 그러한 나... 이마르첼리노M 2020.03.28 458
353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진실을 살아가기가 쉽지 않습니다.  내가 지금껏 살아왔던 것들을 포기해야 하며,  아니 포기까지는 아닐지라도,  지금까지의 방식과 다른 삶을 살아야 하기... 김명겸요한 2016.12.15 1156
Board Pagination ‹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