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108 추천 수 0 댓글 2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군대에 가면 얼차려라는 것을 합니다.
군인 정신이 빠지고 썩어빠진 정신으로 가득 차 있을 때
군인 정신을 다시 살리고 군기를 세우기 위해서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정신 나간 놈 또는 얼빠진 놈이라고 욕을 하는데
얼이 빠지면, 즉 정신이 나가면
아무 것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멍청해지고
썩어빠진 정신으로 가득하면 노상 궁리하고 행하는 것이
여자 꽁무니만 따라다니는 것이거나
먹고 노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정신을 올바로 차리면 초능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精神一到 何事不成이 거짓말이 아닙니다.
정신을 차리면 못할 것이 없습니다.

그런데 인간적인 정신을 차려도 정신력으로 초인적인 것을 하는데
주님의 영을 받아 차리면 더 더욱 못할 것이 없습니다.
얼이 빠지면 아무 것도 할 수 없이 멍청하지만
얼을 차리면,
그것도 주님의 얼을 차리면 무엇이든 할 수 있습니다.
입당송에서 노래하듯 주님의 얼은 온 누리에 가득하고
우리가 받아들이기만 하면 우리는 그 주님의 얼로 가득 차게 됩니다.
그러면 우리는 모든 것을 할 수 있게 되지만
그중에서도 오늘 1독서에서 보듯이 성령의 언어로 말을 할 수 있게 되고
이상한 언어를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바벨탑 사건 이후 서로의 말을 이해할 수 없게 되었는데
이제는 서로의 말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민족 간의 장벽이 무너지고
사람 간의 담이 무너지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전에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는데 이제는 이해를 하게 됩니다.
이렇게 이해를 하게 되니 서로 간에 용서도 하고 일치도 이루게 됩니다.
전에는 각기 다른 생각과 정신으로 살았기에 이해가 잘 되지 않았고
그래서 서로 다투고 평화 없었지만
이제는 같은 영을 모신 한 영혼이 되었기에
생각이 일치하고
정신이 일치하고
지향이 일치하고
마음이 일치하고
존재가 일치합니다.

그래서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 숨을 불어넣으시며
평화와 용서를 주신 것처럼
주님의 그 영을 받으면 우리도 평화와 용서를 선물로 곁들여 받습니다.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을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
도저히 용서할 수 없는 사람을 용서할 수 있게 되는 것,
도저히 함께 할 수 없는 사람과 일치할 수 있게 되는 것,

그래서 평화를 누리게 되는 것,
이것이 다른 무엇을 할 수 있게 되는 것보다
주님의 영께서 우리에게 하시는 가장 소중한 것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뭉게구름 2010.05.23 12:52:23
    영원한 생명을 , 영원한 사랑을 주시는
    주님의 거룩한 靈 을 받아 모십니다.

    오소서 ! 성령님 !
    저의 마음 깊은 곳에 오소서 !
  • ?
    홈페이지 요셉 2010.05.23 12:52:23
    그렇습니다.

    어느 때 상대와 대화를 하다 ‘너하곤 대화가 안 돼.’
    라고 하며 대화를 그만 두고 일어설 때가 있습니다.
    대화의 수단은 말이고 그것도 다른 나라말도 아니고
    우리말로 하는데도 상대와 말이 통하지 않는,

    답답함을 느끼는 것은 서로 같은 말을 하지만
    그 말속에 담긴 뜻은 제 각각이라는,
    다시 말하면 서로의 마음이 제 각각이라는 이야기가 아닐까요?

    결국 말이 통한다는 것은 서로의 마음이 일치하는
    한 마음 한 뜻을 의미한다는 거겠지요.

    상담심리에서도 상담자와 내담자가 사이에
    말이란 도구를 통해 소통이 이루어지고 고해성사도
    고해사제와 고해하는 사람 사이에 말이란 도구를 통해
    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면
    말이 지닌 엄청난 힘을 이해할 수 있지요.

    죽은 자는 말이 없다는 거,
    생명을 지닌 사람만이 말을 할 수 있는
    그 생명의 원천이 바로 거룩한 영, 성령임을
    다시 한 번 새롭게 인식하며
    말 한마디에 천 냥 빚도 갚는
    그런 말을 하는 사람이 되도록
    성령의 도우심을 청해야겠습니다.

    “오소서, 성령님, 주님의 빛, 그 빛살을 하늘에서 내리소서.
    가난한 이 아버지, 오소서 은총 주님, 오소서 마음의 빛
    가장 좋은 위로자, 영혼의 기쁜 손님, 저의 생기 돋우소서.“
    고맙습니다.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17Jun

    연중 11주 묙요일-기도, 하느님과의 진실한 대면

    어제 위선하지 않으려면 하느님을 진실하게 대면해야 함을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하느님을 진실하게 대면하는 것, 이것이 기도입니다. 그러므로 사람들에게 보이기 위한 장시간의 기도는 기도가 아니라 하나의 행위요 연출인, Performance입니다. 제가 수도...
    Date2010.06.17 By당쇠 Reply1 Views1182
    Read More
  2. No Image 16Jun

    연중 11주 수요일-위선하지 않으려면

    사람은 선을 참으로 좋아합니다. 악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어떤 사람이 악을 좋아한다면 그에게는 그것이 선이기에 좋아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서 인본주의적으로는 내가 좋아하는 그것이 선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형이상학에서 ...
    Date2010.06.16 By당쇠 Reply2 Views976
    Read More
  3. No Image 15Jun

    연중 11주 화요일-사랑의 의지, 원수 사랑의 마중물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여라. 그리고 너희를 박해하는 자들을 위하여 기도하여라.” 오늘 복음은 너무도 심오하기에 여러 각도에서 묵상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 저는 원수 사랑과 기도의 차원에서 묵상하고자 합니다. “박해자들을 위하여 기도하여라.”는 ...
    Date2010.06.15 By당쇠 Reply2 Views1295
    Read More
  4. No Image 14Jun

    연중 11주 월요일-완전한 사랑

    “‘눈은 눈으로, 이는 이로’하고 이르신 말씀을 너희는 들었다.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악인에게 맞서지 마라.” 오늘 주님은 악인에게 맞서지 말라고 하십니다. 그런데 이 말씀을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 비굴하게 악인에게 꼬리를 내리라는 말씀입니까...
    Date2010.06.14 By당쇠 Reply1 Views964
    Read More
  5. No Image 14Jun

    연중 제 11 주일-진정한 참회, 사랑의 볕을 쬐다

    오늘 연중 제 11주일의 주제는 참회와 용서의 은총입니다. 1독서에서는 다윗의 얘기가 나옵니다. 다윗은 하느님으로부터 기름부음 받는 은총을 받았고 필요한 경우 무엇이나 하느님께서 주시는 은총을 넘치게 받았습니다. 그럼에도 무엇이 부족하였는지 우리야...
    Date2010.06.14 By당쇠 Reply1 Views1286
    Read More
  6. No Image 13Jun

    연중 제11주일-하느님께 빚을 진 우리

    어제 2010년 남아공월드컵 한국의 첫 경기가 있었습니다. 그리스에 맞선 한국 선수들의 표정이 더 밝고 힘차 보였는데, 역시 경기도 2:0이라는 좋은 결과를 내어서 기뻤고, 지면 어쩌나 했는데 응원하며 본 보람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한국이 좋은 결과...
    Date2010.06.13 By아딩 Reply1 Views974
    Read More
  7. No Image 07Jun

    연중10주간 화요일 - '있는 그대로의 나'

    사람들은 가끔 결혼생활을 오랫동안 해 온 부부에게 우스갯소리로 이러한 질문을 던집니다. “만일 당신이 이 세상에 다시 태어난다면 지금 살고 있는 남편 혹은 아내와 결혼하겠습니까?” 아마도 추측컨대 이 질문에 대해 대부분의 부부들이 고개를 갸우뚱하지 ...
    Date2010.06.07 By옹달샘 Reply4 Views99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232 1233 1234 1235 1236 1237 1238 1239 1240 1241 ... 1428 Next ›
/ 142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