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동반과 부축의 여정.(공유하는 선)

엠마오로 가는 제자들을 동반하신 것 같이 

 

하느님의 정의와 사랑은 처벌이나 보복을 통해서

그 목적을 달성하지 않는다.

어서 가장 좋은 옷을 가져다 입히고 손에 반지를 끼우고

발에 신발을 신겨 주어라. 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다 잡아라.

나의 이 아들은 죽었다가 살아났고 내가 잃었다가 도로 찾았다.”

되찾은 아들의 비유 (루가 15)

 

하느님께서 통치하시는 나라는 충분하시고 넉넉하신 나라다.

복음은 하느님의 무한하신 사랑이 충만한 은총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지금 여기서 누리는 하느님 나라에 대한 약속보다

미래에 닥칠 지리적인 지옥에 대한 위협이 더 잘 기억되는 것 같다.

 

부활하신 예수께서는 우리가 겪고 있는 현재의 지옥으로부터 우리를 빼내시고

해방과 자유와 기쁨을 주시고자 우리와 동행하신다.

엠마오로 가는 제자들을 동반하신 것 같이 우리를 동반하시고

부축의 손길로 우리의 일상을 돕고 계신다.

그처럼 우리도 누군가를 동반하고 부축의 손길로 돌보아 줄 때

하느님의 선하심과 내가 실천하는 행동하는 자비가

공유하는 선으로 관계의 혁명을 만들어 낸다.

 

하느님의 통치가 실현되는 우리의 일상은 나로부터 해방되어 너를 살린다.

그분께서는 절망하면서 예루살렘을 떠나 엠마오로 가는 제자들에게 다가가

성서를 풀이해 주실 때, 깨달음의 불꽃이 뜨겁게 타오르게 하셨다.

우리 안에서 죽지 않으시는 그리스도를 깨닫게 된 것이다.

 

부활은 전염되는 생명이다.

하느님의 자비를 제한시키지 않는 방법을 배운 이들을 통해

확산하는 선으로 너와 나를 감염시킨다.

막달라 마리아는 자신을 부활하신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한

매우 구체적인 예수를 사랑했다.

그리스도로 가는 다리를 놓은 것은, 먼저 개인적으로 사랑했던 여성이었다.

 

동반과 부축을 토대로 사랑의 관계 안에서 경험하는 현존,

부활하신 하느님의 현존이 그리스도를 깨닫도록 이끌어 주었다.

우리의 내적인 여정, 곧 동반과 부축의 여정을 배우지 못한다면

변화된 삶에 대한 생생한 증인들이 없기에

우리의 신앙은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다.

 

막달라 마리아가 자신의 여정을 향해 나아간 것은

예전의 예수를 단단히 붙잡는 방식을 통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용서해주신 예수께서 그리스도를 소개함으로써 나아갈 수 있었다.

부활하신 예수가 그리스도였다는 사실을 깨달은 사람은

자신도 누군가를 동반하고 부축하는 변화의 길을 간다.

 

동반이 길을 함께 걷는 것이라면, 부축은 부축을 받는 사람을 중심으로 산다.

상대방의 필요를 돌보아 줄 때,

내가 원하는 방식이 아니라 그 사람이 원하는 방식으로 돕는다.

먼저 다가가서, 얼굴을 살피고, 말을 건네며 필요성을 채우기 위해

정성을 다 기울여 즐겁고 기쁜 마음으로 자기 몫을 나눈다.

그처럼 부활하신 분의 현존을 경험한 사람은 그리스도의 길을 걷는다.

그 길을 가는 사람은 언제나 나를 떠난 사람.

곧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가 죽은 사람이다.

그러지 않고는 너를 동반하고 부축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가짜들이 판을 치는 천국에서

진짜들이 죽음을 맞이하는 영광의 길을 걷는다.

예수를 그리스도로 안내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일상 안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야 할 뿐 아니라

타인의 다름을 받아 들어야 한다.

다름으로 발생하는 갈등과 차이에서 오는 갈등이

우리의 관계를 남남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인간적인 를 죽임으로 를 구원하는 길이 부활의 길이다.

 

! 누가 이 죽음의 길을 영광이라고 했던가?

고맙게도 사람이 되신 예수께서 당신이 먼저 그 길을 가셨다.

그리고 부활의 증인들이 보여준 생생한 삶이 우리를 재촉한다.

개인적인 사랑과 친밀성의 증인들이 보여주는 보편적인 사랑이

예수를 그리스도로 안내한다.

 

그리스도는 영광을 차지하게 전에 그런 고난을 겪어야 하는 것이 아니냐?

(루가 24,26 공동번역)

너희는 이 일의 증인이다.” (루가 24,48)

 

동반과 부축,

사람에게 자유를 주는 최상의 길이 여기에 있다.

나는 오늘도 너를 자유롭게 하려는 희망으로,

하느님의 선을 공유하려는 마음으로,

내 몫을 찾아서 그 길을 걸으려 한다.

 

2021. 4. 7. 부활 8일 축제 목요일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7 가슴 태우며 죄인들을 품는 아버지의 품 가슴 태우며 죄인들을 품는 아버지의 품   더 높은 차원에서 보려면 안경을 바꿔야 한다. 하느님 자비의 시선으로 보는 눈을 지혜라고 해도 될까? 내... 이마르첼리노M 2020.02.15 403
486 기도는 기도하는 사람을 바꾼다. 기도는 기도하는 사람을 바꾼다.   내가 믿는 하느님 나라는 신과 인간이 한 곳에 공존하는 나라’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 나라는 사후에 오게 될 나라라기... 1 이마르첼리노M 2020.02.17 453
485 조건 없는 사랑을 배우는 학교 조건 없는 사랑을 배우는 학교   변화를 거부하고 변화에 저항하는 사람은 하느님의 선하심을 자신의 업적과 공로로 바꾸기를 좋아한다. 잘 지키고 잘 바... 이마르첼리노M 2020.02.19 397
484 하느님 나라의 때와 장소에 대한 성찰 하느님 나라의 때와 장소에 대한 성찰   재의 수요일을 며칠 앞두고 가톨릭교회의 전례 시기를 생각해 보았다. 대림 시기, 성탄 시기, 사순시기, 부활 시... 이마르첼리노M 2020.02.22 461
483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은밀한 동기로 자신을 높이거나 내세우던 사람이 아버지의 자비를 경험하면 진지하게 자신을 살피기 시작한다. 자기 생각으... 이마르첼리노M 2020.02.23 372
482 회개(회심)의 성찰 1 회개(회심)의 성찰 1   “때가 차서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마르1,16)   사순절을 눈앞에 두고 회개한다는 것이 무... 이마르첼리노M 2020.02.24 432
481 회개(회심)의 성찰 2 회개(회심)의 성찰 2 바꾸는 것의 중심에는 마음이 있다. 마음이 나를 움직이게 한다. 나를 통치하는 것은 마음이다. 우리 눈에서 비늘이 상징하는 것은 자... 이마르첼리노M 2020.02.24 465
480 회개(회심)의 성찰 3 회개(회심)의 성찰 3 나에게서 가장 중요한 것은 누군가로부터 빛을 받는 것이다. 거울이 되고 깨달음을 주는 빛 그 빛으로 두려움 없이 아버지의 넉넉한 자... 이마르첼리노M 2020.02.24 472
479 마음 바꾸기 마음 바꾸기   나는 회개했다는 표시로 행위의 변화를 중요하게 여겨왔다. 좋아하던 어떤 것을 사순절 동안 끊거나 절제하거나 했다. 단식과 기도와 자선... 이마르첼리노M 2020.02.25 387
478 무엇이 마음 바꾸기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 무엇이 마음 바꾸기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스스로 바뀔 준비가 안 된 마음으로는 외부의 충격이나 내부의 충격이 있어도 아무런 반응을 끌어내지 못한... 이마르첼리노M 2020.02.26 407
477 천국과 지옥의 성찰 천국과 지옥의 성찰   내가 어렸을 때부터 배웠던 천국과 지옥은 장차 받게 될 보상과 형벌에 관한 것이었다. 상선벌악의 교리의 틀은 내 삶에 심각한 의... 이마르첼리노M 2020.02.27 441
476 기도와 관상의 성찰 기도와 관상의 성찰   장차 있을 보상과 처벌에 연결된 하느님 나라와 예수님과 사도 바오로의 말씀은 어떻게 다른가?   “하느님의 나라는 너희 가운... 이마르첼리노M 2020.02.28 460
475 마음의 자리를 누가 차지하게 할 것인가? 마음의 자리를 누가 차지하게 할 것인가?   우리는 보고 있는 것에 익숙한 나머지 보지 못하던 것을 볼 때 놀라움을 경험하는데 하느님을 체험하는 것은 ... 이마르첼리노M 2020.02.29 412
474 회개의 중심에는 사랑이 있다. 회개의 중심에는 사랑이 있다.   하느님의 주요 관심사는 사랑이다. 믿느냐? 가 아니라 사랑하느냐? 이고 바치느냐? 가 아니고 사랑하느냐? 이며 지키느... 이마르첼리노M 2020.03.01 597
473 “어떻게”를 배우는 학교 “어떻게”를 배우는 학교   성모님은 하느님의 자비를 노래하는 마니피캇에서 기쁨의 이유로 “당신 종의 비천함”을 돌보시는 아버지의 자비를 언급하셨다. ... 이마르첼리노M 2020.03.02 465
Board Pagination ‹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