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067 추천 수 0 댓글 3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첫째는 이것이다.
너는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정신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주 너희 하느님을 사랑해야 한다.
둘째는 이것이다.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

위의 말씀은 예수님 가르침의 종합이요 핵심입니다.
위의 말씀을 새겨 볼 때 첫째와 둘째의 차이가 있습니까?
아니 첫째와 둘째는 차이가 없는가요?

나의 모든 것을 다하여 사랑하는 것과 나 자신처럼 사랑하는 것,
이 둘 중에서 어떤 것이 더 사랑하는 것입니까?

하느님 사랑이 첫째라 하셨으니
순서적인 면에서 둘째인 이웃사랑보다
하느님 사랑이 더 중요하다는 말씀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사실은 나 자신처럼 이웃을 사랑하라는 것이
실제로는 더 사랑하는 것이 아닐까요?
세상에 자기보다 더 사랑하는 것이 있을까요?

자기 자신을 제일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자신처럼만 이웃을 사랑한다면
그것이 할 수 있는 최고의 사랑이겠지만
조금만 깊이 들어가면
자신처럼 사랑하는 것보다 나의 모든 것을 다해 사랑하는 것이
더 크고 근본적인 가치의 사랑이며 그래서 훨씬 더 힘듭니다.

솔직히 저는 저를 제일 사랑하지만
하느님 사랑에 터하지 않는 저에 대한 사랑은 허무합니다.
梵我一如.
梵과 하나이지 않은 我(나).
하느님과 하나가 되지 못하는 나는 왠지 사랑해도 허무합니다.
이렇게 얘기하면 너무 심한 얘기인지 모르지만,
그것은 Narcissism, 자기도취적인 사랑일 뿐 허무합니다.
그러므로 자신처럼 남을 사랑하는 것은
하느님 안에서 진실하게 자신을 사랑하는 것처럼
하느님 안에서 진실하게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그런데 하느님을 사랑하는데 나를 다 하여 사랑하는가?

저 자신도 그렇고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하느님을 사랑하는지 물으면
무신론자가 아닌 한 사랑한다고 할 겁니다.
그리고 자기 뜻하는 것을 들어주지 않는다고 원망하지 않는 한
적어도 미워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 마음, 목숨, 생각, 힘,
이 모든 것을 다하여 사랑하느냐 하면 그렇지는 못합니다.
마음을 다 하지 못하여 늘 分心하고
목숨을 다 하지 못하여 늘 관념적이며
생각을 다 하지 못하여 단순하지 못하고 늘 복잡하고
힘을 다 하지 못하여 헛 군데에 힘을 씁니다.

그래서 저는 하느님을 사랑하면서도 늘 하느님을 사랑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더더욱 프란치스칸으로서는 회칙이 얘기하는 바,
“마음을 다하고
영혼을 다하고
정신을 다하고
힘과 노력을 다하고
지성을 다하고
능력을 다하고
정열을 다하고
정을 다하고
애를 다하고
욕망과 뜻을 다하여” 사랑하지 못하는 얼치기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넋두리 2010.06.03 20:40:23
    '나르시스즘(자아도취)' 그리이스 로마신화에서 읽었던 내용, 오랫만에 들어봅니다.

    읽은지 너무 오래되어 기억에 남은것은 없지만, 수선화라는 꽃이 자신이 못생기고 밉고 향기도 별로여서 아무도 보아주지 않았는데 어느날 수선화가 물에 비친 자기의 모습을 보고 너무 아름다워 자기에게 도취되어 자신의 수명이 다하여 죽어도 만족하였다는....

    저는 이 이야기를 읽으며 그 이상의 것을 발견했지요.
    물론 이성으로가 아닌 저 자신도 내 자신에게 빠졌을때요.

    "자연과 나, 그리고 나와 하느님"
    쉬웠어요.

    당신의 모상인 아담과 하와는 우리가 다스리라는 자연과는 달랐지요.
    이웃에게서도 하느님을 발견할수 있다는 이치....
    그리고 역행할 수도 순환할 수도 있는 섭리...
    섭리는 조금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자기연민에 빠질때는 또 쉽더라구요.
    노래도 있잖아요.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

    그러나 저도 앞으로의 삶에는 아직도 많은게 남았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래도 기초를 사랑으로 삼으면 든든하겠다는 마음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 ?
    홈페이지 지나가다가 2010.06.03 20:40:23
    신부님~저는 좀 가볍게 사랑하며 살고 싶습니다.
    무리하지않아도 될만큼..제가 할수 있는 만큼..제게 주신 분량만큼만요...
    다하도록 하는 사랑...생각만해도 인생이 넘 고달파집니다.
  • ?
    홈페이지 요셉 2010.06.03 20:40:23
    그렇습니다.

    어렸을 적에 친구 따라 강남 간다는 씩으로
    때론 어머니의 눈을 속이고 휩쓸러 가면서도 어머니의
    아픈 마음이 눈에 밟혀 내내 마음 불편해 했던 기억이 납니다.

    지금 돌아보면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그 깊은 사랑이
    자식의 무의식 안에 깊이 뿌리내려 어머니가 눈앞에
    계시지 않아도 어머니의 아픈 마음이 혼과 혼으로 전해져
    느낄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요?

    사랑은 이렇게 혼과 혼으로 이어진 관계이기에
    사랑하는 사람이 아프면 내가 아픈 까닭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니 내 자신을 아프지 않게 하기 위해 사랑하는 사람을
    아프게 하지 말아야한다는 건,
    너무 인간적이고 이기적인 논리인가요?

    어머니의 사랑을 통해 사랑을 느끼고 알아가면서
    보이지 않는 하느님께서 사랑이시고 그 보이지 않는 사랑을
    인간으로 오신 인간 예수님,
    그리고 삼위일체의 방법적인 원리로
    보이지 않는 당신의 사랑을 전해주시려 하셨던 것은
    아니었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기도 합니다.

    계명으로는 하느님 사랑이 먼저이지만
    실천적인 면에서는 이웃사랑이 먼저이기에
    지금 여기서 몸과 마음으로 사랑 해야겠다는
    다짐을 해보는 아침입니다.
    고맙습니다.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24Jun

    세례자 요한 대축일-원심력과 구심력의 사랑 관계

    “나는 그분이 아니다. 나는 그분의 신발 끈을 풀어드리기에도 합당하지 없다.” “나는 그분이 아니다.”라는 말을 “나는 그가 아냐!”로 바꾸면 그와의 관계성을 차단하거나 강하게 부정하는 말로 들리며 “나는 그가 아니고 나야.”라는 매우 도도한 말로도 들립니...
    Date2010.06.24 By당쇠 Reply0 Views1263
    Read More
  2. No Image 23Jun

    연중 12주 수요일-인생의 열매

    “너희들은 그들이 맺은 열매를 보고 그들을 알아볼 수 있다.” 이 말씀을 몇 겹으로 뒤집어 이해하면 “수도복을 입었다고 다 수도자냐.”입니다. 또는 “세례를 받았다고 다 신자냐.”입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것은 몇 십 년 수도생활을 했는데도 아직도 행복하지 ...
    Date2010.06.23 By당쇠 Reply2 Views985
    Read More
  3. No Image 22Jun

    연중 12주 화요일-좁은 길일수록 꿋꿋하게

    “너희는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 생명으로 이끄는 문은 얼마나 좁고 또 그 길은 얼마나 비좁은지, 그리로 찾아드는 이들이 적다.” 많은 사람이 가는 길로 가지 않고, 홀로 다른 길로 또는 역행하여 가는 것은 참으로 쉽지 않습니다. 그것은 홀로 가는 외로움이...
    Date2010.06.22 By당쇠 Reply3 Views1100
    Read More
  4. No Image 21Jun

    연중 12주 월요일-욕심의 되, 사랑의 되

    “너희가 되질하는 바로 그 되로 너희도 받을 것이다.” 우리는 종종 손해 봤다고 느낍니다. 나는 많이 주었는데 적게 받았다고. 그런데 실제로 그런 경우도 있지만 욕심에 의한 錯感 현상도 있습니다. 錯感 현상. 제가 만들어낸 말입니다. 착각(錯覺)이나 착시(...
    Date2010.06.21 By당쇠 Reply2 Views1119
    Read More
  5. No Image 20Jun

    연중 제 12주일-그리스도의 경지

    오늘 복음은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1) 예수님의 정체를 사람들과 제자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2) 예수님의 실제 정체에 대해 예수님은 어떻게 가르치시는지. 3) 예수님을 따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아주 오래 전 초등학교 동창을 만났습니다. 술 ...
    Date2010.06.20 By당쇠 Reply4 Views1009
    Read More
  6. No Image 19Jun

    연중 제 12주일 '일치의 십자가'

    오늘 독서에서는 우리를 사랑하시는 주님의 모습과 그리스도 예수와 하나 되는 우리들에 관한 이야기와 더불어 복음에서는 예수님에 대한 고백과 또한 예수님의 십자가를 져야한다는 내용을 전하고 있습니다. 언뜻 보면 서로 큰 연계성 없이 떨어져 있게 생각...
    Date2010.06.19 By김미 Reply1 Views928
    Read More
  7. No Image 19Jun

    연중 11주 툐요일-지금 사랑하다

    “그러므로 내일 걱정을 하지 마라. 내일 걱정은 내일이 할 것이다.” 인생을 오래 산 사람은 내일 걱정을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오래 살았다고 다 내일 걱정을 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미리 걱정해도 아무 소용없음을 깨달은 사람이라야 걱정 않습니다. 그러...
    Date2010.06.19 By당쇠 Reply5 Views95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228 1229 1230 1231 1232 1233 1234 1235 1236 1237 ... 1425 Next ›
/ 142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