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오늘 야고보와 요한 형제는 예루살렘 입성을 코앞에 두고 주님께서

영광을 받으실 때에 주님의 양편에 자기들이 앉게 해달라고 청합니다.

예루살렘에 입성이 영광을 받으시러 들어가는 거로 알고 있는 것입니다.

이에 주님께서 이렇게 질문을 하십니다.

 

"너희는 너희가 무엇을 청하는지 알지도 못한다.

내가 마시는 잔을 너희가 마실 수 있으며,

내가 받는 세례를 너희가 받을 수 있느냐?"

 

이에 두 사도는 할 수 있다고 하시고

주님께서는 두 사도도 주님과 같은 잔과 세례를 받을 것이라고 답하십니다.

 

완전한 동상이몽인데 잔은 잔이로되

축배의 잔과 고통을 잔의 차이를 모르고 있는 것이고,

축배의 잔은 고배를 마시고 난 뒤에 마시는 것임을 모르고 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마치 가나안으로 가면서 홍해를 통과하지 않으려는 것과 같습니다.

홍해는 건너가야지 건너 뛰어 가는 것이 아닌데도 말입니다.

 

아주 미성숙한 아이는 쓴 것은 무조건 싫어하고 거부합니다.

그래서 약도 거부하지요.

그러다가 점차 성장하며 쓴맛단맛을 다 보고 난 뒤에야

인생에 단맛만 있을 수 없다거나 고진감래라는 것을 받아들입니다.

 

제가 어렸을 때는 고진감래苦盡甘來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어른들이 어린아이들에게 인생을 가르쳐주시는 말씀이었지요.

 

무슨 뜻입니까? 다 아시지요!

고통이 다해야 단 것이 온다는 말 아닙니까?

더 풀어 얘기하면 겪어야 할 고통을 다 겪지 않으면 단 것은 오지 않고,

겪어야 할 고통을 반드시 겪어야 달콤한 인생이 펼쳐진다는 것이지요.

 

다시 홍해 얘기로 돌아가보겠습니다.

홍해를 건너야 가나안을 가는 것은 알겠는데

문제는 홍해로 들어가면 물에 빠져 죽습니다.

 

죽는데 무슨 가난안입니까?

죽으면 그만 아닙니까?

 

그런데 이집트 군대가 뒤쫓아오고 그래서 돌아서도 죽고

홍해 바다로 들어가도 죽는 진퇴양난의 상황이 닥칩니다.

이때 하느님께서 모세에게 홍해 바다로 들어가라고 하십니다.

 

이때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은 이집트 군사에게 죽느니

하느님 말씀을 따라서 죽기로 하고 홍해를 건너갑니다.

다른 구멍이 없는 진퇴양난의 상황이 되자

하느님 말씀을 믿기로 한 것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퀴불러 로스의 죽음 수용의 5단계를 생각게 됩니다.

인간이 죽음을 즉시 받아들이지 않고

거부-원망-타협-절망을 네 단계를 거친 뒤에야 죽음을 수용한다는 거지요.

 

저는 고통 수용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앞서 봤듯이 고통은 무조건 싫다고 거부하는 것이 인간인데

네 단계를 거쳐서 마침내 고통을 받아들이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리스도교는 이 5단계 뒤에 6단계가 있다는,

그러니까 고통과 죽음 뒤에 기쁨과 부활의 새로운 삶이 있다는 겁니다.

 

이것을 홍해를 앞둔 이스라엘 백성처럼 믿을 것인가?

아니면 말 것인가? 그것이 지금 우리 앞에 있습니다.

 

아무튼, 홍해는 건너가야지 건너 뛰는 것이 아님을 묵상하는 오늘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용서받은죄인 2021.05.26 05:38:12
    신부님의 말씀을 같은 전례시기에는 어떻게 묵상하고
    강론하셨는지 비교하면 더욱 풍성한 내용을 알 수 있으리라는
    생각으로 올립니다.^♡^
  • profile image
    홈페이지 용서받은죄인 2021.05.26 05:37:33
    18년 연중 제8주간 수요일
    (낮추는 것이 아니라 아예 낮아야)
    http://www.ofmkorea.org/124357

    16년 연중 제8주간 수요일
    (뭘 청하는지도 모르는 얼간이들)
    http://www.ofmkorea.org/89909

    15년 연중 제8주간 수요일
    (사랑이 아닌 사랑)
    http://www.ofmkorea.org/78476

    13년 연중 제8주간 수요일
    (아무리 사랑일지라도 느껴지지 않게 하라)
    http://www.ofmkorea.org/53850

    12년 연중 제8주간 수요일
    (영광을 받을 것인가, 세례를 받을 것인가?)
    http://www.ofmkorea.org/5884

    11년 연중 제8주간 수요일
    (영원한 얌체)
    http://www.ofmkorea.org/4925

    10년 연중 제8주간 수요일
    (착시현상)
    http://www.ofmkorea.org/4037

    08년 연중 제8주간 수요일
    (깨끗한 영혼, 깨끗한 마음)
    http://www.ofmkorea.org/1345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30May

    5월 30일

    2021년 5월 30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 http://altaban.egloos.com/2246208
    Date2021.05.30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223 file
    Read More
  2. No Image 30May

    2021년 5월 30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터키 에페소 기도의집

    2021년 5월 30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교회는 성령강림 대축일 다음 주일에 삼위일체((三位一體) 대축일을 기념합니다. 삼위일체는 성부와 성자와 성렁인 삼위가 일체이신 한 분 하느님임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리스도교 입장에서 하느님을 표현...
    Date2021.05.30 Category말씀나누기 By고도미니코 Reply0 Views205
    Read More
  3. No Image 30May

    삼위일체 대축일-삼위일체의 교리가 아니라 삼위일체의 사랑을

    삼위일체 교리를 이해하기 힘들고 그래서 믿기도 힘들다고 많이 얘기합니다. 저도 그랬던 적이 오래전에 그러니까 삼사십 년 전에는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삼위일체 신비를 이해하고 믿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고, 삼위일체로 우리를 사랑하시는 그 사...
    Date2021.05.30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772
    Read More
  4. 29May

    5월 29일

    2021년 5월 29일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 http://altaban.egloos.com/2246205
    Date2021.05.29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211 file
    Read More
  5. No Image 29May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일생과 영생

    "자기 목숨을 사랑하는 사람은 목숨을 잃을 것이고, 이 세상에서 자기 목숨을 미워하는 사람은 영원한 생명에 이르도록 목숨을 간직할 것이다."   오늘 복자 윤지충과 동료 순교자 축일에 우리는 또 알아듣기 힘든 말씀, 자기 목숨을 사랑하는 사람은 목...
    Date2021.05.29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3 Views834
    Read More
  6. 28May

    5월 28일

    2021년 5월 28일 연중 제8주간 금요일 - http://altaban.egloos.com/2246199
    Date2021.05.28 Category말씀나누기 By오바오로 Reply0 Views241 file
    Read More
  7. No Image 28May

    연중 8주 금요일-사람이 없는 것은 사랑이 없기 때문이다.

    어제 집회서 말씀에 이어 오늘 복음의 주님도 우리를 당황하게 합니다. 오늘 복음의 주님은 자못 폭력적이시어서 주님께서 진정 이렇게 하셨을까? 또는 이것이 진정 주님의 모습일까? 의구심을 품게 하기에 충분합니다.   성전을 강도들의 소굴로 만들...
    Date2021.05.28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2 Views90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 1321 Next ›
/ 132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