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4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놀이에 빠진 아이의 기쁨

 

하느님 나라의 제자가 행동하는 방식은

복음에서 영감을 받아

하느님의 통치에 자신을 내어드리는 가운데

아무런 안내자도 없이

누군가의 인정도 외부의 격려도 없이

오직 결단과 결심, 정직함만으로 시작한 일을

언제나 현재 진행형인 삶으로 드러내는 현존방식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이다.

 

어떻게든 그리스도의 가르침은 따르지 않으면서

그리스도를 믿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서 애쓰는 사람들,

그들은 그리스도를 따르려는 마음조차 없으면서

본당 활동이나 어떤 심신 단체에 가입하여

자신을 돋보이게 만드는 일에만 열중한다.

교회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그렇게 그리스도를 이해하거나 그분의 삶을 배우기보다는

희생과 제물은 아니 즐기시는 하느님을 알지 못하고

오로지 자기희생을 통해 자신을 높이는 도취의 길을 걷는다.

 

우물을 곁에 두고 갈증으로 죽어가는 사람들,

구원이 그리도 가까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얼마나 정신 나간 고통 속에서 자기희생이라는 명분으로

삶을 조작하면서 살고 있는지를 깨닫지 못한다.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단순하고 솔직하게 받아들인다면

그 우물이 자신 안에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어도

밖에서만 찾느라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는지 모른다.

 

자신의 행복이 재산과 권력에 달렸다고 믿으면서

힘없고 가난한 것이, 미래의 행복을 위한 자기희생이라고 여기는 사람들,

폭력과 사유재산으로 자신을 보호하고자

자신의 안전을 조금이라도 방해하는 자를 가만히 놔두지 않는 사람들,

오랫동안 안락한 삶을 보장받기 위해 창고를 늘리다가

그날 밤에 죽는 일을 잊어버리는 사람들,

의심스러운 미래를 보증하기 위해 현재의 확실한 삶을 파괴하는 사람들,

여전히 교회에 다니면서 그렇게 산다면 그것을 믿음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형식에 묶인 자비, 율법에 묶인 선, 전통과 규범에 묶인 진리는 자유를 잃었다.

예수께서는 율법의 완성이 형식과 전통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행동하는 자비와 선에 있음을 과감히 선포하셨다.

너무나 익숙한 표현 아래 숨겨진 유대 지도자들의 마음을 들춰내셨다.

옛것이 말해왔던 바를 우리 시대에 신앙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본질적인 진리를 깨닫도록 비유와 삶의 모범으로 보여 주셨다.

무엇이든 참된 것은, 항상 다른 이들과 공유하는 진리라는 사실을 밝혀주셨다.

보존할 가치와 복음의 핵심에 자리 잡은 진리가

자신을 우상으로 삼는 자들이 비본질적인 것들로 방해하지 못하도록 일깨워 주셨다.

 

즉석식품과 건강보조식품만으로는 건강을 유지할 수 없다.

입에 단 음식은 건강을 해친다.

건강한 영양식은 더디며 거칠고 입에 쓴 것들이며

그것들이 몸에 좋은 것이라는 사실을 일깨워 주셨다.

그것은 육화의 겸손과 수난의 사랑으로 드러나는 관계 속의 혁명이다.

너를 받아들이기 위해 용서하고, 견디고, 기다리고, 나를 내어주는 삶이다.

그것이 예수께서 몸소 보여 주신 삶이었다.

우리의 삶과 생명은 무엇으로도 보장할 수 없다.

미래를 대비해야 한다는 거짓 믿음에 죽는 것이며

하느님의 자비가 너를 향해 흐르도록 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난의 십자가,

그 십자가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가운데 발견되는 하느님 나라다.

보장된 삶이 아니라 발견되는 자유다.

다른 이들을 위한 관계 속에서 자유를 얻은 사람이 누리는 행복이다.

 

나의 신상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두려워하지 않고

병에 걸려 고통스럽게 죽는다고 해도 하느님 안에서 누리는 자유는

무엇으로도 미리 대비할 수 없다.

다만 지금 이 순간에 온전히 현존하는 자유와

그 자유가 주는 기쁨과 즐거움에 머무는 것만이 중요하다.

생각하는 일은 언제나 과거와 미래를 떠돌아다닌다.

그러나 자유가 주는 기쁨과 즐거움은

온전히 이 순간을 느낄 수 있도록 해 준다.

그 기쁨 속에서 너를 향해 웃으면서 자신을 만난다.

아버지의 품에서 누리는 낙원의 즐거움은 그렇게 관계 속에서 꽃핀다.

너의 자유와 나의 자유, 우리의 자유는 서로를 자유롭게 하면서

향기 좋은 꽃으로 주변을 밝힌다.

그러므로 하느님 안에서 누리는 자유와 기쁨은

순수한 현존, 명백한 현재의 하느님 나라다.

 

놀이가 즐거울 때는 놀이에 빠졌을 때이다.

예수께서 가르쳐준 놀이에 빠진 아이의 기쁨

아이는 온전히 이 순간에 그걸 느낀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놀이에 빠진 아이의 기쁨 놀이에 빠진 아이의 기쁨   하느님 나라의 제자가 행동하는 방식은 복음에서 영감을 받아 하느님의 통치에 자신을 내어드리는 가운데 아무런 안내자도 없... 이마르첼리노M 2021.06.09 464
411 새해의 첫날 (밤의 끄트머리엔 새벽이 있다.) 밤의 끄트머리엔 새벽이 있다.   새해의 첫날 밤의 끄트머리에서 먼동이 튼다. 끝이 보이지 않는 어둠 너와 나를 갈라놓던 밤이 새벽을 맞으려 한다. ... 이마르첼리노M 2021.01.01 464
410 벗꽃 금방핀 벗꽃은 작지만언젠가 만개할 것이기에결코 만만히 볼 수 없을것이며만개한 벗꽃은 언젠가 꽃잎이다 떨어질것이기에 또한 우쭐할필요가 없을 것이다꽃잎이 ... file 일어나는불꽃 2020.03.30 464
409 의인과 죄인 의인과 죄인   “내가 바라는 것은, 희생제물이 아니라 자비다.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 (마태 9,13)   스스로 의인이라고 하는 자... 이마르첼리노M 2021.07.02 463
408 예수님의 가르침과 우리 믿음의 성찰 예수님의 가르침과 우리 믿음의 성찰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슬퍼하는 사람들! 그들은 위로를 받을 것이다. ... 이마르첼리노M 2021.05.12 463
407 모른다. 모른다.   “바람은 불고 싶은 데로 분다. 너는 그 소리를 들어도 어디에서 와 어디로 가는지 모른다.” (요한 3,8)   내 삶도 그와 같다. 나는 어디에서 ... 이마르첼리노M 2020.12.20 463
406 가난은 여백을 만들어 너를 돌보게 한다 가난은 여백을 만들어 너를 돌보게 한다.   &quot;나를 따르려는 사람은 자기를 버리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quot; (마르코 8:34)   예수님을... 이마르첼리노M 2021.06.04 462
405 누가 나를 이해해 줄 것인가? 누가 나를 이해해 줄 것인가?   진실이 사라진 들녘에는 거둘 것이 없다. 알곡은 사라지고 쭉정이만 남아있기 때문이다,   고통 가운데 있는 사람에게... 이마르첼리노M 2021.02.14 462
404 내면에서 울려 나오는 노래 내면에서 울려 나오는 노래   잘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증명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잘 보이려고 애쓰지 않아도 옳다고 주장하지 않아도 주변을 의식하지 ... 이마르첼리노M 2020.09.18 462
403 하느님 나라의 때와 장소에 대한 성찰 하느님 나라의 때와 장소에 대한 성찰   재의 수요일을 며칠 앞두고 가톨릭교회의 전례 시기를 생각해 보았다. 대림 시기, 성탄 시기, 사순시기, 부활 시... 이마르첼리노M 2020.02.22 461
402 기도와 관상의 성찰 기도와 관상의 성찰   장차 있을 보상과 처벌에 연결된 하느님 나라와 예수님과 사도 바오로의 말씀은 어떻게 다른가?   “하느님의 나라는 너희 가운... 이마르첼리노M 2020.02.28 460
401 사랑은 자유와 죽음의 경계 안에서 피는 피의 꽃이다 사랑은 자유와 죽음의 경계 안에서 피는 피의 꽃이다.   하느님께서 나를 통하여 드러내시는 선, 육화의 체험을 조금이라도 맛본 사람은 뒤로 돌아갈 수가 ... 1 이마르첼리노M 2019.08.28 460
400 주님이 태어나시는 땅 주님이 태어나시는 땅   왕이 되려는 갈망을 넘어 스스로 왕이 되어 왕권을 넘보는 이들을 가차 없이 죽이는 문화, 너도나도 할 것 없이 왕들이 되어 왕들의 전... 이마르첼리노M 2022.12.24 459
399 자신을 내어주면서도 자신을 잊어버리는 기쁨 자신을 내어주면서도 자신을 잊어버리는 기쁨   나를 나에게서 벗어나게 하는 초월 그 초월이 주는 해방의 자유를 경험하게 하고 관계 안에서 내어주는 능... 이마르첼리노M 2020.08.27 459
398 희망을 일깨우는 생명의 바람 희망을 일깨우는 생명의 바람   나는 교리를 배울 때 대신덕(對神德)이라고 하는 하느님께 대한 덕으로 믿음, 희망, 사랑에 대해 배웠다. 내 인생의 신앙 여정에... 이마르첼리노M 2022.12.19 458
Board Pagination ‹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