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21.09.26 06:21

찬양의 두 얼굴

조회 수 3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찬양의 두 얼굴

 

믿음의 신비는 역설적인 과정에서 발견된다.

죽기를 각오하면 살고, 살려고만 하면 죽는다.

믿음은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관계에서 고난을 거처 부활에 이르는 과정이다.

 

두려움은 관계에서 발생하는 십자가로 인하여

몸이 괴롭힘을 당할까 봐 생기는 것이다.

우리는 마음과 정신과 의지로 몸을 다스릴 수 있다.

마음과 정신과 의지는 내 힘이 아니다.

그것은 위로부터 받은 영의 활동이다.

그러므로 위로부터 힘을 받아 육신을 다스릴 수 있는 자유가 있다.

의지를 항복하게 만드는 것은 바로 그 자유다.

자유로운 선택과 선택에 따른 결단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믿음은 결단하는 자의 축복이다.

원천의 에너지요 생명의 에너지인 하느님과 연결된 자가 누리는 축복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고통을 두려워한다.

가능한 한 빨리 그 순간을 벗어나고 싶어 한다.

고통스럽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거나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십자가와 죽음이 없는 부활을 원하지만,

부활의 신비를 깨닫기를 원하는 것이 아니다.

단순히 고통 없는 영광만을 추구하는 것이다.

부활에 대한 믿음 없이 십자가만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도 위험하다.

부활에 대한 믿음 없이 십자가만을 강조하면 에너지 고갈 상태에 이른다.

희망 없는 에너지는 빛이 없는 어둠으로 몰고 가기 때문이다.

찬양을 숨돌릴 핑계로 만드는 사람도 이와 같다.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땅, 경험하지 못한 자유,

하느님을 믿음의 대상이 아닌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숨을 곳을 찾다가

자아도취적 거룩함과 거짓 의로움을 찬양이라는 포장 속에 숨기기 때문이다.

근본주의자들이 과대 찬양과 지나친 경건, 천박한 경외심을 앞세워

외형적인 전통과 전례에 지나친 관심을 보이는 것도 그 때문이다.

하느님의 위대하심과 피조물의 세계가 아름답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찬양으로 그칠 뿐, 창조주의 숨결을 느끼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찬양은 내면의 샘솟는 기쁨의 표현이지 포장하는 기술이 아니기 때문이다.

찬양으로 두려움을 숨기는 기술자들은 겉으로 드러나는 신앙만을 위해 일한다.

자신의 두려움이 드러날까 봐 전전긍긍하면서 아닌척하는 것이다.

 

찬양은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사랑에 넘치는 감사와 기쁨을 표현하는 최상의 응답이다.

즉 하느님과 나, 너와 나, 그리고 피조물과의 삼각관계 안에서

삼위일체의 하느님 사랑에 참여하는 행복이기 때문이다.

복음이 전해지는 순간들은 하느님께서 자신을 통하여 보여주시는

확산하는 선으로써 하느님의 통치를 드러낸다.

 

우리는 나약한 인간성을 지니고 산다.

하느님의 자비가 구원으로 나타나는 것은,

그분께서 우리의 결핍을 채워주시기 때문이다.

예수께서 오신 목적은 심판이 아닌 구원이라고 하셨다.

 

예수님의 인간성은 우리와 다르지 않다.

사람의 인성 안에 깃든 하느님의 신성을 육화라고 고백하는 우리들의 정체성도

그분을 따르려는 우리가 하느님의 선을 공유하는 선으로 표현될 때

우리 안에 깃든 하느님의 신성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해 주었다.

神話神化로 바꾸는 위대한 전환이 찬양하는 사람의 내면에서 이루어진다.

우리 정체성의 변화는 이 세상을 낙원으로 보게 한다.

 

미래에 있다는 생명은 현실적이지 않다.

지금 여기서 누리는 생명만이 진실하다.

행복한 사람들, 자유를 아는 사람들, 자기 확신이 있는 사람들은

네가 이 땅에 있어서 내가 얼마나 기쁜지 모른다.”라는 말을

누군가와의 관계 속에서 들은 사람들이다.

어린 시절 나는 어머니로부터 그 말을 들었다.

자기중심적인 말로 들릴지 모르지만 나도 나 자신이 좋다.

하느님께서는 누구나 그렇게 되기를 원하신다고 생각한다.

비난하고, 무시하고, 하찮게 여기는 악한 이들 때문에

근심에 차서 일생을 보낼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당신의 자비와 선하심을 우리가 보고 깨달을 때

좋아서 어쩔 줄 모르는 우리를 보고 행복해하실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하느님의 행복해하심을 느낄 때 우리는 살아갈 수 있다.

하느님의 기뻐하심은 우리의 힘이기 때문이다.

내가 하느님을 바라보고, 하느님께서 나를 바라보시는

서로의 눈길 속에 축복이 있다.

 

피조물 속에 깃든 신의 속성 안에서 자기 몫의 삶을 살면서

내적 초월을 향한 힘의 원천으로

관계 안에서 발생하는 고난을 이겨낼 수 있기 때문이며,

편한 멍에와 가벼운 짐을 지고 십자가를 질 때

부활은 이미 자유를 누리기 때문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7 프란치스칸 가족 가을 축제 안내와 협조 T. 평화와 선 평화를 빕니다. 한국 프란치스칸 가족 봉사자협의회에서 결정한 대로 프란치스칸 가족 축제를 10월에 개최하기로 하였고 그 준비를 프란치스코 교... 마중물 2006.08.11 5270
1326 풍경이 있는 인생길 풍경이 있는 인생길   잠을 깬 꽃들이 아침이슬로 세수하고 파란 거울 앞에서 기초화장을 한다. 구름 사이로 떠 오른 태양 물광에 반짝이는 얼굴   출... 이마르첼리노M 2021.09.20 394
1325 포르치운쿨라 행진 알림 올해는 코로나 관계로 공식적으로는 행진을 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저와 저희 수도회 청원자들이 같이 걸을 것입니다. 그렇긴 하지만 아주 소수의 인원이 구... 김레오나르도 2020.07.16 818
1324 평화의 기도/ PLAYER OF ST, FRANCIS / 사제서품식 특송 평화의 기도 주여! 나를 평화 위해 쓰소서 미움이 있는 곳 참 사랑을 상처가 있는 곳 큰 용서를 의심있는 곳에 참 믿음을 오 주여!나를 평화 위해 쓰소서 절망이... 1 안젤라 2006.06.30 6493
1323 편히 쉬세요 평화와 선 한 번도 뵙지 못했지만 가슴 한 켠이 아려옵니다. 꼭 뵙고 싶어 성심원 방문 때도 면회 신청 하여도 세 번이나 다 연결이 되지 않으시더니 주님께로 가... 정마리아 2008.11.26 6365
1322 페이스북 메시지로 온 사연 소개합니다. 가족을 찾고 있습니다. 평화와 선 입양된 분으로서, 가족을 찾는 분의 사연을 여기에 옮겨봅니다. 혹시 도움을 주실 분은 아래 연락처로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file 홈지기 2013.04.07 12032
1321 퍼머컬쳐디자인 교육안내 퍼머컬쳐디자인 교육안내 산청군내 민들레학교(대안학교)에서는 친환경내지는 생태마을을 지향하고 실천해 왔습니다. 금번 외국강사를 초빙하여 4월5일-14일까지 ... 박재홍 2010.03.29 8249
1320 팔월의 크리스마스 팔월의 크리스마스   사월은 슬펐다 오월은 억울하여 유월은 통곡하고 칠월엔 말라버린 눈물이 소금이 되었다.   인간의 탐욕이 저지른 참사 무능... 이마르첼리노M 2014.08.01 2795
1319 파리피정 얼마전 연피정갔을때 기도와묵상을 하는중에 파리들이 얼굴과팔에 달라붙어 기도를 방해하였다. 쫒아도 쫒아도 소용이없자 내 마음은 분심이들었다. 적어도 하루 ... 일어나는불꽃 2015.07.22 1140
1318 파국 파국   달콤한 것만 찾는 몸의 요구와 타인의 반응 위에 건설하는 집은 재앙을 초래하는 집이다.   타인의 판단과 평가로 기초를 놓고 의존으로 기... 이마르첼리노M 2019.12.10 666
1317 틀을 바꿔라. 틀을 바꿔라.   회개하여라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마태오 4,17)   회개하라는 말을 고행하라는 뜻으로 이해하면 보상과 처벌이라는 틀에 묶여 외... 이마르첼리노M. 2020.12.12 514
1316 통신으로 배우는 신학과정... ↑ 그림을 클릭하시면 본원 홈페이지에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엠파스 http://www.empas.com, 네이트닷컴 http://www.nate.com 검색 방법)(네이버 http://www.na... 교리신학원 2007.11.30 6703
1315 태풍 속에서 태풍 속에서   바깥에서 부는 바람 안에서 부는 바람   위에서 부는 바람 아래에서 부는 바람   앞에서 부는 바람 뒤에서 부는 바람   과... 이마르첼리노M 2019.09.22 477
1314 태아의 날 제정과 인권선언문 태아의 날 제정과 인권선언문 태아생명존중시민연대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2006년 7월29일 태안의 참나교육원에서 10월3일을 태아의 날로 제정하고 선포하였다. 10... 태아생명존중시민연대 2006.08.13 5689
1313 태도적 가치 (네 믿음이 너를 살렸다.) 태도적 가치 (네 믿음이 너를 살렸다.)   우리 믿음은 우리가 내보이는 태도에 따라 어느 정도의 믿음이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예수께서는 치유의 이야기를 ... 이마르첼리노M 2023.12.01 270
Board Pagination ‹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