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3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십자가의 역설을 삶의 계시로 받아들이는 믿음

 

옳은 일을 하다가 박해를 받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나 때문에 모욕을 당하고 박해를 받으며 터무니없는 말로

비난을 다 받게 되면 너희는 행복하다.” (마태 5,10-11)

 

죽기를 각오하면 산다.”

십자가의 역설은 행동하는 자비의 현장에서 발생한다.

관계를 회복하게 하는 가난과 겸손의 길,

즉 내려가고, 내려놓고 허용하고 놓아주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십자가의 역설을

삶의 계시로 받아들이는 믿음만이

하느님 나라의 행복이라는 세 가지 관계를 회복하여

원죄가 아닌 원복이라는 낙원을 지금 여기로 옮겨 놓을 수 있다.

 

옳은 일은 사랑하는 일이며, 깨지고 단절된 관계를 회복하는 일이다.

하느님의 선하심과 자비가 나를 통하여 너에게 흘러가게 하는 과정이다.

일상적인 관계 안에서 선을 행하고도

기쁨을 누리지 못하게 방해하는 걸림돌과 최대의 적은

완전성이라는 그림을 그려놓고 거기에 맞추라고 요구하는 것이다.

그것은 결과만을 중요시하는 문화가 만든 덫이다.

 

우리는 언제나 과정의 진리를 산다.

과정의 진리만이 우리의 몫이다.

과정이 없는 결과는 없다.

십자가는 과정의 진리를 사는 이들에게는

무질서와 비참함과 모순을 받아들이는 짐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는 이에게는 편한 멍에와 가벼운 짐일 뿐이다.

왜냐하면, 위로부터 받은 사랑에 대한 응답으로 관계를 회복하려고

십자가의 역설을 삶의 계시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믿음이다.

 

십자가의 역설을 받아들이는 믿음은

합리적이지 않고, 황당하고, 죄가 많은 것을 통합시켜

선한 목적을 위해 사용하도록 만든다.

십자가에 달리신 분의 눈으로 관계를 바라보는 것이 회심에 이르는 길이다.

역설을 부인하면 삼위일체 사랑의 신비에 접근할 수 없다.

 

가난과 겸손의 길에서 피할 수 없는 십자가는 우리에게

버림받았다는 느낌에 직면하게 하고

잘못을 저지른 이를 용서해 달라고 기도하며

제 영혼을 아버지 손에 맡깁니다.”라고 말하게 한다.

오래 참고 견디면서 함께 아파하는 마음은

그리스도 예수 앞에 무릎을 꿇는 이들이 보여주는 믿음이다.

부활은 그다음에 찾아오는 결과다.

 

가난과 겸손으로 관계가 회복되면 생명이 넘친다.

생명의 에너지로 서로를 돌보고 서로에게 자유를 주는 가운데

기쁨에 차서 경탄하는 신비에 접근한다.

마침내 하느님 나라의 행복이

내가 서 있는 이 땅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원복의 낙원이 펼쳐지는 것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7 하느님의 영을 지닌 사람은 듣고 말한다. 하느님의 영을 지닌 사람은 듣고 말한다.   사람에 대한 존중은 말하고자 하는 내용에 있지 않고 말하는 태도와 상대방의 말을 듣는 데 있다. 자신이 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19.08.03 686
906 여기 국밥을 시작하며 여기 국밥을 시작하며   사랑하는 여기 선교 협동조합 조합원과 후원자 형제, 자매 여러분과 저희를 사랑해주시고 기도해주시는 모든 형제자매님들께 주님께... 김레오나르도 2021.10.17 719
905 희생이라는 덫 희생이라는 덫   신앙과 영적인 성숙은 희생하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니라 사랑하려는 선택과 결단에서 온다.   불완전하게 보이는 것들을 받아들이고 ... 이마르첼리노M 2020.09.01 724
904 성탄은 관계의 축제 성탄은 관계의 축제   “내 기쁨을 나누어   너희의 마음에   기쁨이 넘치게 하려는 것이다.” (요한 15,11) 기뻐하여라 기뻐하여라 기뻐서 뛰고 춤... 이마르첼리노M 2020.12.22 726
903 지금 우리 시대를 성찰하는데 도움되는 무스타파 달렙의 글 아프리카 오지의 나라,  챠드의 아름다운 문인 무스타파 달렙의 글이랍니다.  아무것도 아닌  '그 하찮은 것'에 의해 흔들리는인류.  그리고 무너지는 사회.. 코... 1 김레오나르도 2020.04.03 733
902 새벽 묵상 새벽 묵상   “ 너는 내가 택한 아들   내가 사랑하는 아들이다”   기도를 통해 그분으로부터 사랑받는 자의 위치에 있다는 확신이 나로 하여금 나... 이마르첼리노M 2017.08.04 735
901 내 인생의 면도기 내 인생의 면도기   얼굴에 난 수염을 면도해온 지 수십 년, 무엇보다 면도날에 관심이 간다.   영혼을 맑게 하려면 양심에 날을 바로 세우지 않으면 안... 이마르첼리노M 2019.07.12 737
900 부활의 신비는 내어주는 몸과 받아들임의 신비 (성삼일의 묵상) 부활의 신비는 내어주는 몸과 받아들임의 신비 (성삼일의 묵상)   최후 만찬과 십자가에서 숨을 거두시기까지 예수께서 보여주신 행동하는 자비는 계시의 완성이... 이마르첼리노M 2023.04.05 737
899 '짝'으로 주신 선물 ‘짝’으로 주신 선물   수치심을 덮어주시는 하느님께서는 (창세 3,21) 가죽옷을 만들어 입히시는 어머니 같은 이미지를 담고 있으며 아담과 그의 아내를 서로를 ... 1 이마르첼리노M 2022.02.21 741
898 관계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관계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너와 나 하느님과 나 관계의 질을 높이는 건 하느님의 존재 방식과 행위방식을 공유하는 것   하느님의 존재 방식 ... 이마르첼리노M 2017.08.01 746
897 왕진 왕진   하느님의 것이 되기 위하여 누구의 관심사도 되지 않으려는 믿음이 나에게 있을까?   다른 이들과 분리할 수 없는 관계 속에서 자신의 운명... 이마르첼리노M 2017.07.20 747
896 재속프란치스코 회원들에게 보내는 희망의 편지 재속프란치스코 회원들에게 보내는 희망의 편지   주님의 평화가 온 누리에 …   새해를 맞이하여 주님 안에서 인사드립니다. 주님께서 여러분 ... 1 이마르첼리노M 2021.01.04 753
895 두 세계 사이에서 두 세계 사이에서   혼자서 추구하는 행복   채우려는 욕구와 채울 수 있다는 환상 소유와 지배를 위한 이기심 분배되지 않는 재화 우월감과 자아... 이마르첼리노M 2017.08.05 757
894 신비 신비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신비가 아니다. 설명할 수 있는 것도 신비가 아니다. 무엇으로도 묘사할 수도 없으며 담아낼 수 없을 만큼 넓고, 잴 수 없을 ... 이마르첼리노M 2019.05.21 760
893 위대한 전환 위대한 전환   상 받기 위해 사는가? 벌 받지 않기 위해 사는가?   젊은 날 내 삶의 동기는 내 바깥에 있었다. 착하지 않으면 지옥에 갈 것이라는 ... 이마르첼리노M 2017.08.07 761
Board Pagination ‹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