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71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스코투스는 성모님을 원죄없이 잉태되심과 관련된 사상적 체계를 세웠다. 그는 그의 하느님관과 다른 생각들과 관련시켜 성모의 원죄없이 잉태되심을 주장하였다.

스코투스에게 하느님은 사랑이신 분, 선하신 분, 자유로우신 분이었다. 그는 프란치스코의 하느님관에 영향을 받아 자신의 하느님관을 발전시켰다. 스코투스는 말하길, 사랑이신 하느님께서는 세상만물과 사람을 창조하셨는데, 각각을 사랑하시며 창조하셨다. 즉 하느님은 인간을 창조하신 것이 아니라, 나인 요셉을 창조하셨다. 철학에서 말하는 본질을 창조하신 것이 아니라, 바로 구체적인 너 아닌 나, 저것이 아닌 이것을 창조하셨다.

스코투스에게, 사랑이신 하느님은 자유로우신 분이시다. 하느님의 사랑은 인간의 죄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스코투스는 안셀름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속량이론에 영향을 받지만 그 사상에 머물지 않는다. 속량이론은 예수님께서 자신의 피로 하느님께 인간의 죄값을 갚았다는 것이다. 속량이론에 의하면,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죄값을 요구하시는 사랑과는 거리가 있는 분이 된다. 또한 하느님은 인간의 죄에 영향을 받는 분이 된다. 스코투스는 인간의 죄 때문에 하느님이 성자를 육화시킨 것이 아니라, 당신 사랑 때문에 그렇게 하셨다고 주장한다. 또한 하느님의 육화에 대한 계획은 창조와 더불어 시작되었다고 본다.  사랑이신 하느님께서 당신 사랑 때문에 세상 만물을 창조하셨고, 이 피조물을 완성으로 이끌기 위해 당신의 아드님을 파견하셨다.

스코투스 당시 신학자들은 성모님의 죄에 물들지 않음과 관련하여 주장하는 이론들을 알고 있었다. 신학자들은 성자이신 예수님은 죄에 물들지 않았고, 예수님을 품은 성모의 태도 원죄에 물들지 않았다고 모두 주장하였다. 하지만, 성모님이 언제 원죄에서 해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신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였다. 어떤 학자는 예수님을 잉태하기 전에 하느님께서 성모를 원죄에서 정화했다고 주장하였고, 어떤 학자는 예수님의 잉태와 더불어 혹은 후에 성모가 원죄에서 정화되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여기에, 스코투스는 성모가 잉태될 때부터 원죄에 물들지 않은 가능성을 첨가하고, 이 중에서 사랑이시고 자유이신 하느님의 속성에 가장 부합하는 것이 무엇인지 묻는다. 사랑이시고 자유로우신 하느님께서는 성모를 원죄없이 잉태되게 하신 것이다.

우리는 성모의 원죄없이 잉태되심을 기억하고 경축하며 그 밑바탕에 깔린 사랑이시고 자유로우신 하느님, 우리의 생각과 사상 너머에 계신 하느님을 알아차려야 할 것이다. 사랑이시고 자유로우신 하느님을 삶으로 알아차리기 위해서 우리는 어떠해야 하나? 성모님이 예수님의 잉태하실 때 보인 그 마음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주님의 영이 우리 가운데서 활동하도록 하며 주님의 영이 우리 가운데에 육화하도록 할 때, 우리는 사랑이시고 자유이신 하느님을 만나게 된다. 이 순종이 우리를 속박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자유의 세계로 이끔을 만나게 된다. 그 만남을 향해 우리 모두 나아가도록 합시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 잔치와 놀이 잔치와 놀이   알고 사랑하는가? 사랑하면서 알게 되는가? 참된 앎은 사랑하면서 배우는 진리이다. 아는 만큼 사랑하는 게 아니라 사랑하는 만큼만 아는 ... 이마르첼리노M 2020.01.30 369
201 오후 해가 하늘높이 떠올랐을때 온세상에 빛이 가득찼을때 당장에 눈에 보이는것들이  밝아 보이고 좋아보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밤하늘의  아름다운 달과 별들은 볼수... 일어나는불꽃 2019.12.20 369
200 셋째 날: 당신의 선물을 가지치기 하기 셋째 날: 당신의 선물을 가지치기(pruning) 하기 어떤 환경 하에서 당신의 선물들이 부담이 되어버렸는가요? 다른 사람들의 반대들 때문이 아니라, 당신 자신의 ... 김상욱요셉 2024.02.12 368
199 내가 모르는 나를 찾아 내가 모르는 나를 찾아   나는 나의 자유 안에 뿌려진 말씀의 씨앗들이 나의 고유한 정체성을 이루는 묘목으로 자라나서 거룩한 열정의 나무로 성장하기까지 ... 2 이마르첼리노M 2022.02.14 368
198 인간의 불완전 함을 선택하신 하느님 인간의 불완전 함을 선택하신 하느님   성탄절을 앞두고 나를 돌아보았다. 내가 나를 아는가? 내가 누구인지를 모르면서 하느님을 안다고 할 수 있는가? 자... 이마르첼리노M 2021.12.18 368
197 덕은 남이 성장하도록 돕는 예술이다. 덕은 남이 성장하도록 돕는 예술이다.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의 현장에서는 응답의 결과로써 행동하는 자비가 있다.   주기 위해서는 받아야 한다. ... 이마르첼리노M 2021.08.31 368
196 기도와 단식과 자선에 대한 새로운 이해 기도와 단식과 자선에 대한 새로운 이해   “ 하느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마르 1,15)     교회 전통 안에서 회개는 기도와 단식과 ... 이마르첼리노M 2024.02.19 367
195 무엇이 기쁜 소식인가? (기쁜 소식의 본질) 무엇이 기쁜소식인가? (기쁜 소식의 본질)   예수 그리스도를 닮고 따르는 것은 믿음의 핵심과 본질의 하나입니다. 거기에는 일정한 패턴이 있습니다. 즉 죽음과 ... 이마르첼리노M 2023.05.01 367
194 의인의 믿음과 죄인의 믿음 의인의 믿음과 죄인의 믿음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러 왔다.” (루가 5,32)   스스로 의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율법을 잘... 1 이마르첼리노M 2022.03.05 367
193 왕을 쫓아내라 왕을 쫓아내라   농경문화에서 남성들은 땅을 가꾸고, 물건을 만들고, 생활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일을 향해 에너지를 써 왔다. 그러나 지금은 자신들이 세... 이마르첼리노M 2019.09.24 367
192 성삼일 사랑의 축제. 사랑은 길을 찾아냅니다.   성삼일 사랑의 축제. 사랑은 길을 찾아냅니다.   하느님 사랑의 극치 극치의 하느님 사랑   성목요일 내어주는 몸 쏟는 피 발을 씻어주는 섬김의 현장 극치의... 이마르첼리노M 2024.03.27 365
191 기도 (나에 대한 하느님의 갈망과 하느님에 대한 나의 갈망이 만남) 기도 (나에 대한 하느님의 갈망과 하느님에 대한 나의 갈망이 만남)   기도하고 싶은 갈망은 어디서 오는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목적에 결핍과 한계를 느껴서 신... 이마르첼리노M 2023.05.08 363
190 정동 이야기 (6) 정동 이야기 6 - 성북동 신학원 건설 정동에 수도원 대지를 마련하여 수도원을 건축하고 이것이 공사만이 아니라 사용면에 있어서도 당시 한국 교회 수준에서 ... 이종한요한 2021.12.11 363
189 고독이 사랑을 통과하면 현존을 느낀다. 고독이 사랑을 통과하면 현존을 느낀다.   막달라 마리아의 고독이 예수님의 사랑을 만나 변화의 길로 들어선 것처럼 우리의 고독이 사랑을 통과하면 부활하신 ... 1 이마르첼리노M 2022.04.17 362
188 세 가지 유혹의 실재 세 가지 유혹의 실재   자신의 가능성을 실현시키려는 인간의 노력과, 타락한 생활에 안주하도록 그를 유혹하는 악마의 세력은 루가 복음(4,1-13)에 기록된 예... 1 이마르첼리노M 2022.03.06 362
Board Pagination ‹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