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무엇으로부터 구원하시는가?

 

분노와 흥분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사랑을 방해하므로

남의 죄 때문에 화내거나 흥분하지 않도록 조심할 것입니다.”

(작은형제회 인준받은 회칙 7,3)

 

나에게 있어서 하느님의 자비와 선하심이 나를 통하여 너에게 흘러가지 못하게 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타인의 죄를 보고 화를 내거나 흥분하는 것이었다.

타인들의 실수나 죄를 보고 화를 내거나 성가시게 생각하면

자비심을 갖기가 너무나 힘들었다. 아니 불가능했다고 말해야 할 것 같다.

자신의 지은 죄에 대해서는 관대하게 생각하면서 타인들의 잘못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이중구조가 그렇게 판단하도록 부추겼다는 생각이 든다.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무엇으로부터 구원하시는가?

나 자신으로부터의 해방과 내가 가치 없다고 여기는 것과

타인들이 가치 없다고 버린 것들로부터 구원하신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나는 물려받은 상처가 대를 이어 반복되는 모습을 자주 보았다.

내 주변의 가족들과 타인의 가족들에게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느님께서는 불완전함을 고쳐 완전하게 하시는 분이셨다.

무가치함과 불완전함을 이용하여 온전하게 하시는 분이셨다.

 

세상은 자신을 엘리트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로 가득 차 있다.

자신을 꼭대기에 올려놓고 통제를 하면서 지배의 영역을 넓혀간다.

그런 사람들에게 있어서 하느님은 이용의 대상일 뿐이다.

하느님을 이용하여 자신을 높이거나 반응을 조작해서라도 윗자리를 탐낸다.

돈과 재능과 지위를 가지고 통제의 영역을 확장하려는 이들에게 있어서

예수님은 이방인으로 취급될 수밖에 없다.

 

자신이 최고라고 스스로 생각하는 신자들과 근본주의의 신앙을 표방하는 이들은

자신들이 바치는 희생을 증가시키고 도덕적 규범과 율법을 철저하게 지킴으로

자신이 의롭다고 여기거나 거룩하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스스로 가치 있고 의미가 있으며 거룩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타인들과 자신을 구분 짓고 최고의 영적 수행을 하고 있다고 여긴다.

이러한 엘리트주의는 영적 순례에서 가장 흔한 유혹으로 우리를 중독에 빠지게 한다.

자가당착에 빠지게 만드는 이러한 교만과 자만심은 모순을 낳고 모순은 관계를 단절시킨다.

 

우리는 미사를 시작하면서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라고 세 번 말하고

성체를 모시기 전에 한 말씀만 하소서라고 말한다.

나는 이 고백이 마치 진실하지 않은 것처럼 생각할 때가 있었다.

나는 성체를 받아 모시기에 합당하지만 다른 사람은 합당하지 않거나

뭔가 조금 모자란 것처럼 생각하고 판단하고 있었다.

그것은 내가 얼마나 스스로 엘리트라는 함정에 빠져 있었던가를 보여주는

확실한 경험이었다.

 

불완전함과 무가치함의 부정적인 틀에서의 깨달음이 하느님 나라 문을 여는 열쇠다.

우리를 구원하시는 하느님께서는 우리의 불안전성과 무가치함과 무능과 작음 안에서

당신의 자비를 드러내신다.

그러므로 내가 하느님의 자비가 필요한 존재라는 인식에서 출발하지 않으면

우리는 엘리트라는 감옥에서 탈출하기 어렵다.

많은 양의 희생과 기도를 바치고 일정한 분량의 교무금과 헌금을 내며

공동체에서 봉사직과 재능을 봉헌하는 사람일수록

완전이라고 생각한 영성의 가장 비극적인 결과인 폭력을 불러온다.

나는 실제 내 눈으로 그런 사람들을 목격했다.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라는 거짓된 생각들에 근거한 이러한 태도는

관계를 회복하게 하는 회심에서 벗어나 자아도취의 중독에 빠지게 할 뿐이다.

 

기억하는 지식은 신앙이 아니다.

성서의 어느 곳에 어떤 말씀들이 있다는 기억에 의존할 뿐이지

어느 것도 변화의 길로 이끌어 주지 못한다.

신앙을 마치 기억하는 지식처럼 취급할 뿐이다.

 

불완전함과 무가치한 것으로부터 시작하는 영성

불완전하던 것이 온전하게 모습을 갖추는 변모와 변화를 가져오게 하며

가치 없던 것이 가치를 지니고 의미 없던 것이 의미를 지니는 영성이

예수님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나의 불완전이 그분으로 채워지고 그분을 따르고 닮아가려는 가운데

나는 내 중심성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그분의 손에 들려있는 나의 자유는 나의 통제를 벗어나

그분의 통제 밑에 공손하게 나를 내어놓을 때만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 것이다.

 

나는 선하지 않다.

나는 불완전하고 무가치하다.

내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악습과 죄뿐이라는 사실을 안다.

그분으로부터 받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가난뱅이며

무엇보다 하느님의 자비가 필요한 사람이다.


모든 피조물이 제 구실을 못하게 된 것은 제 본의가 아니라

하느님께서 그렇게 만드신 것입니다. 그러나 거기에는 희망이 있습니다.

곧 피조물에게도 멸망의 사슬에서 벗어나서 하느님의 자녀들이 누리는 영광스러운

자유에 참여할 날이 올 것입니다.” (로마 8, 20-21)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7 하느님 안에 사는 사람은 자신을 내어주면서 쉰다. 하느님 안에 사는 사람은 자신을 내어주면서 쉰다.   자신의 힘을 자신만의 상승을 위해 사용하고 공동선을 위해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사랑이 무엇인지를 모... 이마르첼리노M 2023.01.12 472
156 관계 속에 출산하는 익명의 세 번째 아이 관계 속에 출산하는 익명의 세 번째 아이   내가 사랑했던 사람들은 내가 사랑하는 것들을 사랑한 사람들이었다. 예수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열정을 가지고 따르... 이마르첼리노M 2023.01.13 419
155 신적 생명이 흘러가는 유역에서 살아가는 기쁨 신적 생명이 흘러가는 유역에서 살아가는 기쁨   불확실한 세상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은총과 사랑과 자비와 용서가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하다. 삼위일체 안에... 이마르첼리노M 2023.01.21 398
154 받아들여진 존재와 받아들인 존재는 하나의 몸이다. 받아들여진 존재와 받아들인 존재는 하나의 몸이다.   내가 하느님께 받아들여진 존재가 되는 것과 하느님께서 나에게 받아들여진 존재가 되는 것을 허용할 수 ... 이마르첼리노M 2023.01.25 271
153 힘의 원천을 성찰하기 힘의 원천을 성찰하기   나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내 믿음의 근본을 이루는 힘의 원천을 성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삼위일체 하느님으로부터 시작된 신적인 ... 이마르첼리노M 2023.01.26 287
152 알맞게 창조된 나의 실재 알맞게 창조된 나의 실재   창조된 모든 피조물은 육화된 하느님 현존의 실재다. 우리가 경험하는 하느님은 진리이시며 선하시고 최상의 아름다운 분이시라는 ... 이마르첼리노M 2023.01.28 239
151 난 너의 좋은 데를 안단다. 난 너의 좋은 데를 안단다.   세상은 온통 작은 기쁨들로 가득 차 있다. 다만 이 기쁨을 알아보는 능력이 없을 뿐이다.   하느님께서 새날로 주신 아침에 형제들... 이마르첼리노M 2023.01.30 451
150 욕구 충족의 노예에서 욕구 충족의 통제에 이르기까지 욕구 충족의 노예에서 욕구 충족의 통제에 이르기까지   욕구 충족의 노예에서 욕구 충족의 통제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많은 갈등과 넘어짐을 반복하면서 하느님... 이마르첼리노M 2023.02.10 512
149 무엇을 구원이라고 믿는가? 무엇을 구원이라고 믿는가?   내 믿음의 토대는 인류 구원에 대한 속죄 이론이 예수 그리스도의 형벌적 대속론이 아니라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는 참여... 이마르첼리노M 2023.02.14 313
148 용서가 있는 곳에는 힘을 사용하라는 내면의 유혹이 있다. 용서가 있는 곳에는 힘을 사용하라는 내면의 유혹이 있다.   우리는 선을 행할 때마다 측은한 마음으로 돌보시는 하느님의 자기 비움의 고통에 참여한다. 너를 ... 이마르첼리노M 2023.02.22 595
147 의로움의 차이를 극복하는 믿음 의로움의 차이를 극복하는 믿음   사도 바오로는 바리사이의 의로움을 쓰레기로 버렸다. “여드레 만에 할례를 받은 나는 이스라엘 민족으로 벤야민 지파 출신이... 이마르첼리노M 2023.03.03 519
146 하느님의 무상성(빚의 탕감) 하느님의 무상성(빚의 탕감)     &quot;일곱 번뿐 아니라 일곱 번씩 일흔 번이라도 용서하여라.&quot; (마태 18,22) 일만 달란트나 되는 돈을 빚진 사람이 왕 앞에 끌려왔다... 이마르첼리노M 2023.03.15 283
145 인식의 차이 인식의 차이 대해서 아는 것과 아는 것    대해서 아는 것은 객관화된 지식이지만 아는 것은 경험된 지식입니다.   경험된 지식은 왜? 어떻게? 에서 나오는 것이... 이마르첼리노M 2023.03.19 258
144 꽃피는 계절에 꽃피는 계절에   꽃피는 계절에 향기로 다가와 볼을 비비는 이여!   벌들에게 꿀을 내어주면서도 순수한 꽃으로 남아계신 당신이 있어 행복합니다.   생명이 만... 이마르첼리노M 2023.03.20 281
143 성주간 (계시의 완성을 보는 때) 성주간 (계시의 완성을 보는 때)   자비를 깊이 바라보다가 자비가 되어 자비가 흐르도록 길을 떠나는 때   자비의 열매는 나의 필요성을 없앤다. 스스로 높일 ... 이마르첼리노M 2023.03.29 350
Board Pagination ‹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