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333 추천 수 2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마음의 소금으로 간을 맞춰라

 

믿음은 옳거나 우월하다는 것을 주장하는 도덕적 경주가 아니다.

잘 보이려고 포장하거나 드러나는 것보다 눈에 띄지 않는 것에 만족하는 삶의 방식이다.

성취의 원리로 작동하는 동기들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계시하신 계획에 동의하는 것이고

보이지 않고 무한하신 하느님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자신이 만든 성취의 틀, 곧 규모를 크게 만들고 양을 늘리며 속도를 높여

생산성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다.

 

믿음은 마음의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마르 9,50)

세상의 생명을 위해 자신의 살을 내어주는 것이며. (요한 6,51)

어머니가 자녀에게 젖을 주는 것이고 (이사야 49,15)

암탉이 날개로 병아리들을 덮는 것이다. (루가 13,34)

어머니가 자녀들을 사랑하고 돌보는 것처럼 자녀들의 필요를 말없이 채우고

따뜻하게 사랑하고 돌보는 삶이다.

다시 말하면 하느님의 자비와 선하심이 나를 통하여 너에게로 흘러가도록

말없이, 보이지 않게, 겸손하고 단순하게 사는 삶의 방식이다.

우리의 모든 이해와 경험에 단순성과 심오함의 차원을 부여해 주는 삶이라는 말이다.

 

마음의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는 것은 를 위해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의 실제다.

받은 사랑에 대한 응답의 현장에서 를 돌보기 위해 시간과 돈과 정성을 쏟아붓는 것과

관계성 안에서 나오는 십자가를 받아들이기 위해 흘리는 피다.

우리는 미사를 거행할 때마다 제대 위에서 이를 목격한다.

그분을 받아 모신다는 것은, 나도 그렇게 살겠다는 것을 암묵적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식사는 모성적이다. 따뜻하고 맛있게 먹여주려는 어머니의 생명을 나누는 것이다.

식탁은 먹이고 치유하는 식탁이지 누군가를 배제하거나 차별하는 자리가 아니다.

주님의 식탁은 결코 소수의 사람을 위하거나 엘리트를 위한 것이 아니었다.

 

빵은 만인을 위한 것이다.

마음에 드는 사람만 초대하여 끼리끼리 나누는 식사가 아니다.

돌려받지 못할 사람을 초대하는 자리다.

우리는 별로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배제 시키고 심판하기 위해서

성만찬을 이용해 왔다는 슬픈 현실을 경험했다.

영성체를 하는 사람들은 가치가 있고 죄가 없는 사람들이라는 편견과

자신들은 깨끗하다고 여기는 자만심이 자리를 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예수님은 자신을 배반할 유다와 베드로에게도 음식을 나누어 주셨다.

누군가를 배제하고 제한하는 조치들은 성만찬의 음식을 더럽힌다.

성만찬은 완전한 사람들을 위한 식탁이 아니다.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거나 우쭐하게 하는 식사는 생명을 해친다.

 

최선의 것이라고 여기던 것이 부패하면 최악의 결과를 초래한다.

교회 공동체들의 믿음의 현장에 가보면 통제와 지배의 현상들이 즐비하다.

자기가 첫째이며, 첫째라고 생각하기에 통제하고 자신이 옳다는 것을

타인이 인정하도록 반응을 조작하는 모습을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기쁨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자기중심적 실상을 보는 것이다.

 

요한복음에서는 발을 씻어주는 행위가 만찬을 대신하는 것처럼 묘사되어있다.

발을 씻어준다는 것은 자신의 몸을 굽혀 상대방의 아래에 자신을 두는 것을 의미한다.

진리에 대한 사랑 때문에 행동하는 것이다.

마음의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는 것은 관계를 살피라는 말이다.

누군가를 돌보기 위해서 이 지닌 힘으로 내적인 믿음을 회복하라는 말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리지 2022.03.23 03:07:44
    아멘! 믿음은 하느님께서 계시하신 계획에 동의하는 것이고 보이지 않고 무한하신 하느님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 ?
    홈페이지 가온 2022.02.24 06:37:11
    내적인 믿음을 회복 ..마음에 담습니다.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7 오후 해가 하늘높이 떠올랐을때 온세상에 빛이 가득찼을때 당장에 눈에 보이는것들이  밝아 보이고 좋아보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밤하늘의  아름다운 달과 별들은 볼수... 일어나는불꽃 2019.12.20 369
516 두 세계 사이에서 두 세계 사이에서   내가 중요해지고 의미가 있고 자신의 힘으로 다른 이들이 좋게 생각하는 존재가 되려고 한다면, 다른 이들의 인정과 평가를 통해 자신... 이마르첼리노M 2019.12.20 361
515 깨죽에 떨어진 눈물 깨죽에 떨어진 눈물   구름모자 카페에서 깨죽 한 그릇씩 앞에 놓고 깨죽이 불러온 사연들 서로 다른 모성의 회상 회상의 거울 앞에선 비정의 어머니와 ... 이마르첼리노M 2019.12.23 395
514 말씀이 사람이 되신 날 말씀이 사람이 되신 날   인간과의 소통을 위한 하느님의 낮추심으로 사람의 품위를 당신처럼 높이신 날   말구유 안에서 하느님의 가난하심과 하느... 1 이마르첼리노M 2019.12.24 669
513 사랑 - 처음이자 마지막 언어 사랑 - 처음이자 마지막 언어   하느님에게서 배우는 학교 전부를 내어놓는 가난 한없이 낮추시는 겸손 환대와 소통 자비로운 용서 죽음으로 살리는 법... 이마르첼리노M 2019.12.27 330
512 어둠을 짊어지고 가는 빛의 길 어둠을 짊어지고 가는 빛의 길   “만일 우리가 하느님과의 친교를 나눈다고 말하면서 어둠 속에서 살아간다면 우리는 거짓말을 하는 것이고 진리를 실천하... 이마르첼리노M 2019.12.28 361
511 연약함과 무력감을 힘으로 만들기 연약함과 무력감을 힘으로 만들기   어둠이 있는 사람은 자신의 어둠을 받아들이기보다 이를 감추려고 다른 사람을 탓한다. 그러므로 어둠과 사랑에 빠지... 이마르첼리노M 2019.12.31 297
510 새날의 빛으로 새날의 빛으로   지우개로 지우고 새하얀 도화지를 받았다.   점 하나 찍고 첫발로 발자국을 내었다.   만물과 더불어 유려한 가락으로 창조... 이마르첼리노M 2020.01.01 547
509 탓   탓의 어리석음은 자신 안에 있는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상대방에게 투사시킴으로 관계를 최악으로 만든다.   남을 탓하는 사람은 자신 안에서 ... 이마르첼리노M 2020.01.04 380
508 사랑의 힘 사랑의 힘   관계의 단절을 가져온 어둠 그 감옥에 있을 때 사랑을 거부하고 사랑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경험한다.   나는 너를 나에게 오지 못하게 ... 이마르첼리노M 2020.01.05 385
507 단절과 연결의 신비 단절과 연결의 신비   우리의 삶은 여러 관계 속에서 자신을 중심으로 구축해 놓은 원칙들을 지키려고 애쓰다가 문제가 생기면 자신의 내면에서 문제를 찾... 이마르첼리노M 2020.01.08 355
506 서로 다른 믿음 서로 다른 믿음   1. “하느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어졌다는” (로마5,5) 사실을 깨닫지 못하면 누군가를 사랑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통제의 대상으로 ... 이마르첼리노M 2020.01.12 312
505 보험 보험   불확실한 현실이 주는 두려움에 직면하면 보험을 든다. 확실해 보이고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보험이 하느님 나라의 대체 수단이 되... 이마르첼리노M 2020.01.13 409
504 받아서 얻는 구원 받아서 얻는 구원   받아서 얻는 구원은 나의 업적과 공로가 아니라 주님의 선하심과 자비에서 옵니다.   받아서 얻는 구원은 내가 모르고 살아온 하... 이마르첼리노M 2020.01.14 312
503 정체성 정체성   현대의 문명사회는 가공할 만큼 발전을 해왔고 몸서리 칠만큼 변화를 경험하고 있지만 우리의 정체성은 변덕 위에서 춤추고 있다. 이 깨어지기 ... 이마르첼리노M 2020.01.15 322
Board Pagination ‹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