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72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미는, 아름다움은, 프란치스칸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프란치스코는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께 드리는 찬미」에서 하느님을 "아름다움"으로 고백하였다. 프란치스코에게 하느님은 모든 좋을 것을 주시는 분이고 그를 그 좋음에로 이끌시는 분이다. 이 좋음(bonum)을 선, 착한, 좋음으로 번역하는데, 이 bonum 안에는 미적인 것도 포함되어 있다. 하느님은 우리에게 아름다움을 주셨고 우리를 아름다움의 세계로 초대하신다.

 

보나벤투라는 하느님께로 나아가는 우리의 영적여정을 '미'로 설명한다. 이 영적여정은 우리의 바깥에 있는 아름다움의 추구에서 시작하고, 다음 우리의 내면으로 이동하고, 그 다음 아름다움 자체이신 하느님께로 이동한다. 보나벤투라에 의하면, 하느님은 우리에게 두가지 성서를 주셨다. 그 하나는 구약과 신약의 성서이다. 다른 하나는 아름다움을 품고 있는 피조물의 세계이다. 우리는 세상 안에서 하느님을 읽을 수 있고 하느님께로 나아갈 수 있다. 세상은 하느님께로 나아가는 데에 걸림돌이 아니라 하나의 디딤돌이 된다.

 

스코투스는 아름다움이 우리 삶에서 우리를 조화의 길로 이끈다고 말한다. 그는 우리 삶에 두가지 이끌림이 있다고 말한다. 하나는 나의 행복에 대한 이끌림이고 다른 하나는 올바름에 대한 이끌림이다. 나의 행복이 올바름에 의해 조절되지 않으면 우리는 무질서한 삶을 살게 된다. 또한 올바름이 나의 행복을 질식시킬 때 우리는 생명이 없는 삶을 살게 된다. 스코투스는 (창조적) 도덕적인 삶은 이 두 사이의 조화에서 이루어진다고 본다. 이 조화는 미에 의해 이루어진다. 우리가 나의 행복을 위해 무엇을 할 때, 그 행동은 '행복'을 위한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다른 누군가를 위해 희생을 할 때에, 우리는 더 깊이 있는 '행복'과아름다움을 만날 수 있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낮추며 올바름을 받들며 아름다움의 세계로 접어들게 된다.  하느님은 이 나의 초월로, 이 아름다움의 세계로 이끄신다.

스코투스는 사람의 삶을 연주되는 공연에 비유한다. 누군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나의 행복 추구나 올바름의 추구, 쏠린 삶을 산다면, 그는 불협화음 투성인 연주를 한다. 그렇지 않고 그가 자신의 삶에서 조화를 산다면, 그는 삶을 통해 아름다움을 연주할 것이고 아름다움 안에서 아름다움 자체이신 분을 향하는 삶을 산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2 하느님은 나에게 아버지신가? 하느님은 나에게 아버지신가?   생각하고 행동할 것인가? 저지르고 생각할 것인가?   생각하는 대로 새로운 삶의 방식을 살게 될 것인가? 사는 대로 ... 이마르첼리노M 2019.09.30 523
501 주님의 기도와 내 기도의 성찰 주님의 기도와 내 기도의 성찰      아버지의 이름        내 이름           포장된 거룩함, 자만심, 자랑, 스스로 높임 아버지의 나라         내 나라 ... 이마르첼리노M 2020.07.28 522
500 하느님께 자유를 드려라 하느님께 자유를 드려라   세례를 통하여 우리는 하느님의 자녀라고 배우지만 대부분은 실제로 그것을 믿지 않는 것 같다. 여전히 공적을 쌓아서 하느님의... 이마르첼리노M 2019.10.03 521
499 만찬의 신비 속에서 만찬의 신비 속에서   예수님이 사랑하는 연인들에게 남긴 정표 “이 예를 행할 때마다 나를 기억해라”   먹고 마시는 것은 언제나 생명과 연결되어 있다. ... 이마르첼리노M 2019.08.13 520
498 의로움의 차이를 극복하는 믿음 의로움의 차이를 극복하는 믿음   사도 바오로는 바리사이의 의로움을 쓰레기로 버렸다. “여드레 만에 할례를 받은 나는 이스라엘 민족으로 벤야민 지파 출신이... 이마르첼리노M 2023.03.03 519
497 나를 변화케 하는 것은? 나를 변화케 하는 것은?   나를 변화케 하는 것은 생각이 아니라 만남이다. 너와 나 사이에 있는 하느님의 현존 그 하느님은 만남의 구체적 현실이다. 그... 1 이마르첼리노M 2019.08.10 519
496 당신이 나를 사랑하시는데 나는 무얼 하면 좋을까요? 당신이 나를 사랑하시는데 나는 무얼 하면 좋을까요?     당신이 나를 사랑하시는데 나는 무얼 하면 좋을까요? 가만히 있을 수가 없어 함박웃음을 가슴에 품고 ... 2 이마르첼리노M 2022.05.31 518
495 자격이 없다는 이들이 받는 선물 자격이 없다는 이들이 받는 선물   변화의 선물은 자격이 있는 자들이 받는 것이 아니다. 다만 씨가 떨어지는 세 종류의 땅에서 자신을 발견한 사람 곧 자신... 이마르첼리노M 2019.08.11 518
494 십자가의 시나리오 십자가의 시나리오   나 살고 너 죽고 – 폭력으로 구원 – 승패 이판사판 너 죽고 나 죽자 – 폭력에 대해 폭력으로 응답 – 패 패 너도 살고 나도 산다. - 선... 1 이마르첼리노M 2019.08.04 517
493 코로나가 준 여백 코로나가 준 여백   내가 운전대를 잡고 내가 경영하던 삶, 그렇게 살다가는 미래가 없다고 하시면서 주님께서 자리를 양보하라고 하신다.   미세먼... 이마르첼리노M 2020.05.28 516
492 하느님의 방식 하느님의 방식   진심으로 보고 들으려면 타인의 상황에 몰입하는 마음 없이는 불가능하다.   주는 것의 순수한 기쁨은 받는 사람과 하나가 되는 것이... 이마르첼리노M 2020.03.18 516
491 틀을 바꿔라. 틀을 바꿔라.   회개하여라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마태오 4,17)   회개하라는 말을 고행하라는 뜻으로 이해하면 보상과 처벌이라는 틀에 묶여 외... 이마르첼리노M. 2020.12.12 514
490 기쁨을 깨우는 소리 기쁨을 깨우는 소리   뭉게구름이 피어나고 쓰르라미가 노래하는 아침 밤새도록 합창하던 귀뚜라미도 대단원의 막을 내리고 산새들의 합창이 시작되었다. ... 이마르첼리노M 2020.09.15 514
489 제22차 프란치스칸 영성 학술 세미나 제 22차 프란치스칸 영성 학술 세미나 이스라엘 성지 과거와 현재 2020년 6월 22일 (월) ~ 6월 24일 (수)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지하 성당 #프란치스... file 김정훈OFM 2020.04.29 514
488 우리가 기도하는 것은? 우리가 기도하는 것은?   “구하면 받고, 찾으면 얻고, 두드리면 열릴 것이다.” (마태 7,7) “너희는 기도할 때 빈말을 되풀이하지 말라, 구하기도 전에 벌... 이마르첼리노M 2020.06.12 513
Board Pagination ‹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