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참여하는 기쁨으로 (성프란치스코의 피조물의 찬가)

 

여러분은 그리스도 예수께서 지니셨던 마음을 여러분의 마음으로 간직하십시오” (필립2,5) 우리는 누구든지 받아들이시는 포용적인 구원자를 자신의 삶으로 따르려고 하는 대신에 예수께서 하신 일에 대해 감사만 하는 구경꾼이 되도록 배웠다. 그분께서 행하셨던 삶에서 참여와 변화를 배우기보다 나의 삶과는 무관한 방관자로서 예배에만 머물러 보속이라는 이름으로 기도와 희생을 통해 죗값을 계산하는 데에만 몰두했다. 왜냐하면 미래에 있을 처벌과 보상이라는 틀에 묶여 있었기에 하느님께서 무상으로 주시는 선물을 이해하지 못했다. 자유롭게 내어주시는 하느님의 무상성을 배우지 못하면 기쁨을 발생할 수 없다.

 

관계 안에서 선을 행함으로써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는 방식은 예수님과 다르지 않다. “그리스도를 통하여 그리스도와 함께,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으로 하나 되어” (미사통상문) 그분과 똑같이 일치하는 신비를 경험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예수님이 우리를 구원하시는 방법이다. 그리스도의 신비는 참여하는 신비다. 나와 무관한 예수님의 삶이라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참여가 없으면 일치하는 기쁨도 없다. 즉석식품과 자판기로 변해버린 신앙에는 희생에 따른 보상으로 눈앞의 복만을 추구하기 때문에 무엇인가를 바치는 데에만 집중한다. 많이 바치면 많이 받을 수 있을 것처럼 말이다.

 

성프란치스코를 통해서 복음을 받아들인 사람은 자연 안에서 피조물을 통해서 그리스도의 신성을 비춰주는 거울로써 자신을 본다. 성프란치스코는 다른 피조물과 전혀 다르지 않은 자신을 보았기에 그들을 형제라고 불렀다. 그는 전체를 보는 눈이 있었다. 그에게는 온 우주가 하느님을 드러내 주는 성사로 여겼기에 피조물의 찬가를 불렀다.

 

 

태양 형제의 노래 (성프란치스코의 피조물의 찬가)

지극히 높으시고 전능하시고 좋으신 주님

찬미와 영광과 영예와 모든 찬양이 당신의 것이옵고

홀로 지극히 높으신 당신께만 이것들이 속함이 마땅하오니

사람은 누구도 당신 이름을 부르기조차 부당하나이다

 

내 주님, 당신의 모든 피조물과 더불어 찬미 받으시옵고

그 가운데 각별히 주인이신 해님 형제와 더불어 찬미 받으소서

해님은 낮이옵고, 그로써 당신께서 저희를 비추시나이다

아름답고 장엄한 광채로 빛나는 해님은

지극히 높으신 당신의 모습을 지니나이다

 

내 주님, 달 자매와 별들을 통하여 찬미 받으시옵소서

당신께서는 빛 맑고 귀하고 어여쁜 저들을 하늘에 마련하셨나이다

내 주님, 바람 형제를 통하여 그리고 공기와 흐린 날씨와 갠 날씨와

모든 날씨를 통하여 찬미 받으시옵소서.

저들로써 당신 피조물들을 기르시나이다

 

내 주님, 쓰임새 많고 겸손하고 귀하고 순결한

물 자매를 통하여 찬미 받으시옵소서.

 

내 주님, 불 형제를 통하여 찬미 받으시옵소서.

그로써 당신은 밤을 밝혀 주시나이다.

그는 아름답고 쾌활하고 씩씩하고 힘차나이다

 

내 주님, 우리 어머니인 땅 자매를 통하여 찬미 받으시옵소서

그는 우리를 기르고 보살피며

울긋불긋 꽃들과 풀들과 온갖 열매를 낳아 주나이다.

 

내 주님, 당신 사랑 까닭에 용서하며

병약함과 시련을 견디어 내는 이들을 통하여 찬미 받으시옵소서

평화 안에서 이를 견디는 이들은 복되오니

지극히 높으신 이여, 당신께 왕관을 받으리로소이다.

 

내 주님, 우리 육신의 죽음 자매를 통하여 찬미 받으시옵소서.

살아 있는 어느 사람도 이를 벗어날 수 없나이다

불행하옵니다, 죽을 죄를 짓고 죽는 이들이여!

복되옵니다, 당신의 지극히 거룩한 뜻을 실천하며 죽음을 맞이할 이들이여,

두 번째 죽음이 저들을 해치지 못하리이다.

 

내 주님을 찬미하고 찬양들 하여라

감사를 드리고, 한껏 겸손을 다하여 주님을 섬겨라.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가온 2022.04.25 05:15:33
    내 주님을 찬미하고 찬양합니다..아멘.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7 세상 종말에 대한 말씀은 하느님 나라의 현재를 살라는 말씀이다. 세상 종말에 대한 말씀은 하느님 나라의 현재를 살라는 말씀이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때가 되면 우리가 미사 때 듣는 복음은 세상 종말에 대한 말씀을 ... 이마르첼리노M 2021.11.15 361
1326 10. 당신 마음의 렌즈를 재조정하기 10. 당신 마음의 렌즈를 재조정하기 우리는 사실과 가상을 섞어 인식한다. 개인의 양성이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진실이 아닌 것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부드... 김상욱요셉 2023.09.28 361
1325 11. 당신이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선물들과 성장 경계 발견하 11. 당신이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선물들과 성장 경계 발견하기 한 영적 스승이 제자에게 말했다. “너는 지금의 너로서 거의 완전하다. … 그리고 너는 약간의 성장... 김상욱요셉 2023.10.06 361
1324 변화에 이르는 과정 변화에 이르는 과정   창조 – 혼돈 - 재창조 질서 – 무질서 - 재질서 순진함 - 복잡 - 단순 안주 – 방황 - 순례 탄생 – 죽음 - 부활 자유 – 노예 - 하... 이마르첼리노M 2021.06.02 362
1323 말에서 떨어진 바오로처럼 말에서 떨어진 바오로처럼   깨달음으로 내면의 자유를 경험하면 깨어나기 시작한다. 깨어나는 순간 눈이 열리어 ‘나’를 알게 되고 하느님을 느끼기 시작한... 이마르첼리노M 2020.02.10 362
1322 사랑하는 이들의 기쁨이 나를 가르친다. (2)  (1)에서 이어짐  내가 그녀를 만났을 때, 그녀는 개신교에 다녔는데 개종하고 싶다고 했다. 이유는 다니던 교회는 너무나 종교관이 달랐기 때문에 신앙에 ... 이마르첼리노M 2021.06.26 362
1321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무엇으로부터 구원하시는가?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무엇으로부터 구원하시는가?   “분노와 흥분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사랑을 방해하므로 남의 죄 때문에 화내거나 흥분하지 않도록 ... 1 이마르첼리노M 2022.02.02 362
1320 세 가지 유혹의 실재 세 가지 유혹의 실재   자신의 가능성을 실현시키려는 인간의 노력과, 타락한 생활에 안주하도록 그를 유혹하는 악마의 세력은 루가 복음(4,1-13)에 기록된 예... 1 이마르첼리노M 2022.03.06 362
1319 고독이 사랑을 통과하면 현존을 느낀다. 고독이 사랑을 통과하면 현존을 느낀다.   막달라 마리아의 고독이 예수님의 사랑을 만나 변화의 길로 들어선 것처럼 우리의 고독이 사랑을 통과하면 부활하신 ... 1 이마르첼리노M 2022.04.17 362
1318 정동 이야기 (6) 정동 이야기 6 - 성북동 신학원 건설 정동에 수도원 대지를 마련하여 수도원을 건축하고 이것이 공사만이 아니라 사용면에 있어서도 당시 한국 교회 수준에서 ... 이종한요한 2021.12.11 363
1317 기도 (나에 대한 하느님의 갈망과 하느님에 대한 나의 갈망이 만남) 기도 (나에 대한 하느님의 갈망과 하느님에 대한 나의 갈망이 만남)   기도하고 싶은 갈망은 어디서 오는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목적에 결핍과 한계를 느껴서 신... 이마르첼리노M 2023.05.08 363
1316 성삼일 사랑의 축제. 사랑은 길을 찾아냅니다.   성삼일 사랑의 축제. 사랑은 길을 찾아냅니다.   하느님 사랑의 극치 극치의 하느님 사랑   성목요일 내어주는 몸 쏟는 피 발을 씻어주는 섬김의 현장 극치의... 이마르첼리노M 2024.03.27 366
1315 왕을 쫓아내라 왕을 쫓아내라   농경문화에서 남성들은 땅을 가꾸고, 물건을 만들고, 생활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일을 향해 에너지를 써 왔다. 그러나 지금은 자신들이 세... 이마르첼리노M 2019.09.24 367
1314 의인의 믿음과 죄인의 믿음 의인의 믿음과 죄인의 믿음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러 왔다.” (루가 5,32)   스스로 의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율법을 잘... 1 이마르첼리노M 2022.03.05 367
1313 무엇이 기쁜 소식인가? (기쁜 소식의 본질) 무엇이 기쁜소식인가? (기쁜 소식의 본질)   예수 그리스도를 닮고 따르는 것은 믿음의 핵심과 본질의 하나입니다. 거기에는 일정한 패턴이 있습니다. 즉 죽음과 ... 이마르첼리노M 2023.05.01 367
Board Pagination ‹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