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하느님의 숨, (성령강림 대축일 묵상-창조와 재창조)

 

하느님께서 진흙으로 사람을 빚어 만드시고

코에 입김을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되어 숨을 쉬었다.” (창세 2,7)

 

너희에게 평화가 있기를 하고 인사하셨다.” (요한 20,19)

예수께서 다시 너희에게 평화가 있기를 내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주신 것처럼

나도 너희를 보낸다.” (요한 20,21

 

예수께서는 숨을 내쉬시며 말씀을 계속하셨다.

성령을 받아라누구의 죄든지 너희가 용서해 주면 그들의 죄는 용서받을 것이고

용서해 주지 않으면 용서받지 못한 채 남아 있을 것이다.” (요한 20,22-23)

 

용서는 너와 나의 관계에 하느님의 숨을 불어넣는 행동하는 자비다.

사람에게 자유를 주고 평화를 누리게 하여 자만심으로 단절된 너와 나의 관계에

생명의 숨을 불어넣어 관계를 회복하게 하는 재창조의 일이기 때문이다.

하느님의 숨이 진흙으로 빚은 사람에게 생명을 가져다준 것처럼

용서는 자기중심적이고 이기적이며 탐욕이 빚어낸 독점과 소유가 만든

극단적 단절이라는 죽음의 관계에 다시 하느님의 숨을 불어 넣어 줌으로써

생명을 다시 찾아 평화 속에서 숨을 쉬게 하기 때문이다.

 

성령은 하느님의 숨이다. 숨과 평화와 용서는 사람에게 생명을 준다.

성령을 받는다는 것은, 하느님의 숨이 진흙이라는 원초적 진실과 만나게 함으로써

살아 숨 쉬게 한다는 것이다.

존재의 원천으로 돌아가 흙으로 빚은 인간이라는 진실과 만나게 하고

하느님과 연결하게 하는 것이 성령의 숨이다.

인간은 이로써 하느님을 알고 자신을 알게 된다.

우리는 자신의 기원을 잊어버리고 꼭대기를 점령하려는 인간의 어떠한 시도도

결국 파국으로 끝나고 만다는 사실을 경험하였다.

인간은 이러한 단절의 역사 속에서 힘의 논리로 지배를 꿈꾸어 왔으며

끊임없이 반복을 되풀이하면서 평화를 잃어버렸다.

지구촌 곳곳에서 벌어지는 전쟁과 폭력은 인간의 과도한 탐욕에서 시작되었으며

독점과 지배의 수단으로 인간이 이용되면서 만든 참상이다.

너와 나의 단절된 관계가 공동체와 국가를 넘어 인류를 죽음으로 몰아가고 있다.

 

평화는 용서의 산물이다.

용서는 자신의 기원이 흙으로 빚어진 존재라는 사실을 알고

하느님의 숨을 너에게 불어 넣어 단절되었던 관계에 하느님의 자비가 흐르게 하는 일이다.

그러나 위로부터 받지 않으면 어떻게 할 수 있겠는가?

 

최선의 것이 타락하면 최악이다.”라는 말이 있다.

인간의 자유가 점령과 지배라는 과도한 탐욕을 불러내는 자기중심적 가치에 기반을 둘 때

최악의 결과인 단절과 죽음에 이르게 된다는 말이다.

 

하느님의 숨은 성령 안에서 생명을 주는 바람으로 불어온다.

삼위일체 하느님 자비의 샘에서 흘러나와 사람과 사람 사이에,

피조물과 피조물 사이에 각각의 개체로 흘러간다.

그러나 인간의 자유가 그분의 손에 들려 있지 않으면 볼 수도 없고 느낄 수도 없다.

왜냐하면 자신으로 가득 차서 그분이 숨 쉬실 자리가 없고

영의 현존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이 바로 자신이기 때문이다.

힘의 논리로 무장하여 지배와 자아도취의 우월감으로 가득 차서

주님의 영이 들어올 여백이 없는 것이다.

위로부터 받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존재적 진실을 외면하고

말씀과 영의 통치를 벗어나 독점과 소유와 지배로 지옥이라고 부르는 나라를 만든다.

 

오직 자기밖에 모르는 사람은 눈앞의 이익과 쾌락과 편안함이라는 우상에 빠진 사람이다.

이런 우상에 빠진 사람은 하느님의 숨을 가로막는다.

그렇게 되면 하느님과 너와 피조물은 이용의 대상일 뿐이다.

이용 가치가 떨어지거나 없어지면 버려지는 대상으로 전락하고 마는 것이다.

인간의 근본적인 관계에 치명상을 입히고, 타인의 마음을 헤아리지 않고,

타인의 자유를 헤치면서 저지르는 무수한 폭력의 현장이 우리 눈앞에 있다.

힘 있는 자가 힘없는 자를 억압하고

전쟁과 폭력과 사기는 인간의 끝없는 탐욕을 부추기고 있다.

 

하느님의 숨을 잃어버린 인간은 진흙으로 남아 있는 죽은 사람이다.

너와 나 사이에 하느님의 숨을 불어넣는 용서가 자리 잡을 곳이 없기 때문이다.

새 창조의 질서는 관계 안에 하느님의 숨을 받아들일 여백을 만들어

너를 받아들이기 위해 나의 자유를 하느님의 손에 내어드림으로써 시작된다.

 

자신을 낮추어 하느님의 동등함을 포기하고 사람이 되시어

죽기까지 자신을 내어주시는 하느님의 가난하심과 겸손하심을 배우지 않고서는

하느님의 숨을 너와 나의 관계 안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용서는 하느님의 숨으로 관계를 재창조하는 일이다.

사람을 살리는 용서가 없이 평화는 없기 때문이다.

 

예수께서는 숨을 내쉬시며 말씀을 계속하셨다.

성령을 받아라누구의 죄든지 너희가 용서해 주면 그들의 죄는 용서받을 것이고

용서해 주지 않으면 용서받지 못한 채 남아 있을 것이다.” (요한 20,22-23)

 

사람에게 자유를 주고 생명을 되찾게 해주는 하느님 숨.

예수께서는 자신의 자유를 내어놓는 죽음으로써 용서가 최종적인 말이 되게 하셨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7 오후 해가 하늘높이 떠올랐을때 온세상에 빛이 가득찼을때 당장에 눈에 보이는것들이  밝아 보이고 좋아보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밤하늘의  아름다운 달과 별들은 볼수... 일어나는불꽃 2019.12.20 369
516 두 세계 사이에서 두 세계 사이에서   내가 중요해지고 의미가 있고 자신의 힘으로 다른 이들이 좋게 생각하는 존재가 되려고 한다면, 다른 이들의 인정과 평가를 통해 자신... 이마르첼리노M 2019.12.20 361
515 깨죽에 떨어진 눈물 깨죽에 떨어진 눈물   구름모자 카페에서 깨죽 한 그릇씩 앞에 놓고 깨죽이 불러온 사연들 서로 다른 모성의 회상 회상의 거울 앞에선 비정의 어머니와 ... 이마르첼리노M 2019.12.23 395
514 말씀이 사람이 되신 날 말씀이 사람이 되신 날   인간과의 소통을 위한 하느님의 낮추심으로 사람의 품위를 당신처럼 높이신 날   말구유 안에서 하느님의 가난하심과 하느... 1 이마르첼리노M 2019.12.24 669
513 사랑 - 처음이자 마지막 언어 사랑 - 처음이자 마지막 언어   하느님에게서 배우는 학교 전부를 내어놓는 가난 한없이 낮추시는 겸손 환대와 소통 자비로운 용서 죽음으로 살리는 법... 이마르첼리노M 2019.12.27 330
512 어둠을 짊어지고 가는 빛의 길 어둠을 짊어지고 가는 빛의 길   “만일 우리가 하느님과의 친교를 나눈다고 말하면서 어둠 속에서 살아간다면 우리는 거짓말을 하는 것이고 진리를 실천하... 이마르첼리노M 2019.12.28 361
511 연약함과 무력감을 힘으로 만들기 연약함과 무력감을 힘으로 만들기   어둠이 있는 사람은 자신의 어둠을 받아들이기보다 이를 감추려고 다른 사람을 탓한다. 그러므로 어둠과 사랑에 빠지... 이마르첼리노M 2019.12.31 297
510 새날의 빛으로 새날의 빛으로   지우개로 지우고 새하얀 도화지를 받았다.   점 하나 찍고 첫발로 발자국을 내었다.   만물과 더불어 유려한 가락으로 창조... 이마르첼리노M 2020.01.01 547
509 탓   탓의 어리석음은 자신 안에 있는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상대방에게 투사시킴으로 관계를 최악으로 만든다.   남을 탓하는 사람은 자신 안에서 ... 이마르첼리노M 2020.01.04 380
508 사랑의 힘 사랑의 힘   관계의 단절을 가져온 어둠 그 감옥에 있을 때 사랑을 거부하고 사랑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경험한다.   나는 너를 나에게 오지 못하게 ... 이마르첼리노M 2020.01.05 385
507 단절과 연결의 신비 단절과 연결의 신비   우리의 삶은 여러 관계 속에서 자신을 중심으로 구축해 놓은 원칙들을 지키려고 애쓰다가 문제가 생기면 자신의 내면에서 문제를 찾... 이마르첼리노M 2020.01.08 355
506 서로 다른 믿음 서로 다른 믿음   1. “하느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어졌다는” (로마5,5) 사실을 깨닫지 못하면 누군가를 사랑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통제의 대상으로 ... 이마르첼리노M 2020.01.12 312
505 보험 보험   불확실한 현실이 주는 두려움에 직면하면 보험을 든다. 확실해 보이고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보험이 하느님 나라의 대체 수단이 되... 이마르첼리노M 2020.01.13 409
504 받아서 얻는 구원 받아서 얻는 구원   받아서 얻는 구원은 나의 업적과 공로가 아니라 주님의 선하심과 자비에서 옵니다.   받아서 얻는 구원은 내가 모르고 살아온 하... 이마르첼리노M 2020.01.14 312
503 정체성 정체성   현대의 문명사회는 가공할 만큼 발전을 해왔고 몸서리 칠만큼 변화를 경험하고 있지만 우리의 정체성은 변덕 위에서 춤추고 있다. 이 깨어지기 ... 이마르첼리노M 2020.01.15 322
Board Pagination ‹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