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576 추천 수 1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무상성 (하느님의 베푸심)

 

나는 인생 후반부에 들어서 비로소 내 신앙의 근본적인 변화를 예수 그리스도의 삶 안에서 찾았다. 사람이 되신 예수로 말미암아 그분을 따르기 위해 불필요한 교리와 신학적 해석과 전통이라는 틀을 벗어나 복음에서 발견한 예수님의 마음을 새롭게 이해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성프란치스코의 영성과 삶으로 드러난 생활방식의 도움을 받아 그분이 말씀하시고 실천하셨던 삶의 모범은 내가 살아가야 할 거울과 이정표가 되었다.

 

현세의 삶과 세상, 그리고 하느님께서 내 안에 현존하시면서 함께 하신다는 깨달음은 과거와 미래의 중간을 사는 현재 안에서 발견하는 하느님 나라로 인식하게 되었으며, 현존하는 세상 만물의 생생한 기원을 관계 속에서 발견하였기 때문이었다. 하느님과 너와 피조물이라는 관계가 무상으로 베푸시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자비와 선하심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이러한 하느님의 무상성에 기초를 두고 다시 시작하면서 의미와 가치와 인식의 변화가 조금씩 일어났다. 깨닫고 깨어나 깨어있도록 이끌어주었다. 구원이라고 부르는 실재를 알게 된 것이다.

 

하느님의 영은 한 인간으로서 우리가 지닌 한계가 우리 삶의 마지막이 아니라는 것을 말한다. 용서와 화해를 위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삶을 시도해야 한다는 뜻이다. 하느님은 우리의 그러한 노력 속에서 인류 역사 안에 살아계시며 개입하신다. 하느님으로 말미암아 인간의 삶이 움직이고 변할 때 하느님의 베푸심을 경험한다는 말이다. 구원은 인간 노력의 산물인 업적과 공로에 대한 보상이 아니다. 하느님은 인간의 삶 밖에서 위로나 보상을 주시는 분이 아니시기 때문이다. 살아 숨 쉬는 동안 하느님의 무상성은 우리의 삶 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죽음 이후에 받게 될 처벌과 보상이라는 틀은 힘을 잃는다. 인간의 삶 밖에서 얻는 무상성이 아니기 때문이다.

 

율법은 사람의 자유를 빼앗고 죄책감만 주었다. 잘 지키면 상 받고 못 지키면 벌 받는 수단이 되어 버렸다. 자유롭지 못한 노예처럼 계명 준수의 반복이라는 폐쇄된 삶을 만들고 말았다. 예수께서는 율법 위에 무상성이 지배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분은 우리의 윤리적, 율법적, 올바름이 우리를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도록 보장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오히려 세리들과 창녀들이 여러분보다 먼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갑니다.” (마태 21,31)

 

예수님께서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메시아가 되기를 거부하신 것은, 하느님의 무상성과 상징성을 드러내시기 위해서였다. 하느님이 베푸시기에 인간도 베푸는 삶을 살아야 한다.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현존은 우리가 베푸는 우리의 실천이 없으면 사라지고 만다. 예수께서 우리에게 기대하시는 것이 있다면, 우리 삶의 변화다. 우리는 하느님의 무상성 안에서 태어났고 성장하였다. 신앙은 결단이다. 무상성을 기초로 하여 선택하고 결단하는 것이 신앙이다. 성령께서는 하느님을 중심으로 끝까지 자신을 변화시키신 예수님처럼 신적 변화의 길로 우리를 이끌어주신다.

 

잃었던 아들은 죽었다가 살아났다. (루가 15,24) 아버지와 함께 있는 것이 살아있는 것이고 기뻐해야 할 일이다. 예수께서는 하느님 나라를 잔치에 비유하셨다. 사람들은 베풀어진 것을 함께 나누면서 기뻐한다. 우리의 삶도 베풀어진 것이기에 그것을 내어주고 쏟아서 이웃과 함께 나누면서 기쁘게 살아야 한다. 하느님의 베푸심과 용서가 관계 속에 흐르게 해야 한다는 말이다. 바리사이와 세리의 기도에서 바리사이는 율법을 잘 지킨 자기의 행위밖에 보지 못했지만 세리는 하느님이 자신을 불쌍히 여겨 주실 것을 빌면서 하느님과 함께 있었다. 하느님이 우리와 함께 계신다는 확신과 믿음만이 자유를 준다. 하느님의 함께 계심을 잃어버린 사람은 돈과 혈연과 권력의 노예로 살아갈 뿐이다. 그것들을 이용하여 지배와 우월감의 영역을 넓히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떤 형태의 것이든 우월감은 자신을 소외시킬 뿐만 아니라 하느님의 말씀도 성령도 외면하게 한다.

 

우리의 자유는 구원받아야 한다. 우월감과 자만심을 부추기는데 자유를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말씀이 나를 지배하도록 자유를 사용할 때 참으로 자유로울 수 있다. “여러분이 예수는 그리스도요 하느님의 아들이심을 믿고, 또한 믿어서 그분의 이름으로 생명을 얻게 하려는 것입니다.” (요한 21,31)

 

은총은 하느님이 베푸시는 분이시라는 사실을 말하고 진리는 그 베푸심을 실천하는 사람 안에서 드러난다. 이것이 하느님의 자녀가 된 신앙인들이 살아가는 방식이다. 그러나 역사 안에서 베푸심이라는 주제는 은폐되고 인과응보의 틀과 논리를 하느님께 적용하면서 바치는 것에 구원이 있다는 논리가 발생하였다. 바친 만큼 받을 것이라는 사실을 주장하면서 베푸시는 하느님을 잊어버린 것이다. 그러나 하느님이 무상으로 베푸신다는 사실을 전제하지 않고는 우리의 실존도 설명되지 않는다. 인과응보의 사상을 청산하지 않으면 하느님을 우리의 수준으로 격하시키고 만다. “나병환자 열 사람”(루가 17,11-19)의 이야기는 하느님의 베푸심에 대한 감사에서 신앙체험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에 참여하는 사람은 자신과 관계를 맺고 있는 이들에게 내어주고 쏟아서 돌보아주라는 말씀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하느님의 베푸심과 용서가 실천되는 관계에 부활하신 주님의 현존이 있고 하느님 생명에 참여하는 기쁨이 있다. 기쁨이 발생하는 복음이 전해지면서 하느님의 선하심과 자비가 관계 속에 흘러가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너와 피조물 안에서 확산하는 선이 기쁨으로 드러나게 되고 그 기쁨이 서로를 비추는 것이다. 내어주는 기쁨과 쏟아내는 기쁨, 피 흘리는 기쁨으로 생명까지 내어주시는 기쁨이 십자가의 예수께서 보여주신 사랑의 기쁨이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와서 배워라. 내가 주는 멍에는 편하고 내 짐은 가볍다,” (마태 11,29) 주고 또 주어도 주고 싶은 헌신에의 조바심, 푸근한 아버지의 마음이 아닐까!

 

하느님의 무상성을 받아들이려면 믿음이 요구된다. 인과응보의 틀에 묶여 살아왔기 때문에, 틀을 버릴 용기가 필요하다. 우리는 보이지 않는 것을 믿어야 하고 모험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죽기를 각오하면 생명을 얻을 수 있듯이 우리가 볼 수 있고 맛볼 수 있으며, 느낄 수 있는 모든 것을 잃을 각오를 해야 다시 얻을 수 있다. 그것이 죽음 다음에 오는 부활의 삶이기 때문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7 어느 형제에게 온 답장 ** 제가 이렇게 글을 올리는 이유는 함께 나누자는 의미에서 이 형제와의 주고받는 편지를 올리고 있습니다. 정확히 말해 카페에서 서로의 생각을 나누는 중입니... 정마리아 2006.08.28 4266
576 수련소 노트북 구합니다   수련자들이 강의 중 프레젠테이션, 더불어 살아가는 지역 공동체 강의와 그 외 행사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노트북을 필요로 합니다. 수련소에서 지금까지 사용해... 김상욱요셉 2014.01.29 4267
575 어느 형제의 중고등부 겨울 성소 피정 마친 후 + 평화와 선 어느 형제가 저희 카페에 올린 후기입니다. ** 겨울 성소 모임에 다녀와서 ** 그저 화창만하길 바라며 집을 나섰는데 얼굴에 마주치는 바람은 어느정... 정마리아 2007.02.09 4282
574 회상과 더불어 찾아온 삶의 무게 회상과 더불어 찾아온 삶의 무게 슬픈 식욕처럼 정신의 공복감 인색한 저울로 사람을 달아 따지는 몰이해의 사나운 돌팔매들이 남긴 상처가 잠을 깨웠습니다. ... 이마르첼리노M 2014.03.21 4289
573 숭례문의 화재 소실을 보며 우리 나라 고유 명절인 설 연휴를 마칠 무렵, 국보 제 1호인 숭례문이 불타서 소실 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잘못 듣지 않았는가하고 귀를 의심하기도 했습니... 김요한 2008.02.13 4292
572 영화치료 (Emotion Picture Magic) 에로 초대합니다 http://www.jjscen.or.kr영화치료 (Emotion Picture Magic) 시네마 테라피는 정서적 심리적 건강과 성숙을 원하는 이들이 다양 한 심리정서에 관한 영화를 의식적... 전. 진. 상 영성심리상담소 2008.02.23 4327
571 웰빙... 내부의 적 지방간,콜레스테롤[빼는법] ; 먼저 승락없이 글을 올린것을 사과드리며 원치 않으신분들은 삭제하여 주십시요, 레위기 7장23~25절 에서 부터 지루하게... file 장광호 2007.11.28 4338
570 발견 발견 지향의 순수성이 거의 없이 걱정과 근심만 낳는 무질서한 방법으로 사는 것을 부끄러워해야 합니다. 하느님이 얼마나 개방적이고 얼마나 다가가기 쉽고 얼... 이마르첼리노M 2014.02.16 4338
569 성목요일 밤 성목요일 밤 성목요일, 만찬미사를 마치고 방에 돌아와 이 글을 씁니다. 지금 제 마음은 겟세마니 동산에 계시는 그분에게 다가가 있습니다. 슬픔과 눈물, 죽음... 이마르첼리노 2011.04.22 4349
568 지금이 미래다. 지금이 미래다. “장사란 이익을 남기기보다 사람을 남기기 위한 것이다 사람이야말로 장사로 얻을 수 있는 최대의 이윤이며 최대의 자산이다.” 라는 조선 후기의 ... 이마르첼리노M 2014.01.25 4369
567 에너지의 중심과 공간의 사고에 관하여 에너지의 중심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이 견해는 고 문익환 목사님의 마지막 저서인 파스요법 &quot;더욱 젊게&quot;를 시발점으로 합니다. 에너지의 중심은 삼 ... 채호준 2007.02.24 4371
566 어느 형제에게 온 편지에 대한 답신 + 평화와 선 오늘은 그다지 덥지 않아 선풍기로 버티고 있어서 기분이 좋답니다. 에어컨 틀면 돈 나가는 소리가 너무 크게 들려서 심장이 떨리거든요. 사랑하는 ... 정마리아 2006.08.25 4391
565 대화일치 영성자료실에 증관스님이 올린 글 얼마전 머나먼 이국 땅 터어키에서 목회 활동을 하시는 고신부님께서 종교간 대화와 화합의 장을 마련하고 저에게 메일을 보내오셨습니다. 그 전에도 성당 홈페이... 영성센터 2009.01.28 4394
564 불붙이는 사람들 불붙이는 사람들 추위네 방문 앞엔 외출 중 얼음장을 살찌우던 추위가 남녘의 봄기운에 밀려난 것일까 차갑지만 맑고 깨끗한 날이다 여기 저기 들려오는 건 추위... 이마르첼리노 2011.02.06 4403
563 성 막시밀리아노 콜베 [편집자레터] ‘아우슈비츠의 성인’ 조선일보 &quot;콜베&quot; 김경상사진집 기사 보도자료 2007/01/13 00:21 사진전 뉴스 보기 홈 &gt; 뉴스 &gt; 문화 &gt; 북스 [편집자레터] ‘아... 세실리아 2007.01.15 4420
Board Pagination ‹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