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381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연약함과 무력함이 관계를 변화시킨다.

 

말씀이 사람이 되셨다는 성서의 이야기 안에서 육화의 현장을 들여다보았다. 말구유 안에 갓 태어난 아기가 포대기에 싸여 누워 있었다고 루가복음은 전해 준다. 벌거벗은 인간이 되신 하느님의 이 연약한 모습이야말로 누군가의 보살핌이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처지에 놓여있음을 알 수 있다. 벌거벗은 아기의 연약함은 상대방이 나에게 영향을 주어 나를 변화시키도록 내어놓는 연약함이다. 하느님의 전능을 이야기하지만 사실 예수께서는 십자가에서 무력하고 연약하게 죽으셨다.

 

사랑이 있는 곳에는 힘이 아니라 연약함과 무력한 내가 있다. 철옹성같이 겹겹이 둘러싼 내 자아의 벽들이 아무도 침범하지 못하도록 무장한 나를 본다. 남이 나를 사랑하기 쉽도록 나를 내어놓는다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아무리 숨기려 해도 숨길 수 없는 진실한 내면의 상태는 연약하고 무력한 나의 모습이다. 그러한 나를 내어놓기란 참으로 어렵다. 그러나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사실에 직면하면 나를 내어놓는 것은 아무것도 아니다. 관계성의 원천이신 삼위일체 하느님의 영이 나에게 영향을 주도록 나의 자유와 의지를 그분의 손에 맡겨드리는 가난함이 하느님께서 들어오실 여백을 만들고 너를 받아들일 여백을 만든다.

하느님의 가난하심이 연약한 아기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오셨다면 나의 가난함이 누군가가 나에게 영향을 주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자신을 내어주는 사랑에는 상대방이 들어올 수 있도록 힘을 포기하는 가난과 허용하는 겸손이 자리를 잡고 있다. 가난은 하느님과 너와 피조물이 나에게 영향을 주도록 자신의 연약함을 드러내는 수단이다. 상대방이 나에게 영향을 주는 것을 막는 단절은 죽음을 초래한다. 내가 나를 가두는 감옥이기 때문이다. 그 감옥에서 외로움과 우울함과 실존적 공허를 느끼며 서서히 죽어가는 것이다. 행위 동시적 만족이라는 중독성 있는 대체를 찾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이렇게 될 때 사람은 악을 저지르게 된다. 연약함과 무력함을 보이지 않게 하려고 저지르는 악이다. 그렇게 되면 폭력과 증오의 칼로 관계를 심각하게 파괴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그것이 악인 줄도 모를 때가 많다. 죄의식도 없이 합리화와 정당성을 외치면서 자신을 지지하는 사람을 찾아 헤맨다. 악의 결집이 사회적 악이 되는 현상이다. 다른 이들로부터 단절될 때 아프고 독해지며 악이 나를 지배하도록 방치하는 것이다. 결국 자신이 만든 왕국에서 누구로부터도 간섭이나 질문도 받지 않는 힘 있는 주인으로 행세하는 것이다.

 

 

자신을 내어주는 사랑은 죽어도 죽는지 모르는 사랑이다. 삼위일체 하느님의 사랑과 연결된 사랑이기 때문이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와서 배워라하고 말씀하시는 예수님은 성부로부터 받은 사랑에 사랑으로 응답하시기 위하여 십자가에서 자신의 생명을 내어놓으셨다. 내어주는 몸과 쏟는 피의 현장이 성사적 현존으로 드러나는 관계성이다. 우리가 지은 죗값으로만 여기던 예수님의 죽음과 얼마나 대조되는가? 사랑은 사랑에 의해 죽는다. 사랑은 사랑으로만 이해할 수 있는 영의 신비다. 끝없이 자신을 내어주는 아버지로부터 흘러나오는 자비와 선의 신비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배우는 관계 맺는 방식은 아버지와 아들의 사랑에서 나온다. 성령은 곧 아버지의 영이며 죽고 부활하신 예수님의 영이시다. 관계성에 숨을 불어넣는 영의 인도를 받아 우리를 통하여 하느님의 본질을 살게 하시는 것이다. 사람은 사랑을 먹고 사는 존재들이다. 그러므로 단절된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야말로 구원이라고 할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42 나는 몰랐습니다. 나는 몰랐습니다.   나는 몰랐습니다. 나의 생명이 자신에게만 중요하다고 생각했지 하느님께 더욱 중요하다는 사실을,   나는 몰랐습니다. 기쁨과 슬픔이 나에... 1 이마르첼리노M 2022.08.10 354
1341 단절과 연결의 신비 단절과 연결의 신비   우리의 삶은 여러 관계 속에서 자신을 중심으로 구축해 놓은 원칙들을 지키려고 애쓰다가 문제가 생기면 자신의 내면에서 문제를 찾... 이마르첼리노M 2020.01.08 355
1340 꽃을 찾는 벌들의 마음 꽃을 찾는 벌들의 마음   꽃피는 4월이다. 꽃을 찾는 벌들의 마음 꽃이 있는 곳엔 벌들이 있다.   구름이 해를 가려도 안개가 해를 가려도 한겨울 ... 이마르첼리노M 2021.04.12 355
1339 사랑은 보편적일 때 가장 아름답다. 사랑은 보편적일 때 가장 아름답다.   보편적 사랑을 배우다 보면 차별과 독점을 찾던 내가 부끄러워 얼굴을 들을 수가 없다. 하느님의 보편적 사랑에 눈... 이마르첼리노M 2021.11.29 356
1338 세상을 탓하지 마, 진리는 거기에 있어, 세상을 탓하지 마, 진리는 거기에 있어,   기쁨이 달콤하고 시원한 과일즙 속에 있을 때 열매라고 부르고 기쁨이 노래일 때 새라고 부른다. 하지만 내가 기... 이마르첼리노M 2021.12.01 356
1337 벌거벗은 진실 안에서 누리는 하느님 나라 벌거벗은 진실 안에서 누리는 하느님 나라   우리의 믿음은 우리 안에 주어진 하느님의 선물을 발견하는 기쁨과 깨달음에서 성장한다.   내면의 깊은 ... 이마르첼리노M 2020.01.16 357
1336 역설 역설   많이 바치면 사랑하게 되는가? 아니다. 사랑하면 바친다.   잘 지키면 사랑하게 되는가? 아니다. 사랑하면 지킨다.   바치는 것과 지키... 이마르첼리노M 2020.02.12 357
1335 부산물로 얻는 행복한 내리막길 부산물로 얻는 행복한 내리막길   기쁨과 자유는 복음적 가치와 의미의 부산물, 기쁨과 자유는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면 할수록 본래의 목적과는 거리가 멀... 이마르첼리노M 2021.07.13 357
1334 내어주고 품어 안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모성적 힘 내어주고 품어 안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모성적 힘   내가 지난날의 내 믿음을 성찰하는 가운데 발견한 것은 하느님을 권력을 지닌 힘으로, 지배하는 전능으로 이... 이마르첼리노M 2023.01.11 358
1333 놀라움의 신비 (좋은 땅에 떨어진 씨) 놀라움의 신비 (좋은 땅에 떨어진 씨)   하느님의 말씀을 귀로 듣는 것이 아니라 온몸으로 알아들을 때 소름과 전율을 느끼게 된다. 믿기지 않을 만큼 ... 이마르첼리노M 2020.01.29 359
1332 새 창조의 길 새 창조의 길   복음은 행동이 수반된 언어입니다. 행동하는 자비가 없는 설교나 우리 자신이 기쁜 소식이 되지 않는다면, 기쁜 소식이라고 설교해도 듣는... 이마르첼리노M 2022.01.11 359
1331 근본적으로 수정해야 할 인식의 얼굴들 근본적으로 수정해야 할 인식의 얼굴들   사랑은 사랑하지 않는 사람에게 위협이 된다. 사랑하는 사람을 미워하는 동기가 사랑하는 사람이 보여주는 사랑으로 인... 1 이마르첼리노M 2022.04.12 359
1330 들보를 모르는 목자들 들보를 모르는 목자들   하느님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하느님의 일을 막는 사람들 그들은 자신들의 머릿속에 갇혀 있으며, 도덕적 원리들에 사로잡혀 있고 ... 이마르첼리노M 2019.09.29 361
1329 두 세계 사이에서 두 세계 사이에서   내가 중요해지고 의미가 있고 자신의 힘으로 다른 이들이 좋게 생각하는 존재가 되려고 한다면, 다른 이들의 인정과 평가를 통해 자신... 이마르첼리노M 2019.12.20 361
1328 어둠을 짊어지고 가는 빛의 길 어둠을 짊어지고 가는 빛의 길   “만일 우리가 하느님과의 친교를 나눈다고 말하면서 어둠 속에서 살아간다면 우리는 거짓말을 하는 것이고 진리를 실천하... 이마르첼리노M 2019.12.28 361
Board Pagination ‹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