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862 추천 수 0 댓글 1
매일미사 말씀 보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어제는 미사 중 사도행전의 말씀을 듣는데 유독
“유다인에게만 전하였다.”는 말씀이 제 귀에 꽂혔습니다.
“그 무렵 스테파노의 일로 일어난 박해 때문에 흩어진 이들이
안티오키아까지 가서, 유다인들에게만 말씀을 전하였다.”
이 얘기 다음 바르나바가 사울을 타루수스에서 데리고 오고
그들은 거기서 1년 동안 머물며 복음을 전함으로써
처음으로 안티오키아 교회 신자들이 그리스도인으로 불렸다는 얘기를
사도행전은 계속해서 전합니다.

오늘 사도행전은 드디어 바르나바와 사울을 파견합니다.
박해에 의해 흩어질 수밖에 없는,
즉 어쩔 수 없는 상황 때문에 그리스도교 전파가 이루어졌다면
이제 그리스도교 공동체가 처음으로 스스로의 결정에 의해
선교사 바르나바와 바오로를 파견하는 것이고,
이제 유다인들에게만이 아니라 이방인에게도 파견하는 것입니다.

저는 이런 역사 안에서 성령의 대단한 작용을 느낍니다.
교회란 교우들의 모임이란 뜻이지만
흩어짐이 있어야 새로운 모임, 새로운 교회가 탄생한다는 것입니다.
제자들이 흩어지지 않았으면,
그래서 예루살렘과 이스라엘에만 머물렀으면
안티오키아 교회가 탄생하지 않았을 것이며,
주님의 교회는 영원히 그리스도교가 아니라 유대교로 남았을 것입니다.

회자정리(會者定離), 만난 사람은 언젠가 헤어지기 마련이기도 하지만
헤어지고 흩어져야 새로운 만남과 모임이 있다는 것이지요.
많은 성공 신화들을 보면 실패가 새로운 시작의 출발점이었습니다.
다니던 직장에서 쫓겨나지 않았으면 평생 봉급쟁이였을 것입니다.
회사가 파산하지 않았다면 그 회사를 평생 운영하였을 것입니다.

주님의 실패,
예루살렘 유다 교회의 흩어짐을 통하여
안티오키아 그리스도 교회를 시작하신 성령께서는
이제 이방인 안에서 새로운 교회를 시작하시기 위하여
안티오키아 교회에 사도의 파견을 명하십니다.
“내가 일을 맡기려고 바르나바와 사울을 불렀으니,
나를 위하여 그 일을 하게 그 사람들을 따로 세워라.”
고인 물이 썩지 않으려면 새로운 물이 흘러들어오기도 해야지만
물이 흘러가기도 해야 하듯이
주님의 교회는 이제 지역을 넘고 민족을 넘어서
새로운 땅, 새로운 민족들에게로 흘러가야 합니다.

지난주일, 교회는 첫 번째 사회회칙,
“새로운 사태(Rerum Novarum)” 반포 120주년을 기념하였습니다.
이 회칙은 칼 마르크스의 등장으로 위기에 처한 교회가
이 새로운 사태에 대처하기 위한 쇄신의 필요성을 천명한 것입니다.
제 2 바티칸 공의회 또한 쇄신과 적응의 공의회라고 할 것입니다.

성령께서는 이렇듯 늘 위기를 새로운 사태로 만드십니다.
위기가 위험스러운 기회,
즉 위험스럽기는 하지만 새로운 기회이듯이
성령께서는 교회가 지역과 자기 체제 안에 안주하지 않도록
교회에 늘 새로운 도전을 주시고 응답하게 하십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 ?
    홈페이지 지금 2011.05.18 09:44:36
    위기가 기회이듯 ...
    저 역시 위기가 기회로 삶의 터닝 포인트가 되었읍니다
    새로운 기회는 또 다른 바람을 안겨줍니다 .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28Jul

    연중 17주 목요일- 나의 곳간은?

    “하늘나라의 제자가 된 율법학자는 자기 곳간에서 새 것도 꺼내고 헌 것도 꺼내는 집주인과 같다” 나의 곳간은 어떤 곳간인가? 빈 곳간인가, 가득한 곳간인가. 헌것으로 가득한가, 새것으로 가득한가. 쓰레기, 잡동사니로 가득한 곳간일 바엔 빈 곳간이 낫겠지...
    Date2011.07.28 By당쇠 Reply8 Views1101
    Read More
  2. No Image 27Jul

    연중 17주 수요일- 나날이 새로운 삶

    “하늘나라는 좋은 진주를 찾는 상인과 같다.” 저는 오늘 좋은 진주를 찾아다니는 상인이 부럽습니다. 저는 좋은 진주를 찾아다닐 마음이 그리 없기 때문입니다. 좋게 이해하면 지금, 여기에 제가 만족하기 때문이고 나쁘게 얘기하면 현재에 안주하기 때문입니...
    Date2011.07.27 By당쇠 Reply0 Views771
    Read More
  3. No Image 26Jul

    연중 17주 화요일- 나는 밀일까, 가라지일까?

    “가라지는 악한 자의 자녀이다.” 나는 밀일까, 가라지일까? 가라지가 아니라 밀이고 싶지만 가라지가 아니라고 도저히 말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제 주제가 실제 그러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가라지이면서 밀이라고 감히 주장할 정도로 뻔뻔스럽지 않기 위해서...
    Date2011.07.26 By당쇠 Reply0 Views762
    Read More
  4. No Image 25Jul

    성 야고보 사도 축일-야고보는 할 수 있을까?

    “내가 마시려는 잔을 너희가 마실 수 있느냐?” “할 수 있습니다.” “너희는 내 잔을 마실 것이다.” 야고보와 요한은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요즘 많은 사람들이 “I can do it!”, “I can do it!”합니다. 자신감의 표현으로 이렇게 말하는 것처럼 정말 야고보...
    Date2011.07.25 By당쇠 Reply0 Views901
    Read More
  5. No Image 24Jul

    연중 제 17 주일- 지혜로운 사람은

    “보물을 발견한 사람은 가진 것을 다 팔아 그 밭을 산다.” 지혜를 깨닫는다고 합니다. 지혜를 얻는다고도 합니다. 그런데 살면서 보니 지혜를 깨닫고 얻는 것이 머리의 능력만이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런 것이라면 머리 좋은 아이가 늙은이보다 더 지혜로울 것...
    Date2011.07.24 By당쇠 Reply1 Views900
    Read More
  6. No Image 23Jul

    연중 16주 토요일- 부정의 부정보다 긍정의 긍정이 더 사랑적

    “가만 두어라. 가라지를 뽑다가 밀을 뽑으면 어떻게 하겠느냐?” 지금보다 더 젊었을 때 그래서 욕심이 지금보다 더 많았을 때, 그때는 왜 그렇게 잘못만 보이고, 잘못하는 사람, 특히 젊은이들이 잘못하는 것을 보면 저는 여지없이 훈장기질을 발휘하여 고쳐주...
    Date2011.07.23 By당쇠 Reply0 Views848
    Read More
  7. No Image 22Jul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축일- 죽음과 부활을 공유하는 사랑

    “마리아 막달레나는 제자들에게 가서 ‘제가 주님을 뵈었습니다.’하고 말하였다.” 오늘 우리가 축일로 지내는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는 예수님 부활의 첫 목격자이고 증인입니다. 이런 성녀의 날을 교회가 기념으로만 지낸다는 것은 우리 교회가 너무 남성 중심...
    Date2011.07.22 By당쇠 Reply1 Views130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189 1190 1191 1192 1193 1194 1195 1196 1197 1198 ... 1434 Next ›
/ 143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