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3.02.14 10:21

참된 빛 1

조회 수 83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그리스도의 평화

 

     어두움 속에 비추는 달빛과 별빛들,, 나는 그것들을 바라본다. 사실은 달빛이 달빛이 아니고, 별빛이

 

별빛이 아니다. 어두움 속에 비추고 있는 그것들이 온세상을 비추고 있고, 수 많은 사람들은 모두다 한

 

결같이 별을 보고 별빛이라고 하고 달을 보고 달 빛이라고 한다. 물론 나도 말할때에는 별빛이라고 달빛

 

이라고 말을 하지만 실은 그것이 아니다. 그것들은 햇빛에 의해서 반사되어 비치고 있는 것일 뿐이다.

 

그래서 그것들은 어두움 속에서 달빛으로 별빛으로 비추고 있을 뿐이다. 어두움속의 저너머 뒷편에는

 

찬란하게 비추는 태양과 그의 빛이 있을 뿐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아니 수 많은 사람들은 감추어져 있는

 

햇빛을 보지 못한체 달빛과 별빛으로 인식되어 바라보고 있다. 어두움속의 감추어져 있는 참 빛 사실 이

 

것은 어마어마한 진리이다. 이렇게 아주 단순하고 별것도 아닌 한 자연의 진리이지만 그 속에는 하느님

 

과 하느님나라의 참된 진리가 숨겨져 있다. 역사와 시대를 넘어서서 동서양의 수 많은 성인들과 현자들

 

은 책에서뿐만 아니라 이러한 자연의 진리와 섭리, 법칙에서 불변의 진리를 깨닫고 경지에로 나아갔다.

 

우리는 어두움속에서 빛나는 달과 별들과 그 속의 참으로 빛나는 해에게서 우리의 참모습을 발견할 수

 

가 있다. 그리고 우리의 참모습은 곧 하느님의 참 모습이기도 한 것이다. 이 세상은 하느님을 찾기 보다

 

는 황금만능주의 갖가지로 자기 중심적이고, 세속적인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고 우리 또한 그러한 것에

 

이끌려지고 따라가며 살아가기에 어둠속에서 살아간다고 할 수가 있을 것이다. 그러한 모습이 우리의

 

참 모습이라고 할 수가 있겠는가? 그것이 어떻게 참된 순수자아라고 할수가 있겠는가? 우리의 참 자아

 

를 보기 위해서는 이 어두움이 지나가야 할 것이다. 마치 어두움이 지나간 뒤에 찬란한 광명이 비치듯이

 

우리의 순수 영혼도 어두움이 지나간 뒤에야 보게 될 것이다. 어두움이란 무엇인가? 어두움이란 집착과

 

욕심, 소유에서 비롯된다. 영적인 것이든 육적인 것이든 그 자체로서는 어두움이 아니지만 우리가 그 좋

 

은것을 붙잡고 있을 때 곧 어두움이 된다. 우리는 이 어두움 때문에 참된 빛을 보지 못한다. 그 어두움을

 

벗어나는 길은 종교마다 종파마다 각 수도회의 영성마다 다 다르고, 개개인의 하느님체험과 신앙체험에

 

따라서 다 다르다. 그것을 내가 여기서 어떻게 다 설명할 수가 있겠는가? 그리고 중요한것은 어두움에서

 

찬란한 광명을 보기 위해서는 기다리는 인내와 항구함이 필요하다. 어두운 밤에서 한 낮의 찬란한 태양

 

을 보기 위해서라면 당연히 기다려야 하지 않겠는가? 기다리지 않고서 보겠다고 하는것은 너무나도 어

 

리석다. 또 하나는 찬란한 태양을 보았다고 해서 그것이 늘 항상 맑은 날만 지속되지는 않는다. 어떤 때

 

는 구름이 끼이고, 흐리기도 할 것이고, 몇날 몇칠동안 해가 뜨지도 않을 때도 있다. 우리는 그것을 알아

 

야 한다. 내 안에 있는 순수자아와 참된 빛을 체험했다고 해서 그것이 평생 지속되는 것이 아니다. 흐려

 

질 때도 있다. 그래서 우리는 더욱더 찾고 갈망할 수가 있다. 어두움속의 달과 별빛 그리고 저너머에 있

 

는 찬란한 햇빛은 지금도 우리들을 깨우쳐 주고 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3 마음의 양식 . 1 고은아 2008.07.21 5673
502 마음의 소금으로 간을 맞춰라 마음의 소금으로 간을 맞춰라   믿음은 옳거나 우월하다는 것을 주장하는 도덕적 경주가 아니다. 잘 보이려고 포장하거나 드러나는 것보다 눈에 띄지 않는 것에 ... 2 이마르첼리노M 2022.02.24 333
501 마음을 다스리게 하는 힘의 원천 마음을 다스리게 하는 힘의 원천   인간의 마음을 다스리려면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야 합니다.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것은 정신이... 이마르첼리노M 2023.08.20 313
500 마음 바꾸기 마음 바꾸기   나는 회개했다는 표시로 행위의 변화를 중요하게 여겨왔다. 좋아하던 어떤 것을 사순절 동안 끊거나 절제하거나 했다. 단식과 기도와 자선... 이마르첼리노M 2020.02.25 387
499 마음 마음 닫힌 마음 닫은 마음 열린 마음 여는 마음 열고 닫는 사이 서리 내린 머리 2 이마르첼리노 2010.10.31 5305
498 마므레 참 나무 곁에서(창세기 18,1-8) +그리스도의 평화         주님의 세천사는 마므레의 참나무 곁에(창세기 18,1) 있다가   아브라함이 그것을 보고서는 마치   종이 주인을 섬기듯한 ... 김기환베드로M. 2013.06.28 5413
497 마리아의 원죄없으신 잉태에 대한 복자 둔스 스코투스의 논증 복자 둔스 스코투스의 마리아의 원죄없으신 잉태 설명 1. 성 보나벤투라의 추론 (1) 보나벤투라는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와 관련하여 교회 안에 전해내... 1 고 바오로 2010.12.08 13371
496 마리아의 원죄없으신 잉태에 대한 복자 둔스 스코투스의 논증 지난 6월 10일부터 12일까지 제15차 프란치스칸 영성 학술 발표회가 있었습니다. 마지막날 &quot;스코투스 사상 안에서의 사랑과 자유&quot;에 대한 강의를 들었는데, 질... 고파울로 2013.06.15 5745
495 마리아 엘리사벧을 만나심... 사랑해 2006.12.27 5392
494 마리 앙투와네트와 박근혜 마리 앙투와네트와 박근혜   마르코 복음에는 예수님께서 공생활을 시작하시면서 유독 신경을 쓰신 것이 악령에 들린 사람들을 고쳐 주셨다는 것이다. 광야에... file 이종한요한 2017.03.20 1378
493 라베르나의 성금요일 오후 라 베르나의 성금요일 오후   라 베르나와 골고타 언덕 석양에 물든 십자가 골고타의 예수께서 거기 계셨다. 오후 3시 수난전례 못 박히신 ... 이마르첼리노M 2014.04.18 3532
492 라베르나 프란치스칸 관상 기도 모임 안내 태어난 인간은 누구나 세월과 함께 늙어 병들어 죽기 마련이다. 이름하여 생로병사(生老病死)에서 예외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수 천년을 두고 변함없이 진행되... 관리형제 2007.02.24 5223
491 라베르나 관상기도모임 T. 평화와 선 나는 이렇게 그냥 완전하다. 문제는 그것이 무엇이든 그것을 나의 것으로 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아씨시 프란치스코의 “가난”은 우리를 ... 이재성 보나벤두라 2006.06.08 6711
490 라 베르나의 성금요일 오후 라 베르나의 성금요일 오후 라 베르나와 골고타 언덕 석양에 물든 십자가 골고타의 예수께서 거기 계셨다. 오후 3시 수난전례 못 박히신 몸에 입을 맞추며 돌아... 이마르첼리노 2011.04.22 4217
489 라 베르나 프란치스칸 관상기도 모임 안내 T. 평화와 선 한국에서와는 달리 유럽에서만 볼 수 있는 풍경중의 하나는 수백마리의 양들이 들판에서 풀을 뜯는 정경이리라. 하늘을 바라보는 양은 거의 한 마리... 관리형제 2007.05.21 5072
Board Pagination ‹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