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2013.03.28 08:08

거름만드는 기계 1

조회 수 65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그리스도의 평화

 

 

 

   하느님께서는 진리이시고, 선이시다.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한계와 능력과 그 모든것을 넘어서 계

 

신 분이시기에 말로 표현할 수도 없고, 이해할 수도 없으며, 알수도 없어며, 그래서 하느님은 " 당신

 

은 경외로우신분"(시편 76,8)이시다. 우리는 그러한 하느님의 뜻과 섭리 안에서 살아간다. 하느님께

 

서도 뜻이 있으시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느님의 뜻이 무엇인지 우리가 지닌 한계 안

 

에서 알 수 있게 되었다. 그것은 우리가 참 행복하게 사는 것이다. 기쁘게 사는 것이고, 사람이 사람

 

답게 사는 것이 하느님의 뜻이다. 그러나 그러한 하느님의 뜻도 이루어 지시기 위해서는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는 인간의 의사를 필요로 하신다.

 

 

   성령의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하느님의 인간의 협조가 필요한 것이다. 난 이번 2월 초에 대

 

전 수련소로 소임으로 오게 되었다. 그 소임이라고 하는 것은 농장 보조이다. 물론 빵도 조금씩 하게

 

 되겠지만 말이다. 그리고 내가 요즘 하고 있는 농장일이라고는 소나무 잘라놓은 것을 톱밥으로 만

 

드는 기계에다가 넣어서 파쇄시키는 것이다. 그렇게 해서 거름으로 만드는 것이다. 요즘 이것이 내

 

가하는 일이고, 내가 농장일을 하면서 하게 되는 나의 뜻이다. 내가 이렇게 거름으로 만드는 나의

 

을 행하고 이루기 위해서 기계를 작동시켜 놓고 나무들을 파쇄시킨다.

 

 

 

   그런데 나의 뜻에 맞게 잘 파쇄가 되는 것들도 있지만 그 반면에 마치 자기는 절대 부서지지 않겠

 

노라고 고집을 부리듯이 마치 말 안듣는것처럼 부서지지 않고 꼭 끼여서 안 부서지는 나무들도 있

 

다. 그러한 나무들은 그래도 애써 집어넣어 보고 파쇄시키려고 해보지만 파쇄되지 않는다. 나무가

 

너무 굵고 딱딱해서 그런 것이다. 그런것은 어쩔 수 없이 빼내어서 밖에 던져져 버린다.그리고 그런

 

것들을 모아다가 땔감으로 쓸때 불에 태워 없애 버린다. 난 이러한 광경들을 보면서 예수님께서 열

 

매를 맺지 않는 나무나 가지들은 불에 태워버리신다고 말씀하시던 복음내용이 생각이 난다. "좋은

 

열매를 맺지 않는 나무는 모두 잘려 불에 던져진다(마태오 7,19)." "내 안에 머무르지 않으면 잘린 가

 

지처럼 밖에 던져져 말라 버린다. 그러면 사람들이 그러한 가지들을 모아 불에 던져져 태워 버린다

 

(요한15.6)" 우리도 그 나무들과 같다.

 

 

 

    하느님께서는 뜻이 있고, 그 하느님 아버지의 뜻이무엇인지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이미 우

 

리는 그 답을 알고 있다. 하느님 아버지의 뜻에 합당한 자가 되기 위해 순순히 부서지는 나무가 될 것

 

인가? 아니면 어써 부서지지 않을려고 애쓰는 굵은 나무가 되고 딱딱한 나무가 될것인가? 그것은 자

 

유의지를 가지고 있고, 하느님의 뜻에 협조 할 수 있는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을 것이다. 난 바라본

 

다. 여러가지 일을 하면서 하느님 아버지의 뜻과 그 뜻에 협력해야 하는 우리들의 모습을 바라본다.

 

난 과연 지금 어떠한 나무인가? 부서지는 나무인가? 부서지지 않는 나무인가? 쉽게 부서지기 위해서

 

는 난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나의 의지를 나와 세속중심에 두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과 그분의 뜻

 

 두어 나의 의지를 포기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해서 나는 농장일을 통해서 하느님께서는 나에게 많

 

은 진리와 그분의 뜻을 가르쳐 주신다. 신학이고, 영성이다. 신학교 수업과 강의실에서의 신학과 영

 

성이 아니라 농장일을 통해서 배우는 신학과 영성이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7 가난한 자들에게 전해진 복음 가난한 자들에게 전해진 복음   교회가 처음 생겨났을 때, 교회는 가난한 자들의 교회였다. 복음은 당시 어부들을 중심으로 하류 계층에 먼저 전파되었다. ... 이마르첼리노M 2021.09.03 430
276 가을을 남기고 떠나고 싶은 당신과 나의 계절에 가을을 남기고 떠나고 싶은 당신과 나의 계절에   봄에 태어나서 여름을 남기고 떠난 사랑 가을은 멀리 있는데 겨울옷부터 챙기는 이여,   나는 조... 이마르첼리노M 2021.09.07 396
275 숲속의 교향곡 숲속의 교향곡   가을 숲에서 가을이 그리운 이들이 모여 지휘자의 지휘에 따라 교향곡을 연주합니다.   1악장 새털구름 사이로 오랜만에 얼굴을 내... 이마르첼리노M 2021.09.08 382
274 고독한 순례자 고독한 순례자   하느님은 나중에 일하시는 분이 아니시다. 바로 지금 이 땅에서 모든 관계 속에서 일하시는 분이시다.   낙원에서 행복의 깊이에 들... 이마르첼리노M 2021.09.10 447
273 풍경이 있는 인생길 풍경이 있는 인생길   잠을 깬 꽃들이 아침이슬로 세수하고 파란 거울 앞에서 기초화장을 한다. 구름 사이로 떠 오른 태양 물광에 반짝이는 얼굴   출... 이마르첼리노M 2021.09.20 394
272 나는 누구인가? (1) 나는 누구인가? (1)   전에는 내가 누구인지를 몰랐습니다. 지금도 나는 내가 누구인지 잘 모릅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 어떤 분이신지를 조금씩 알게 되면... 이마르첼리노M 2021.09.22 427
271 나는 누구인가? (2) 나는 누구인가?(2) 성서의 하느님과 그리스도 예수께서 말씀하시고 당신 친히 걸어가신 사랑의 길은 사랑하면 죽을 수밖에 없다는 진리를 발견하도록 이끌어... 이마르첼리노M 2021.09.22 449
270 공존은 자유를 주는 것 공존은 자유를 주는 것   가난한 사람들이 행복한 이유는 선택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선택의 여지가 없으면 가진 것으로 즐기고 만족할 수 있다. 우리... 이마르첼리노M 2021.09.23 401
269 찬양의 두 얼굴 찬양의 두 얼굴   믿음의 신비는 역설적인 과정에서 발견된다. 죽기를 각오하면 살고, 살려고만 하면 죽는다. 믿음은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관계에서 고난을 ... 이마르첼리노M 2021.09.26 381
268 정동 수도원 이야기 (1) 정동 수도원 이야기 정동 수도원은 프란치스코 수도회 한국 관구 본부가 있는 수도원이며 서울에서 가장 먼저 시작된 공동체이다. 수도원이 있는 정동은 행... 1 이종한요한 2021.09.26 581
267 사랑의 묘약 (2007년 9월26) 사랑의 묘약     사랑 때문에 기도하고 사랑 때문에 시를 쓰는 마음   사랑은 내 존재의 근원에서 꽃피는 축제요 염원이요 참회라 할 수 있다.... 이마르첼리노M 2021.09.30 340
266 정동 수도원 이야기(2) 정동수도원 이야기 계속 건축이란 엄청난 도박에 속하는 것인데, 아직 언어도 배우지 못한 그 분이 이 정도 정확한 판단력으로 공사를 하게 된 것은 전적으로 ... 이종한요한 2021.10.10 475
265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변화의 길 (1)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변화의 길 (1)   “누가 내 어머니이며 내 형제들이냐?” (마태12,48) “믿는 영혼이 성령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 이마르첼리노M 2021.10.14 311
264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변화의 길 (2) (1)에서 이어짐 내려가는 길은 아름다운 길이다. 통제와 지배의 자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오르려고만 했던 과정에서 피 흘리는 싸움으로 생명의 에너지를 허... 이마르첼리노M 2021.10.14 328
263 십자가의 역설을 삶의 계시로 받아들이는 믿음 십자가의 역설을 삶의 계시로 받아들이는 믿음   “옳은 일을 하다가 박해를 받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나 때문에 모욕을 당하고 ... 이마르첼리노M 2021.10.15 342
Board Pagination ‹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