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기도 (나에 대한 하느님의 갈망과 하느님에 대한 나의 갈망이 만남)

 

기도하고 싶은 갈망은 어디서 오는가? 자신이 하고자 하는 목적에 결핍과 한계를 느껴서 신의 힘을 빌려 목적 달성을 하고 싶은 마음인가? 아니면 사랑받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 감사를 드릴 필요가 있어서인가? 주님과 함께 주님 안에서 머물고 싶은 갈망과 내 안에 계신 주님의 영의 이끌림에 의해서인가? 기도에 대한 갈망의 동기를 성찰하는 마음은 내면의 거울을 보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갈망을 느낄 때 맨 먼저 하느님의 현존 안에서 머물러 있는 시간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하느님께 말을 건네기 전에 하느님의 현존 앞에 있는 상태, 즉 지금, 현재의 순간에 깨어있음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이 없이 자신이 하고 싶은 말만 정신없이 늘어놓고 돌아서 가버리는 이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기도한다는 것은 하느님 안에서 쉬는 것이지, 우리가 드린 기도와 희생과 재물로 업적과 공로를 쌓아 그 대가로 하느님이 뭔가를 주셨기 때문에 그 안에서 쉬는 것이 아닙니다. 아버지께서는 자녀들의 필요를 다 아십니다. 우리가 청하기도 전에 무엇이 필요한지 알고 계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마태 6,8) 그래서 우리에게 이렇게 기도하라고 주님의 기도를 가르쳐 주셨습니다. 아버지께서는 아버지의 일을 하십니다. 아버지의 일은 자녀들을 한결같은 사랑으로 돌보아주시는 분이십니다. 그분은 꼭대기에 앉아서 우리가 드린 기도의 지향에 따라 주시는 분이 아니십니다. 그렇게 생각한다면 그 생각은 무지에서 나온 생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분은 우리와 동반하시며 우리와 동행하시고 각자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는 분이십니다. “일용할 양식안에는 우리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너 없는 하느님, 피조물 없는 하느님은 상상할 수 없습니다. 선의 확산은 관계의 질에서 크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관계의 질은 상호적입니다. 우리가 하느님을 믿는 만큼 하느님께서도 우리를 믿어주실까요? 하느님이 우리를 믿는 만큼 우리가 하느님을 믿을까요? 믿음에는 신뢰가 핵심입니다. 신뢰하기 위해서는 정직하고 솔직해야 합니다. 즉 깨끗한 마음이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양심에 불안을 주는 거짓말과 합리화, 탓과 책임회피, 관계 안에서 발생하는 거짓된 얼굴로는 하느님을 마주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기도하는 순간에도 그 얼굴을 가지고 기도하려는 이들이 많습니다. 선의 흐름을 가로막았던 단절의 죄가 대부분 나만 챙기려는 탐욕에서 나왔다는 사실을 잊은 채, 계속해서 뭔가를 달라고만 보채는 아이처럼 그렇게 합니다. 하느님은 그러한 우리의 기도지향에 따라 반응하실까요? 수많은 기도의 지향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기도로 하느님을 끌어내리려는 시도들이 얼마나 많은지, 기도하는 이들의 현주소를 보게 합니다.

 

우리가 기도하고 하느님이 답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기도할 때, 하느님이 이미 답을 주신 것입니다. 하느님을 계속해서 찾고자 하는 갈망과 동기 자체가 이미 주어진 하느님, 주님의 영과 그 영의 거룩한 활동에 대한 감사로 표현되기 때문입니다. 내 안에 계신 주님의 영께서 나의 내면에서 나와 함께 있고자 하는 갈망과 내가 하느님을 찾고자 하는 갈망이 기도로 표현된 것이라는 말입니다. 기도하려는 갈망이 바람처럼 나에게 불어오지 않았다면 기도는 내 마음에 들어서지 못했을 것입니다.

 

우리가 하느님을 갈망하듯이 하느님도 나를 갈망하십니다. 기도는 갈망과 갈망이 만나는 곳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창조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피조물과 더불어 살아가는 현재의 나를 바라보고 전적인 내맡김에 의해 도구적 존재로 살아가는 나를 통해 하느님의 자비와 선하심이 관계 안으로 흘러가는 과정을 바라보는 것이 애초의 기도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느님의 현존은 그렇게 나에게 전달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선의 흐름 안에 있는 나는 그렇게 이미 아버지의 집에 있는 것입니다.

 

하느님과 너와 피조물의 관계 안에 흐르고 있는 선의 흐름이 하느님 나라의 실재를 보여줍니다. 우리가 행하는 선이 하느님 선이 반사되는 거울입니다. 우리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그렇게 참여하면서 선을 공유하고, 또 관계 안에서 상호 간에 내어주는 몸으로 하느님의 선을 반사합니다. 반사된 선을 깊이 바라보는 것, 그것이 관상하는 이들의 기쁨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07 [re] 성령 강림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추모 노무현 전대통령안에 성령이 강림하셨다는 것도 아닌데... 그분에 죽음을 통해 모여드는 사람들안에 분열을 원하시는 분이 아니신 정말 우리 모두가 흑백논리 안... 1 나비 2009.06.02 7256
1206 유익한 글 유기불안을 아십니까? 심리학 정신분석에 '유기불안'이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어린아이가 유년기에 버림을 받을까, 불안에 떨었던 경험을 말하는데 부모에게 버... 소천 2009.06.04 6455
1205 행복 긍정적인 에너지 1) 바쁜 직장인들의 기호식품 중 하나인 커피 이 커피의 효능에 대해서는 언제나 의견이 분분하지만 하루에 커피 3잔 이상은 신경을 날카롭게 ... file 소천 2009.06.04 7857
1204 성령의 역사(役事) 요한복음 저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하느님은 영이십니다. 그러므로 그분을 예배하는 이들은 영과 진리 안에서 예배하여야 합니다”(요한 4,24). 이 구절에 대... 5 고 바오로 2009.06.04 9059
1203 바오로 형제 보시오. 본인도 배울만큼 배운 사람이고, 남을 충분히 존중하는 사람이오나.. 해방신학도 단죄하시고 사제들의 정치적 중립을 강조하는 현 교황 성하의 가르침을 무시하는... 6 요한 2009.06.05 5561
1202 웃어봅시다 도둑의 가계 / 아이디어 유머① The burglar's wife was nagging him for money. &quot;Okay, okay,&quot; he said. &quot;I'll get you some as soon as the bank closes!&quot; 돈타... 새벽편지중에서 2009.06.06 6571
1201 환경의 날이래요.. 오늘은 세계환경의 날입니다. 몇 가지 가볼 만한 사이트를 알려드립니다. 1. UNEP(국제연합환경계획) 한국위원회 http://unep.or.kr/wed/ 2. 뉴욕자연사박물관 기... 알림 2009.06.06 8898
1200 좋은글... 호수 2009.06.06 8013
1199 가렴주구 새벽편지중에서 2009.06.06 7947
1198 [re] 토론을 제안하신 요한 형제님께! 토론을 하자고 제안을 하셨는데, 제안을 받아들이기에 앞서 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습니다. 지난 주일 가회동 성당에서 미사를 봉헌한 이후, 저희 관구 홈페이지에... 4 고 바오로 2009.06.06 8555
1197 고 바오로 선생의 글에 대한 답변서 귀하는 본인에게 4가지의 요구사항을 전달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본인은 이 4가지 요구는 토론의 전제사항이 아닌 토론을 정식으로 수용한 이후에 해결된 ... 3 요한 2009.06.06 5340
1196 모욕에 관한 성 프란치스코의 말씀과 인터넷 문화에 대해 성 프란치스코께서 말씀하셨습니다. &quot;모욕은 모욕을 주는 사람의 잘못이지 당하는 사람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quot; (Et sciant, quod verecundia non... 12 고 바오로 2009.06.07 7642
1195 [re] 존경하는 요한 형제님께! 무엇보다 먼저 정중하게 답변을 주신데 대해 깊이 감사드립니다. 저는 61년생입니다. 문체를 보면, 요한 형제님께서는 연세가 지긋하신 분이신 것 같습니다. 저에... 4 고 바오로 2009.06.07 8241
1194 종교문화간 대화 최근 동영상 사진-독일편 종교문화간 대화 최근 동영상 사진-독일편 -무슬림 크리스챤 대화 모임 독일 본 Evangelical Academy -수도원 사원 문화 기행 가톨릭 작은형제회 수도회 복자 둔... 대화일치영성센터 2009.06.09 7778
1193 [축] 정장표 레오 형제 박사 학위!!! 6월 9일, 16:30분, 예루살렘 작은형제회 성서대학에서 정장표 레오 형제가 시편 109편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그동안 공부 하느라 수고한 레오 형제께 축하... 16 김상원 테오필로 2009.06.10 6553
Board Pagination ‹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