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No Attached Image

✝️ 오늘의 에페소 평화기도 다락방 말씀 기도✝️
2023년 7월 20일 목요일

✝️ 교부들의 말씀 묵상✝️
정녕 내 멍에는 편하고 내 짐은 가볍다.(마태 11,30)

내 짐은 가볍다
주님의 멍에가 편하고 그 짐이 가볍다면, 왜 주님께서는 ‘그 길’을 ‘좁은’ 길이라고 하셨을까요? 게으른 이들에게는 좁은 길입니다. 그러나 열성적인 이들에게 주님의 계명은 가볍습니다. 설사 잠시 동안 육체적 고통이 따른다 해도, 지
금 희망 안에 양육되고 있는 이는 그 고통을 쉽게 견디어 내는 신심 깊은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

-라오디케아의 아폴리나리스-

✝️ 성인 / 영적 글 묵상✝️
50가지 예수 모습 / 안셀름 그륀
47. “나는 나” 예수
스토아 철학 사상을 물려받은 사람은 칼 구스타프 융이다. 융은 예수님이 인류 역사상 자아의 가장 뚜렷한 원형이면서 또한 역사적 인물이라고 생각했다. 팔레스타인 외딴 고을에서 태어난 예수라는 랍비는 가장 뚜렷하게 자아의 원형을 보여줌으로써 많은 사람의 영혼을 사로잡고 짧은 시간에 전 세계를 정복했다.(218)

✝️ 에페소 평화기도 다락방 7월 3주간✝️
금주간 성서읽기 갈라 4-6장 / 필리 1-4장
금주간 생태 행동
<생태 문화 주간>
생태 지향 : 음악/미술/독서 등. 생태 품앗이
개인 혹은 공동체 차원에서 먼저 하루를 정해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

✝️ 목요일 성모님의 날✝️
<파티마의 성모 마리아와 목동 / 세 바르따스>
제 3장과 고통과 기쁨
9월의 발현
한 달에 한 번의 발현만으로는 어쩐지 허전했다. 루치아, 히야친따, 프란치스코는 할 수만 있다면 늘 귀부인과 함께 있고 싶었다. 그들에게는 말씀드리고 싶은 것이 산더미같이 많았던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에게는 근섬 걱정이 끊일 날이 없었기 때운이다. 조롱섞인 비명, 때로는 미움을 담은 말까지 들려 왔다. 아이들은 눈을 감고 그 모든 것을 주님께 바쳤다.
그러나 포르투갈의 국민은 차차로 고바 다 이리아의 발현에 관심을 갖게되었다.
우램의 군수가 취한 방법은 오히려 발현을 본 세 아이들의 거짓 없는 상태를 만인 앞에서 증명한 결과가 되고 말았다. 그리고 군수의 이 태도에 대한 항의로 갑자기 신앙이 현저하게 증진되었을 뿐 아니라 순식간에 “파티마의 성모”라는 명칭으로 발현자께 대한 특별 신심이 팽배하게 되었다. 그리고 군중은 9월 13일을 안타깝게 기다렸다.
이날 이른 아침부터 파티마의 거리는 각종의 탈것들과 보행자로 채워졌다. 대다수는 순례자들이었는데 그 기도하는 태도나 깊은 신심에는 종교에 냉담하던 자들까지 감동하지 않을 수 없었다.
10시에는 후에 축성되어 성지가 된 골짜기가 온통 군중으로 메워져 있었다. 군중은 모자를 벗고 거의 모두가 무릎을 꿇고 열심히 기도하며 묵주를 돌리고 있었다.
루치아는 어떻게 해서 두 사촌을 데리고 고바 다 이리아에 이르렀는지를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다.
길이란 길은 온통 사람으로 메워져 있었습니다. 누구나 우리에게 말을 걸려고 필사적이였습니다. 체면을 차리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고 많은 사람들, 지체 높으신 분들까지도 먼저 사람들 사이를 뚫고 우리 주위에 와서 우리 앞에 끓으며 성모 마리아께 각자의 청원을 전해 달라고 애걸하였습니다. 우리 옆에 가까이 올 수 없는 사람들은 좀 더 잘 보이는 곳이나 높은 담 혹은 나무 위에까지 기어올라가서 큰 소리로 먼 곳에서 부르짖었읍니다.
-병신이 된 내 아이를 하느님의 사랑으로 고쳐 주십사고 성모님께 기도드려 주세요.
-눈먼 아이를 낫게 해주시도록 성모 마리아께 기도해 줘요.
-성모님께 우리 남편이 바른 길로 돌아오게 ...... 기도를 부탁합니다. 등등...
군중들은 불쌍한 인류의 온갖 불행을 우리에게 부탁하려고 와 있었습니다. 우리는 “예”하고 대답하고, 손을 내밀어 우리를 위해 군중을 좌우로 멀어 헤쳐 주는 몇몇 사람의 뒤를 따라 앞으로 나아갔습니다.(106)
----------------------------------
에페소 평화 관상 기도의 집
EMTP(Ecology Maria Theotokos Platform)
✝️ 에페소 평화 관상 기도의 집은 순례와 피정을 통한 에페소 성모님 성지 보존과 중동평화와 생태적 회심을 지향합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말씀 나눔

매일미사 독서와 복음,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글 묵상나눔

  1. No Image 28Jul

    연중 제16주간 금요일

    누구나 오늘 복음을 듣고 나면 하느님의 말씀을 잘 듣고 깨달아 많은 열매를 맺는 사람이 되기를 원할 것입니다. 그러나 경우의 수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말씀을 깨닫기 어려운 경우도 있고 말씀 때문에 박해를 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세상 ...
    Date2023.07.28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명겸요한 Reply0 Views85
    Read More
  2. No Image 28Jul

    연중 16주 금요일-십계명 묵상

    오늘의 탈출기는 십계명입니다. 그런데 묵상하다 보니 한 번도 십계명에 대한 나눔을 한 적이 없었음에 생각이 이르렀고 어찌 이러했을까에도 생각이 이르렀습니다.   죄의식은 있어도 계명에 대해 생각지 않고 싶은 무의식의 발로였습니다. 그렇습니다. 저의 ...
    Date2023.07.28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9 Views671
    Read More
  3. No Image 28Jul

    2023년 7월 28일 금요일 에페소 평화기도 다락방 말씀 기도

    오늘의 에페소 평화기도 다락방 말씀 기도 2023년 7월 28일 금요일 교부들의 말씀 묵상 돌밭에 뿌려진 씨는 이러한 사람이다. 그는 말씀을 들으면 곧 기쁘게 받는다. 그러나 그 사람 안에 뿌리가 없어서 오래가지 못한다. 그래서 말씀 때문에 환난이나 박해가...
    Date2023.07.28 Category말씀나누기 By고도미니코 Reply0 Views97
    Read More
  4. No Image 27Jul

    연중 16주 목요일-허락되지 않은 저들

    어제 “귀 있는 사람은 들어라.”라고 하신 주님께서 오늘은 “너희에게는 하늘나라의 신비를 아는 것이 허락되었지만, 저 사람들에게는 허락되지 않았다.”라고 제자들에게 말씀하십니다.   이 말씀을 액면 그대로 이해하면 하늘나라의 신비를 아는 것이 허락된 ...
    Date2023.07.27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1 Views832
    Read More
  5. No Image 27Jul

    2023년 7월 27일 목요일 에페소 평화기도 다락방 말씀 기도

    오늘의 에페소 평화기도 다락방 말씀 기도 2023년 7월 27일 목요일 교부들의 말씀 묵상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대답하셨다. “너희에게는 하늘 나라의 신비를 아는 것이 허락되었지만, 저 사람들에게는 허락되지 않았다. (마태 13,11) 그러니 더 분명하게 이야기...
    Date2023.07.27 Category말씀나누기 By고도미니코 Reply0 Views103
    Read More
  6. No Image 26Jul

    연중 제16주간 수요일

    사람이 씨를 뿌립니다. 모종을 심는 것이 아니라 그 씨가 어디에 떨어질지 장담하기 어렵습니다. 좋은 땅에 줄을 지어 씨를 놓고 흙으로 덮으면 좋을 것 같은데 이 사람은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씨를 뿌리는 것에만 관심이 있을 뿐 씨가 뿌리를 내려 열매를 ...
    Date2023.07.26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명겸요한 Reply0 Views146
    Read More
  7. No Image 26Jul

    연중 16주 수요일-불평에 대한 성찰

    “이스라엘 자손들의 온 공동체가 광야에서 모세와 아론에게 불평하였다.”   오늘 이스라엘 백성은 모세와 아론에게 불평합니다. 배가 고프기 때문이고, 이집트에선 노예로 살아도 배는 불렀는데 광야에선 배가 고프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스라엘 백성을 보면...
    Date2023.07.26 Category말씀나누기 By김레오나르도 Reply12 Views72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 1321 Next ›
/ 132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