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3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창조를 모르면 아무것도 모릅니다.

 

창조를 모르면 아무것도 모릅니다. 자신을 내어주시는 삼위일체 하느님으로부터 창조가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창조의 아름다움은 개별적으로 아름답기에 아름다움을 지으신 분의 본성을 드러내 줍니다. 서로의 아름다운 얼굴 하나하나에서 복합적인 본성을 알아차립니다. 숲과 계곡, 강과 바다, 살아있는 모든 생태계의 얼굴들이 우리의 얼굴이며 나 또한 그 얼굴의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나의 존재는 창조의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증인으로써 완전한 형제적 평등 위에 그 얼굴을 내보이고 있습니다.

 

인간의 탐욕과 이기심은 이를 독점하고 더 많은 소유를 탐내다가 전쟁을 일으킵니다. 개인과 개인의 차원을 넘어 국가와 국가 간에도 침략 전쟁이 그치지 않는 이유입니다. 사랑은 사랑이 성장할 땅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사랑에 필요한 질서입니다공존을 위한 공정과 정의가 사라지면 모든 관계가 무너지고 맙니다. 무너진 관계에서는 사랑할 수 없습니다.

 

찬미는커녕 비판과 일축, 판단과 분류로 대립을 만들게 되며 대립 관계에서는 폭력이 정당화되고 약육강식의 참담한 결과만 남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사랑이라는 우주적이고 인류의 보편적 언어가 정착할 땅이 사라지게 됩니다. 하느님의 선하심을 공유하는 공유된 선은 개별적으로 존중되고 존중받아야 아름답게 빛납니다. 저마다 제 몫의 삶을 살아가게 만드는 허용하는 자비와 놓아주는 선이 없으면 우리는관계를 회복할 희망이 없습니다.

 

상호존중 안에 모아주시는 성령의 활동이 모든 형태의 화합을 이루게 하는 힘의 원천이며 우리는 여기서 생명의 에너지를 받습니다. 개별적 존재 안에서 일하시는 성령의 활동은 나의 협력을 통해 구체화 됩니다. 내 마음과 정신과 의지와 자유가 영이 머무는 땅입니다. 내 안에 영이 머무시는 자리가 없다면 하느님의 자비를 가로막는 무엇이 있다는 확실한 이유입니다. 숨어서 저지르는 폭력은 이름과 꼬리표를 위해 투자하는 이들의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하느님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성령의 불이 얼어붙은 관계를 녹여주는 온유한 마음입니다. 온유하고 겸손한 마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본성입니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와서 배워라.” 마음은 하느님의 생명력이 인간에게 육화되는 땅입니다. 몸은 여기서 에너지를 받아야 건강을 유지할 수가 있습니다. 인간이 병에 걸리는 이유는 그 에너지를 자신만을 위해 사용하려는 마음에서 나옵니다. 과도한 에너지를 사용하는 현장은 바로 자신의 마음입니다. 자신의 이름과 나라와 뜻을 찾다가 겪는 스트레스로 인하여 병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하느님께 문을 열어놓으면 하느님의 영께서는 즉각적으로 응하십니다. 그 문은 우리가 동의하고 거절하게 하는 그 중추신경 자체를 하느님께 내어 드림으로 열립니다. 즉 나의 자유를 내어 드림으로써 열린다는 말입니다. 의식적인 선택과 선택에 따른 결단, 그리고 결단에 따르는 책임 있는 행동 안에서 영의 활동을 깨닫게 된다는 말입니다.

 

성령에 대해 깨어있는 의식이 성장해서 다른 피조물과 주고받을 때 영의 현존을 느끼게 되고 허용하는 자비와 놓아주는 선을 선택하게 되며 관계가 회복됩니다. 관계가 회복되면 단절되었거나 억압된 상처와 분노가 사라지고 창조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게 됩니다. 창조는 일회적이지 않습니다. 우리 마음 안에, 상호 관계 안에서 계속되는 영의 신비입니다. 그러므로 창조를 모르면 무지의 구름 속에 있는 것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7 삼위일체 하느님의 본성에 참여하는 육화 삼위일체 하느님의 본성에 참여하는 육화   창조는 아버지의 육화 이로써 피조물은 하느님의 善性을 담은 존재가 되었다.   말씀은 예수그리스도의 육... 이마르첼리노M 2020.11.04 387
1266 구름 덮인 하늘 아래 있는 꽃들은 안다. 구름 덮인 하늘 아래 있는 꽃들은 안다.   구름 덮인 하늘 아래 있는 꽃들은 안다. 스스로 꼭대기에 있다고 여기는 사람들은 새로운 것을 더디 배우지만 ... 이마르첼리노M 2020.11.11 387
1265 엠마오로 가는 길에서 엠마오로 가는 길에서   감동한 사람 곁에 감동하는 사람이 있다.   쪼개지는 선 너를 향해 돌아서는 발길 활력과 생동감으로 관계를 밝히는 빛 삶의... 이마르첼리노M 2021.04.14 387
1264 가라지도 자라게 두어라 (공존의 지혜) “가라지도 자라게 두어라” (공존의 지혜)   하느님은 까닭 없이 우리에게 다가오셨고 사랑의 손길을 내밀어 주셨다. 완벽하기만을 기대하고 사는 이들에게는 ... 이마르첼리노M 2021.12.05 387
1263 내면의 실험실 내면의 실험실   배부른 사람들이 이해하는 복음과 배고픈 사람들이 이해하는 복음은 정말 다르다. 성경을 보는 관점이 얼마나 다른가?   “무리바의 ... 이마르첼리노M 2021.08.05 388
1262 이인숙 평론가의 글 "머리와 꼬리를 잘 구별할 줄 알아야" 1998년 브라질 영화 &lt;중앙역&gt;은 대도시 리우 데 자네이루의 중앙역 앞에서 편지를 대필해주는 독신녀와 엄마 잃은 소년이 함께 소년의 아버지를 찾아가는 이야기... 고파울로 2021.08.25 388
1261 지금을 어떻게 살까? 지금을 어떻게 살까?   남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갈망에 깨어있지 못할 때 선함을 가장한 선으로 자신을 증명하기 위하여 다른 사람과 하느님... 이마르첼리노M 2020.02.05 389
1260 칼을 갈아드립니다. 칼을 갈아드립니다.   수도원 현관 앞 두 개의 칼 통 하나는 갈아야 할 칼 또 하나는 갈아놓은 칼   여기저기에서 가져온 칼 요양원에서 수녀원에서 ... 1 이마르첼리노M 2022.02.11 389
1259 결단을 내려라 결단을 내려라   역사의 어둠 속에서 미래를 예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능력과 사람들로부터 받는 인기를 자신을 위해서 사용할 것... 이마르첼리노M 2019.09.20 390
1258 세상을 움직이는 사람들 세상을 움직이는 사람들   계곡의 깊이를 앎으로써 산의 높이를 알 수 있듯이 혼자서 감당하는 좌절과 실의를 앎으로써 여러 사람의 추위를 헤아리게 된... 이마르첼리노M 2019.10.12 390
1257 일용할 양식 일용할 양식     오천 명을 먹인 건 빵만이 아니다. 사랑을 먹어야 배부르다.   떠나는 이에게 찾아온 이에게 만나는 이에게 따뜻하고 부드럽... 이마르첼리노M 2020.12.03 390
1256 밤비 속에서 2013,10,19 밤비 속에서   빗줄기가 세차다. 홀로 일어나 하염없는 빗속에 나를 놓아둔다.   언제나 차고 넘치는 고뇌 열 손가락으로 감아쥐고도 남는 모순 내 남은 고뇌를 ... 2 이마르첼리노M 2022.05.07 390
1255 기쁨은 그리스도의 신비 기쁨은 그리스도의 신비   기쁨은 슬픔과 고통의 땅을 뚫고 나온 싹이다. 가난을 통해 얻은 해방과 겸손을 통해 얻은 연결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얻은 기... 이마르첼리노M 2021.08.17 391
1254 위대한 선생님 위대한 선생님   남자들 대부분이 요구하는 전부는 존중이다. 존중받지 못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면 권위에 대한 상처로 인해 범죄, 경쟁적 탐욕, 병적인 ... 이마르첼리노M 2019.09.27 392
1253 땅에 핀 하늘의 꽃 땅에 핀 하늘의 꽃   땅에 핀 하늘의 꽃 하늘에 핀 땅의 꽃   낙원의 정원의 울타리를 허물고 삶의 영원한 정원을 가꾸는 사람들   부활의 정원... 이마르첼리노M 2020.11.01 392
Board Pagination ‹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