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2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

 

사랑을 맛보고 느낄 수 있는 것은 신학교가 아니라 관계입니다. 하느님과 나 사이에, 너와 나 사이에, 창조된 모든 피조물과 나 사이에 관계성을 잃으면 모든 것을 다 잃어버립니다. 자만심이 무성한 땅에는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 속에서 자아도취와 우월감만 자랄 뿐입니다.


하느님의 에너지는 인간의 노력에 따라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염되는 것입니다. 자신의 표현과 에너지가 죽어 있으면 가르침이 전달되지 않습니다. 선이 흐르는 곳에서 기쁨이 발생하고 기쁨이 있는 곳에 자유가 있으며 기쁨에 찬 가난은 자유 안에서 가장 강렬하게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입니다. 선은 그렇게 자발적이며 확산하는 신비로 드러납니다.

 

믿음과 신앙의 영적 여정에는 계산하는 법이 없습니다. 계산을 하는 것은 아직 자기중심적 울타리에 갇혀 있는 것입니다. 계산을 멈추는 것은 하느님 사랑에 연결되어 있을 때만 가능합니다. 받은 사랑에 응답하는 사람 또한 계산하지 않습니다. 은총의 질서에는 계산하지 않는 하느님이 계십니다. 그분께서는 오직 주시기만 하십니다. 무상으로 내어 주시는 자비 안에서 생명을 얻고 살아가는 이들은 정말로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이며 내가 누구인가에 마음을 집중하면서 기쁨으로 자신을 내어 줍니다. 다시 말해 도구적 존재로 살아가는 이에게는 주님의 영과 그영의 활동이 나를 통해서 관계 안에 흐르게 하는 일이 전부라는 말입니다.

 

우리가 객관적으로 하느님의 자녀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 이미 고향에 돌아온 것이며 우리가 받을 상속은 이미 시간에 앞서서 주어졌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그러면 우리는 꼭대기를 차지하려는 마음과 입증하고 방어하는 대신에 삶을 향유 할 수 있습니다.

 

진리는 믿음 안에 자리 잡습니다. 하느님을 아는 명료함 안에서 개별성의 관점에서 보면 더 이상 하찮은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모든 것이 은총이라는 사실에 직면합니다. 천하다고 여기는 것들을 통해 보물을 발견하는 믿음만이 중요합니다. 하느님의 창조가 태초부터 만물을 성스러운 것과 속된 것의 구분이 없는 은총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입니다.

 

사랑만이 사랑을 알아봅니다. 선의 흐름에 자신을 내어놓는 믿음은 신앙에 대해 말하기 전에 신앙을 관계 안에 정착시킵니다. 관계는 신앙이 태어나고 자라고 열매를 맺는 땅이며 하느님의 현존을 거기서 발견합니다. 그러므로 관계가 단절되면 고립되어 외롭고, 사람에 대한 존중과 자유를 허용하지 않으며 오로지 자기밖에 모르는 사람이 되어갑니다. 그렇게 되면 폭력으로 억압하면서도 그것이 하느님을 위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들은 무지하고 무능하며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인간의 탐욕과 자만심이 만든 왕국, 그 안에서 모든 관계를 자신의 지배하에 두려는 야심만이 남아 하느님의 창조 질서를 어지럽힐 뿐입니다.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에서 해방과 자유를 얻는 길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배웁니다. 꼭대기가 바닥이 되고 바닥이 구원을 얻게 해 주는 역설의 하느님 나라가 육화의 도구로 살아가는 이들을 통해 실현되는 것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2 선교 협동조합(가칭) 네 번째 알림 + 평화와 선   사랑하는 자매형제님들께, 선교협동조합(가칭) 사랑해주시는 형제자매님들께 이 시점에서 다시 보고와 함께 감사드리고 계획도 알려드려야겠... 김레오나르도 2019.06.05 1003
801 신호등 그신호등이  그신호등이고, 맨날보던 똑같은 신호등인데 시간적 여유가 없을때에는  그날따라 신호등이 늦게바뀌고 시간적 여유가 있을때에는 그날따라 신호등이 ... 일어나는불꽃 2016.03.28 1006
800 봄은 어디까지 왔나 봄은 어디까지 왔나   봄은 어디까지 왔나 고로쇠나무 모세혈관 까지   봄은 어디까지 왔나 복수초 노랑 저고리 옷고름까지   봄은 어디까지 ... 이마르첼리노M 2016.03.02 1007
799 대자연의 찬가 “대자연의 찬가”     모든 대자연을 통하여 하느님께서는 찬미를 받으소서.   세상의 모든 대자연은 우리들에게   진리와 지혜와 깨달음을 전해주고 ... 일어나는불꽃 2015.05.21 1010
798 우정이 만드는 행복 우정이 만드는 행복     억새들의 숲 속에 둥지를 튼 새처럼 말의 숲 속에 진실을 숨기는 사람, 말을 겁내지 않고 말의 진실을 다하지 못하는 말의 ... 이마르첼리노M 2016.06.19 1010
797 하느님과의 퍼즐 게임 그리스도인들의 삶은 어쩌면  하느님과 놀이를 하는것과같다. 하느님께서는 맞춰져 있는 그림을 다 흩뜨려 놓으신 다음 그것을 우리에게 주시면서 맞춰보라고 하... 일어나는불꽃 2016.12.30 1011
796 가난한 소망 가난한 소망   삼라만상에게 혈액을 공급하는 창조의 생명력 확충하고 확산하는 선의 신비 수혜자의 기호를 초월하여 주시는 아버지를 떠나서는 어떤 소... 이마르첼리노M 2017.09.25 1011
795 모기스승 3 유기서원자시절. 난 방에서 책을 읽고 있었다. 책 제목은 잘 기억은 나지않지만 책 내용은 이러한 내용이었다.  &quot;프란치스코가 굽비오의 늑대를  만난것은 사납... 일어나는불꽃 2015.10.17 1012
794 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3일차(7/23) ★ 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3일차 ★ * 행진 구간 : 임원해양경비안전센터 ~ 울진핵발전소 * 참여인원 : 19명 * 구간참가자 : 0명 * 도착지 인원 : 16명 * 천사 ... file 김레오나르도 2017.07.24 1014
793 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6일차(7/26) 소성리:범종교인평화미사 + 평화를 빕니다 ★ 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6일차 ★ 성주 소성리 범종교인 평화기도회 참석 * 방문 구간 : 원불교 소성리성지 도착-&gt; 소성리 마을회관 천주... file 김레오나르도 2017.07.27 1015
792 질문과답변 + 그리스도의평화 난 사제아닌 수사로 살면서 가장 많이  듣는 질문이 있는데 그질문이라는 것이  &quot;수사님은 왜 신부님이 안되셨어요?&quot;이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일어나는불꽃 2015.08.30 1016
791 몸살을 앓고 있는 교회 몸살을 앓고 있는 교회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날 없다”는 말이 있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이 취임 후 그분의 파격적 행보를 보며온 세상 선의의 사... file 이종한요한 2017.08.08 1018
790 인간 대란 (大亂) 인간 대란 (大亂)   소득이 증가하면서 늘어난 것 중 첫째가 생활 쓰레기의 폭발적 증가이다. 이것은 경제적으로 살기가 나은 나라일수록 더 심각하고 현실적... 이종한요한 2016.05.14 1021
789 현재의 온도는? 현재의 온도는?   소풍 전날의 마음 소풍 다음날의 심경   변화에 예민하고 슬픔을 잘 타는 기류에 예민한 온도계 같은 취약한 사람의 감정   ... 이마르첼리노M 2017.08.19 1029
788 사람은 사랑의 대상 사람은 사랑의 대상   태초에 하느님은 이렇게 창조 하셨다. 사람은 사랑하고 물건은 사용하라고 재물이 사랑받고 사람이 사용되는 사회 사람을 물건처럼... 이마르첼리노M 2017.02.08 1031
Board Pagination ‹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