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께서 안식일에
한 여인을 치유해 주십니다.
이것을 지켜보던 회당장은
분개하여 군중에게 말합니다.
안식일에는 일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니
안식일에는 치료를 받으러 오지 말라고 합니다.
여인은 치료를 받으러
회당에 온 것이 아닙니다.
그 누구도 치료를 목적으로
회당에 오지 않습니다.
회당은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기 위해 오는 곳입니다.
즉 치유 받은 여인이나
다른 사람들이
회당장의 분노를 들을 이유가 없습니다.
여인은 단지 안식일을 지키려
회당에 왔다가
예수님을 만나 치유를 받았을 뿐
여인의 잘못이 있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회당장은 분개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생각했을 때
안식일에 일어난 치유가 부당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예수님께 직접 여쭈어 보거나
자신의 분노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는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어떻게 보면 그의 행동은 비겁합니다.
자신보다 힘 없는 사람들에게
까닭없이 분노를 터뜨립니다.
예수님과는 대화가 안 될 것이라고
지레 짐작했거나
자신의 논리가 온전히 정확하지 않아서
대중의 반응을 이끌어
그것으로 예수님의 행동을 반대하기 위해
그렇게 행동합니다.
즉 서로 다른 생각을 나누는 대화가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는 방식을 원하기 때문에
그는 예수님과 대화하지 않습니다.
그런 그에게 예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들에게 강요한 회당장은
망신을 당합니다.
그가 예수님과 대화를 시도했다면
결과는 어떠했을까 생각하게 됩니다.
물론 그 과정에서
자신이 잘못 생각하는 것이나
자신이 권력으로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려 했다는 것이
드러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히려 그렇게 드러나면서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는 것이
그에게 더 좋은 결과를 가지고 왔을 것입니다.
적어도 사람들에게
망신을 당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나의 뜻을 고집하고 싶은 순간들이 있습니다.
나의 생각을 나 자신과 같이 생각해서
내 생각이 거부되는 것을
나 자신을 거부하는 것처럼
느끼는 사람도 있습니다.
우선 우리의 대화가
상대방을 거부하고 무시하기 위한 것은
아니라는 믿음이
필요합니다.
그 믿음이 바탕이 될 때
우리는 서로의 다른 생각을 나눌 수 있고
그것으로 더 좋은 일치를
만들어 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