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15. 당신이 살아 있는 동안, 죽음의 중요한 역할을 이해하기

우리가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음의 가능성은 우리와 함께 한다. 어느날 죽음이 우리에게 갑자기 다가올 수도 있고, 더 많은 경우처럼, 죽음은 가볍게 우리 어깨를 두드리며 이제 우리가 떠나야 할 시간임을 알려준다. 우리가 이것을 (머리로서가 아니라) 심도있게 이것을 안다면, 우리는 덜 옹졸해지고 다른 이에게 더 감사하며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당신이 이 도움이 되는 현실을 사교 모임으로 회피한다면, 되돌아오는 것은 전율이나 웃어넘김이나, 더 나쁜 경우라면, 감사의 말 대신 비난하는 말일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서구에서 문화적으로 익숙해진 반응이 된 것 같다.

미카엘 데 몽테뉴는 그의 선택된 수필들(Selected Essays)’에서 아프리카 한 부족에 대해 말한다. 그 부족은 의식(예식) 때 탁자 이에 해골을 놓곤 하였다. 이렇게 한 이유는 사람들이 이 세상에서 그들의 시간이 한정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또한 다른 이와 함께함의 기쁨에 그리고 그들 앞에 있는 음식의 기뻐함에 더 가치를 두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것에 대해 리차드 보드는 자신의 책 처음으로 당신이 작은 배 노 젖기를 해야한다.’ 이런 식으로 표현한다. “내가 죽을 그 날이 다가올 것이다. 그러하기에 나에게 유일하게 중요한 것은 나에게 할당된 시간에 내가 무엇을 할 것인가?’이다. 나는 두려움에 얼어붙어 해변에 그대로 남아 있을 수 있고, 아니면 나의 항해를 시작하고 바람 가운데 떨어지기도 하고 쏫아오르기도 할 수 있다.

아침기도와 저녁기도 때 죽음을 우리 앞에 두는 것과 낮 동안 죽음이 우리와 함께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우리가 적절한 시각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우리가 죽는다는 것과 다른 이들도 그러하다는 것을 깨닫게 될 때, 우리는 덜 비난적이 되고 덜 요구적이 되고 덜 까다롭게 된다. 또한 친절이 우리에게 뿌리내리게 하고 어려운 사람들과도 잘 지내게 한다. 받아들이기 어려운 방어기제들을 사용하는 이들도 자신과 함께 살아야 한다는 사실과 죽음을 자신 앞에 두는 것은 그 순간에 그가 할 수 있는 최상의 것임을 우리는 알게 될 것이다. 우리 앞에 죽음을 두는 것은 많은 것을 바꾼다.

 

첨언) 프란치스코에게 죽음 크게 세 가지로 생각한 것 같습니다. 첫 번째 죽음은 우리가 일상 안에서 주님을 따르기 위한 죽음이고, 두 번째 죽음은 육신의 죽음입니다. 그리고 세 번째 죽음은 영혼의 죽음입니다. 그리고 이것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프란치스코는 덕들에게 바치는 인사에서 덕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의 죽음을 통해서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온 세상 사람 그 누구도 정녕 먼저 자신이 죽지 않으면 여러분 가운데 어느 하나도 가질 수 없습니다.” 자기 죽음이 없는 덕 추구는 보이기 위한 것이고, 우리를 하느님 세계로 다가가지 못하게 합니다. 프란치스코는 덕은 하느님과 함께함 가운데에 형성되는 것이고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간파하였다. “하나의 덕을 거스르는 사람은 하나도 갖지 못하고 모든 덕을 거스르게 됩니다.” 남을 돕는데 자기를 높이려는 마음에 남을 도울 수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 표면적으로 애덕이지만 겸손의 덕은 없습니다. 이는 깊은 측면에서 그는 아무 덕으로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프란치스코가 피조물의 노래(태양 형제의 노래)’에서 사람과 관련하여 이런 말씀을 합니다. “내 주님, 당신 사랑 까닭에 용서하며 병약함과 시련을 견디어 내는 이들을 통하여 찬미받으시옵소서. 평화 안에서 이를 견디는 이들은 복되오니, 지극히 높으신 이여, 당신께 왕관을 받으리로소이다.” 여기서 말하는 용서와 인내는 의 죽음을 통해 하느님의 세계로 나아간 덕들을 말합니다. 프란치스코는 하느님과 함께함이라는 세계 안의 복됨과 영광을 말하고 있습니다.

이 노래에서 이어 프란치스코는 육체의 죽음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일상의 죽음으로 하느님의 덕으로 나아간 이에게 육체적 죽음은 단순히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하느님의 선물입니다. 그러하기에 프란치스코는 육체 죽음을 죽음 자매라고 부를 수 있었습니다. 프란치스코는 일상의 죽음을 살지 못한 이들이 맞이하는 육체의 죽음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불행하옵니다, 죽을 죄를 짓고 죽는 이들이여!” 그리고 일상의 죽음을 살아간 이들에 대해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복되옵니다. 당신의 지극히 거룩한 뜻을 실천하며 죽음을 맞이할 이들이여, 두 번째 죽음이 저를 해치지 못하리이다.”

일상의 죽음과 육체의 죽음과 영혼의 죽음은 따로 떼어져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일상의 죽음을 통해 하느님의 세계로 나아가는 이들은 덕들의 향연을 누릴 것이고, 이 연장선 속에서 다가오는 죽음 자매를 맞이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미 이 세상에서 누리던 그 향연을 죽음 이후에도 이어갈 것입니다. 사랑이신 하느님 안에서...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3 받아들여진 존재와 받아들인 존재는 하나의 몸이다. 받아들여진 존재와 받아들인 존재는 하나의 몸이다.   내가 하느님께 받아들여진 존재가 되는 것과 하느님께서 나에게 받아들여진 존재가 되는 것을 허용할 수 ... 이마르첼리노M 2023.01.25 244
92 우리를 끌어당기는 힘 우리를 끌어 당기는 힘   삼위일체 하느님께서는 자신을 내어주시는 사랑에 기뻐서 어쩔 줄 몰라 행복해하는 이와 더불어 기뻐하십니다. 인간이 드리는 최상의 흠... 이마르첼리노M 2023.08.04 243
91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구원의 실재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구원의 실재   우리는 언제나 자신과 자신이 하는 일에만 관심을 두어 주변에 있는 실제 사실을 보지 못하고 살아갈 때가 많습니다. 무거운... 이마르첼리노M 2024.06.09 240
90 얼굴 얼굴   풍랑이 이는 바다 감출 수 없는 진실   우상 앞에 놓인 제물 단절과 부재의 땅   허물어진 성전 회칠한 무덤 가짜들의 천국 진짜들의 지옥   청옥 빛 눈망... 이마르첼리노M 2023.09.18 240
89 내어주는 만큼 배우는 진리 내어주는 만큼 배우는 진리   삼위일체 하느님은 신적 생명에 참여하도록 우리를 매력으로 끌어들였다. 선과 자비라는 매력에 이끌린 사람은 관계 속에 선을 행... 이마르첼리노M 2022.12.09 240
88 알맞게 창조된 나의 실재 알맞게 창조된 나의 실재   창조된 모든 피조물은 육화된 하느님 현존의 실재다. 우리가 경험하는 하느님은 진리이시며 선하시고 최상의 아름다운 분이시라는 ... 이마르첼리노M 2023.01.28 239
87 3. 밖을 또한 바라보기 3. 밖을 또한 바라보기 우리는 내적 양성의 중요한 목표를 때때로 간과하는데, 그것은 다른 이에게 더 풍요롭고 자유로운 방식으로 열리는 것이다. 우리가 이것을... 김상욱요셉 2023.08.01 236
86 희망을 일깨우는 수난의 사랑 희망을 일깨우는 수난의 사랑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한 육화의 겸손과 수난의 사랑은 성프란치스코를 완전히 사로잡은 하느님의 매력이었습니다. 겸손은 ... 이마르첼리노M 2024.02.26 235
85 6. 숙고하는 영을 성장시키 6. 숙고하는 영을 성장시키기 무엇이 진실로 좋은 것인지를 가려내는 영적식별은 때때로 꽤 쉽다. 상황은 옳은 것을 제시하고 당신은 즉각적으로 무엇을 해야하는... 김상욱요셉 2023.08.19 234
84 7. 영적 치매를 주의하라. 7. 영적 치매를 주의하라 겸손과 같이 일상에서 만나기 쉽지 않은 또 다른 덕은 감사함이다. 감사의 필요함은 신약의 나병환자 열 명 비유 말씀에 강하게 나타난... 김상욱요셉 2023.08.28 233
83 선의 흐름 속에 있는 사람들은 그저 존재함으로써 치유합니다. 선의 흐름 속에 있는 사람들은 그저 존재함으로써 치유합니다.   위대한 사랑은 인간의 자유가 사랑을 위해 쓰일 때 가장 위대합니다. 위대한 고통은 벗을 위해 ... 이마르첼리노M 2023.06.06 233
82 사람이 사람이기를 포기하면 동물의 왕국에서 사는 것입니다. (무죄한 아기들의 순교 축일에) 사람이 사람이기를 포기하면 동물의 왕국에서 사는 것입니다. (무죄한 아기들의 순교 축일에)   사람이 사람이기를 포기하면 동물의 왕국에 살겠다고 선언하는 ... 이마르첼리노M 2023.12.28 232
81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오시리라고 믿는다는 말이 무슨 뜻일까요? 산 이와 죽은 이를 심판하러 오시리라고 믿는다는 말이 무슨 뜻일까요?     우리는 주일과 대축일에 사도신경이라는 신앙고백을 합니다. 신앙고백은 12가지의 믿... 이마르첼리노M 2024.02.11 231
80 우리와 비슷한 사람을 만들자 우리와 비슷한 사람을 만들자   기대감을 포기하면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기대감은 자신이 했던 어떤 행위에 대한 보상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크든 작든 ... 이마르첼리노M 2023.06.25 228
79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 선을 어둡게 하는 헛된 환상   사랑을 맛보고 느낄 수 있는 것은 신학교가 아니라 관계입니다. 하느님과 나 사이에, 너와 나 사이에, 창조된 모든 피조물과 나 ... 이마르첼리노M 2023.09.19 226
Board Pagination ‹ Prev 1 ...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