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58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그리스도의 평화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는 우리에게 "중용"을 가르쳐 준다. 너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것. 그래서 적당하게 살아가는 법

 

을 나무는 우리에게 가르쳐 주는 것이다. 나무가 중용을 가르쳐 주는 것이라고 하는 것은 이런 것이다. 나무가 서 있기 위

 

서는 땅속에 뿌리를 내려야 한다. 그런데 이 뿌리가 땅속 너무 깊이 뿌리를 내리고 뻗어 나간다면 그 나무는 잘 살수 있

 

을지는 몰라도 주변의 다른나무들은 자라나는 데에 방해가 될 것이다. 그래서 뿌리를 내리더라도 너무 깊이 내려서는 안되

 

는 것이다. 어느 정도 적당하게 뿌리를 내려야 하는 것이다. 나무가 뿌리를 너무 깊이 내려 자신은 살아가지만 주변의 다른

 

 나무들이 살아갈수 가 없다면 이는 마치 예수님께서 율법학자들에게 하신 말씀과도 같을 것이다. "불행하여라, 너희 율법

 

교사들아! 너희가 지식의 열쇠를 치워 버리고서, 너희 자신들도 들어가지 않고 또 들어가려는 이들도 막아 버렸기 때문이

 

다."(루카 11,52) 이와같이 너무 깊이 뿌리를 내리게 되면 율법 교사들과 같이 주변의 다른 나무들까지도 조차 살지 못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뿌리가 너무 내리지 않아서도 안될 것이다. 뿌리가 너무 깊이 내리지 않아도 주변의 나무들은 살아가는데

 

에는 피해를 주는것은 없겠지만 그 대신 자신이 튼튼하게 자라나지 못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을 비유로 들어서 얘

 

를 한다면 마치 사도 베드로와도 같다. 사도 베드로는 깊이 뿌리를 내리지 못한 나무였었다. 언젠가 예수님께서 새벽에

 

수위를 걸어오셨을 때 베드로는 예수님께 말하였다. "주님, 주님이시거든 저더러 물위를 걸어오라고 명령하십시오." 예

 

님께서 "오너라". 하시자, 베드로가 배에서 내려 물 위를 걸어 예수님께 갔다. 그러나 거센 바람을 보고서는 그만 두려워

 

다. 그래서 물에 빠져 들기 시작하자, "주님,저를 구해 주십시오."하고 소리를 질렀다. 예수님께서 곧 손을 내밀어 그를

 

붙잡어시고, " 이 믿음이 약한 자야, 왜 의심하였느냐?"하고 말씀하셨다.(마태오14,28-30) 이와같이 사도 베드로는 예수님

 

께에 대한 믿음이 있었다. 아예 없었던 것이 아니었다. 있기는 있었지만 그 믿음의 뿌리가 깊지가 않았던 것이었다. 그래서

 

 사도 베드로는 뿌리가 깊지 않았던 나무였고, 바람이 불어 올때에 얕은 신앙과 믿음의 뿌리탓에 물에 빠지게 되었던 것이

 

다. 

 

 

 

    그래서 나무가 잘자라나기 위해서는 너무 깊이도 아니고, 너무 얕지도 않으면서 적당하게 뿌리를 내리는것 그것이 중요

 

한 것이다. 이렇게 적당하게 뿌리를 내려 잘 자랐던 나무 "중용"을 잘 지키며 살아가셨던 분을 마리아를 예를 들어서도 얘

 

 할수가 있을 것이다. 마리아는 그 뿌리가 너무 깊지도 또한 너무 얕지도 않으셨다. 적당하게 뿌리를 내리셨던 분이었다.

 

 가브리엘 천사가 마리아에게 동정으로 잉태하게 되리라고 말하였을 때에 마리아도 당시 유대인의 여자로서 남자없이 아

 

기를 가진다는 것은 율법에 어긋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렇지만 율법만을 고수하던 당시 지도층과는 달리 율법만을 지

 

키는데에 읆매이지 않았고, 또한 처녀로써 아기를 가진다는 것은 또한 모세율법에 따라 돌에 맞아 죽을 죄라는것을 알면서

 

도 두려움과 겁에 사로 잡히지 않아서 그 중간 중용의 자세를 잘 보여줬던 것이었다. 그래서 마리아는 " 보십시오. 저는 주

 

님의 종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하고 말하였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마리아의 삶은 중용

 

의 길을 걸어간 삶이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한가지 중용의 길을 잘 보여주신분은 두 말할필요도 없이 예수님이시다. 예수님께서는 너무 율법만을 지키지

 

도 않으셨고, 그렇다고 해서 율법을 아예 안지키신분도 아니셨다. 어느 한 쪽으로도 치우치지도 않고 적당하게 율법을 지

 

셨다. 예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내가 율법이나 예언서들을 폐지하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마라. 페지하러 온 것이 아니라

 

히려 완성하러 왔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하늘과 땅이 없어지기 전에는, 모든것이 이루어질 때까지 율법에서

 

자 한 획도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마태오 5, 18)그래서 예수님에게 있어서 중용의 삶이라고 하는 것은 지켜야 할 율법

 

과 하느님관계에서의 사랑 그 사이의 길을 걸으셨다고 할 수가 있는 것이며 그러하기에 예수님께서는 덧붙여 이러한 말씀

 

도 하셨다."사람이 양보다 얼마나 더 귀하냐? 그러니 안식일에 좋은 일은 해도 된다."(마태오 12,12) 

 

 

 

    예수님과 마리아는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와도 같다. 너무 깊이 뿌리내리지도 않고 그렇다고 해서 뿌리가 너무 얕지도

 

아서 적당하게 뿌리를 내린 나무처럼 말이다. 그러한 예수님과 마리아의 삶을 동경했고 또한 철저히 따르고자 했던 성

 

프란치스코도 역시 그의 삶을 보게 되면 중용의 삶이었다고 할 수가 있을 것이다. 당시에는 이단들이 성행하던 시기였다.

 

알비파, 발도파 등등 그들은 오로지 복음적 가난만을 추구한채로 가톨릭 교계를 정면으로 반대했던 이들이었다. 복음적 가

 

난이라는 것에 너무 집착했고, 읆매였고, 너무 붙잡고 있었다. 그래서 그들이 이단이 되었던 이유중 하나였던 것이다. 바로

 

 중용의 길에서 벗어났던 것이었다. 

 

 

 

    그러나 성 프란치스코는 그렇지 않았다. 성 프란치스코도 역시 복음적 가난을 추구했다. 하지만 복음적 가난만을 추구

 

것이 아니라 가톨릭 교계에 대한 순명과 사랑또한 추구했다. 그래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았다. 바로 중용의 길을

 

어간 것이었다. 그 길은 바로 예수님과 마리아가 걸어갔던 바로 그 길이었다. 지금의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있어서

 

가장 필요한 것이 어쩌면 저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처럼 중용의 삶인지도 모른다. 종교인들, 사회인들, 여느 사람들을

 

한번 지켜보면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는 경우가 많다. 가난이면 가난, 정의이면정의, 정치면 정치, 사랑이면 사랑, 신앙이면

 

 신앙 등등 헤아릴 수도 없이 말이다. 그런데 정작 무서운것은 자신이 그렇게 살면서 중용에서 벗어나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다는 것을 모른다는 것이다. 그것이 어쩌면 가장 무서운것인 줄도 모른다. 그러면서 자신은 스스로 의롭다고, 좋은일을

 

한다고 스스로 자부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마치 어느 한쪽으로 뿌리가 너무 깊게 너무 얕게 치우쳐져 있어서 땅에 가려져

 

 보이지가 않아 그 위험성이 드러나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나도 어쩌면 너무 치우쳐져 있는 지도 모른다. 그러기에 더욱더

 

하느님께 청해야 할 것이다. 성 프란치스코가 성 다미아노 십자가 앞에서 바치신 기도처럼 말이다. 

 

 

"지극히 높으시고 영광스러우신 하느님이시여, 제 마음의 어두움을 밝혀 주소서.

 

 주여, 당신의 거룩하고 진실한 뜻을 실행하도록 ,

 

올바른 신앙과 확고한 희망과 완전한 사랑을 주시며

 

지각과 인식을 주소서. 아멘. "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2 수줍음의 美 수줍음의 美 꽃은 스스로의 아름다움을 모르므로 더욱 아름답듯이 행위의 값진 의미를 눈감아 알지 못하는 무심의 경지가 선하다는 의식이 없이 행하는 선으로 ... 1 이마르첼리노 2011.02.18 4122
591 생명의 노래 3 생명의 노래 3 사람은 저마다 추위를 탑니다. 아주 힘겨운 추위도 있습니다. 영혼의 추위를 타는 이들 추위의 다른 이름은 외로움이라고도 하며 공허감이라고도 ... 이마르첼리노 2011.02.15 4129
590 우리 안에 뿌려진 씨앗 우리 안에 뿌려진 씨앗 사람의 관계 속에서 발생되는 모든 어려움들은 하느님과의 관계를 더욱 깊어지게 하는 씨앗들입니다. 하느님의 자비와 선이 드러나게하는... 1 이마르첼리노 2010.12.29 4142
589 쓰나미 쓰나미 땅이 흔들리던 날 삶의 근본도 흔들렸다 무너진 삶 무너진 희망 끝나버린 생명 파도가 삼켜버린 삶의 터전 암흑속의 불바다 갇혀버린 외침 단절의 아픔 ... 1 이마르첼리노 2011.03.15 4142
588 삼월의 달빛 아래 삼월의 달빛 아래 삼월의 달빛이 고요하다 대피소의 밤하늘에 달빛이 울고 있다. 재앙이 몰고 온 슬픔 며칠 동안 잡히지 않는 일손 슬픔의 의자에 깊숙이 앉아 ... 이마르첼리노 2011.03.18 4151
587 에니어그램을 통한 영성체험 2박 3일 에니어그램은 아홉 유형의 인격특성으로 하느님의 아홉 가지의 인간 사랑을 의미한다. 에니어그램은 오래전부터 동방의 종교지도자들에 의해 전승되면서 영적도구... 전.진.상 교육관 2007.06.15 4157
586 울타리가 없는 자유  울타리가 없는 자유   처음 사랑 주면 줄수록 더욱 줄거리를 만들어 내는 마법 같은 사랑   달가운 희사 저심의 축제 숨겨진 잔치  ... 이마르첼리노M 2013.12.04 4172
585 생명은 추위를 탄다 생명은 추위를 탄다. 생명은 춥다 생명에 머물려 하는 모든 진실이 춥다. 사랑도 춥다 하나의 관심 하나의 연민 하나의 축복마다 얼마나 외롭고 목마른 일인가. ... 1 이마르첼리노 2011.03.17 4190
584 살아 숨 쉰다는게 얼마나 좋은 일이요? http://hompy.sayclub.com/mbbbk살아 숨 쉰다는게 얼마나 좋은 일이요? 기분이 좋아 신이나서 딩가딩가 할수있지요. 당신이 좋아하는것 마음대로 볼수있지요. 당... 민병국 2007.02.25 4204
583 문 사람의 문을 두드리시는 하느님 하느님의 문을 두드리는 사람 어느 편에 힘이 실리는 걸까 문이 열려있음을 아는 건 둘 다 사랑이다. 힘을 내려놓는 사랑 소... 이마르첼리노 2011.06.15 4209
582 라 베르나의 성금요일 오후 라 베르나의 성금요일 오후 라 베르나와 골고타 언덕 석양에 물든 십자가 골고타의 예수께서 거기 계셨다. 오후 3시 수난전례 못 박히신 몸에 입을 맞추며 돌아... 이마르첼리노 2011.04.22 4217
581 일상의 거룩함 대부분 사람들은 남보다 잘나보이려 한다. 남보다 부유해지고 싶어 하고, 남보다 더 뛰어난 인물이 되고 싶어 한다. 세속적인 면에서 뿐 아니라, 영적인 영역에서... 김상욱 2007.01.12 4232
580 삶 인생 물질 만능시대에 산다고 하여 재물만 있으면 무엇이던지 다 이룰 수 있다는 사고방식을 가진 자에게는 언젠가는 불행이 돌아오는 것이니라. 금전으로 약은 살 수 ... 미은 2007.07.28 4243
579 살며 생각하며 자신의 죄업을 생각하지 아니하고 남을 원망하지 말아라. 나의 죄업이 없으면 남을 원망하는 마음이 생기지 않느니라. 남을 이기고 산다는 생각을 갖지 말고 최선... 미은 2007.06.30 4255
578 성탄의 밤에 &lt;embed width=&quot;200&quot; height=&quot;30&quot; src=&quot;http://mirunamu.new21.net/bbs/data/mi_song/Various___The_Best_CAROLS_in_the_World_CD1___05._While_shepherds_watche... 이마르첼리노M 2013.12.25 4260
Board Pagination ‹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