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147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두 번째 출입구: 너 자신을 사랑하라.

만약 우리가 정말로 잘 싸우고자 한다면, 우리는 이른 시점부터 다른 이에게 자비롭다는 것이 자기를 무시하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사실 진정한 우정의 긴 여정은 자신과의 좋은 관계를 맺는 것에 달려 있다. 교황 요한 23세가 말했는데, “충만한 사랑의 마음을 가진 이들은 항상 나눌 무언가가 있다.” 이 지혜는 다른 문화들에서도 알려져 있다. 나이지리아 이브 부족에서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주는 것이 마음이고손가락은 움켜잡는 것이 아니라 그냥 가게 하는 것이다.”

당신이 주위의 다른 이를 사랑하지 않으며 하느님을 사랑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오류인 것처럼, 너 자신을 무시하거나 돌보지 않고 하느님과 이웃을 사랑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 더구나 당신이 받은 선물과 그 선물을 만끽하는 것은, 당신이 하느님께 드리는 가장 아름다운 선물 가운데 하나이다. 이 책의 서두에서 소개한 성탄 선물을 받은 작은 소녀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자. 감사함을 가장 잘 표현하는 것은 어떤 모습이겠는가? 그 소녀의 경우, 그 선물에 기뻐하고 그것을 기꺼이 다른 이와 나누는 모습일 것이다. 우리 삶도 비슷하다고 말할 수 있다.

직업적인 조력자와 치료자가 자신의 사도직을 계속 수행하도록 자기 자신을 알고 사랑하고 돌보도록 같은 정보를 공유할 때, 두 번째 출입구는 어렵고 진이 빠지는 상황에서도 어떻게 생동감과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단순하고 효과적인 길잡이를 제공할 것이다. 다음을 기억하라. 관건이 되는 것은 세상이나 우리 일이나 우리 가족이나 심지어 내 자신 안에 있는 어둠의 총계가 아니다. 차이를 만드는 것은 우리가 이 어둠 안에서 어떻게 서 있느냐?’이다.

이것과 어떻게 생동감과 생명력을 유지하는지 아는 것은 우리가 예수님의 가서 그렇게 하라라는 부르심을 크게 다른 방식으로 보도록 할 것이다. 우리 자신을 성공과 실패, 죄책감과 의무에 매이지 않게 하며, 우리가 다른 이를 돕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자기를 더 낫게 변화시키는 개인적 충실성 안에서 나아가도록 한다.

 

첨언) 프란치스코는 중세의 사람이기에 중세 문화의 영향으로 자신을 부정적으로 대함으로 성덕으로 나아가려 하는 움직임을 하였습니다. 그런 문화의 영향으로 프란치스코는 극기와 단식을 종종 하였고 자기 육신의 욕구를 잘 들어주려 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프란치스코는 자신의 욕구를 부정적으로만 보지 않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욕구에 기초하여 이웃과 형제들, 특히 약한 이들을 섬기곤 하였습니다.

하루는 한 형제가 단식을 너무 해서 잠을 자다가 나뒹굴기 시작했습니다. 프란치스코는 그가 배가 고파 아픈 것을 알아차리고, 그에게만 먹을 것을 주지 않고, 다른 모든 형제를 깨워 함께 먹도록 하였습니다. 그 형제가 혼자 먹는 것을 부담스럽게 여길 수 있었고, 또한 다른 형제들이 혼자 단식을 그만두는 그를 비웃을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하였습니다. 프란치스코는 자기의 약함과 그 가운데에 자기가 바라는 것을 바탕삼아 다른 이의 필요에 깨어있었고 그 필요를 채우면서 하느님의 사랑이 육화하도록 하였습니다.

그는 자주 움직이는 형제들이 여행을 하다가 아픈 형제가 생기면 그 형제를 우선적으로 돌보도록 하였습니다. 프란치스코는 수도규칙에 다음과 같이 말한다. “형제들 가운데 누가 병이 나면 다른 형제들은 남이 자기 자신을 돌보아 주기를 바라는 것처럼 그에게 봉사해야 합니다.”

그리고 프란치스코는 권고에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이웃 안에 있는 연약함을 보고, 비슷한 경우에 처해 있을 때 그 이웃으로부터 부축받기를 원하는 것처럼 그 이웃을 부축해 주는 사람은 복됩니다.” 이어 온갖 좋은 것을 주 하느님께 돌려드리는 종은 복됩니다.” 프란치스코에게 돌려드림은 하느님께로 향하는 중요한 단어이었습니다. 그는 주로 하느님께 감사와 찬미를 드리며 모든 것을 통해 하느님께 모든 것을 돌려드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 연장선 속에서 생각해본다면, 이웃의 연약함 속에서 이웃을 경멸하지 않고, 자기가 그 상황에 있을 때 돌봄을 받기를 원하는 식으로 그에게 해주는 것, 이것이 하느님께 모든 것을 돌려드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아마 이 가운데에 하느님 사랑, 이웃 사랑, 자기 사랑이 사랑이신 하느님 안에서 하나로 엮어지며 하느님이 일어나기 때문일 것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7 내어주시는 하느님과 같은 방식이 아닌 사랑은 자기만족으로 끝납니다. 내어주시는 하느님과 같은 방식이 아닌 사랑은 자기만족으로 끝납니다.   삼위일체 하느님에게서 나오는 자비와 선은 자신을 내어주는 존재 방식입니다. 나는 내... 이마르첼리노M 2023.09.29 196
96 온유하고 겸손한 마음을 배우는 학교 (성프란치스코의 축일에) 온유하고 겸손한 마음을 배우는 학교 (성프란치스코의 축일에)   내어 주는 만큼 기쁘고, 내려가고 내려놓을수록 풍요로워지고, 허용하고 놓아줄수록 자유로운 신... 이마르첼리노M 2023.10.04 296
95 11. 당신이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선물들과 성장 경계 발견하 11. 당신이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선물들과 성장 경계 발견하기 한 영적 스승이 제자에게 말했다. “너는 지금의 너로서 거의 완전하다. … 그리고 너는 약간의 성장... 김상욱요셉 2023.10.06 361
94 12. 당신의 경신 의식을 확장하기 12. 당신의 경신 의식(rituals)을 확장하기 이 내적 작업에서 우리가 자신에게 물어볼 필요가 있는 또 다른 중요한 질문이 있다. 그것은 우리 삶에 대한 인식을 ... 김상욱요셉 2023.10.14 257
93 그리스도의 눈으로 구약성서를 읽기 그리스도의 눈으로 구약성서를 읽기   나는 예수 그리스도의 눈으로 구약성서를 읽지 않으면 해석의 오류에 빠질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구약성서에 나... 이마르첼리노M 2023.10.23 298
92 13. 유머가 부드럽게 만드는 자리를 환영하기 13. 유머가 부드럽게 만드는 자리를 환영하기 페넬로페 롤란드스가 편집한 작품 ‘Paris Was Ours’에서, 기고자들은 외국에서 온 작가들이 프랑스에 살 때 만나는 ... 김상욱요셉 2023.10.23 256
91 하느님을 아버지로 아는 사람들 하느님을 아버지로 아는 사람들   믿는 이들의 최종 목표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에 참여하는 신비로 상호 존중과 자유 안에서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입니다. 달... 이마르첼리노M 2023.10.24 221
90 영의 인도를 받지 않으면 영의 인도를 받지 않으면     깨닫기 전에 성서를 읽으면 성서를 통해 나를 보지만 깨달은 후에 성서를 읽으면 성서를 통해 너를 본다.   회개한 이들이 성서를 ... 이마르첼리노M 2023.10.29 492
89 14. 당신 스스로 "작은 규칙"을 세우기 14. 당신 스스로 “작은 규칙”을 세우기 잭 콘필드는 한 영적 스승에 대해 글을 썼다. 그 스승은 자신이 발산하는 아름다운 믿음과 따뜻함에 대해 질문을 받았다. ... 김상욱요셉 2023.10.29 266
88 회개 - 준비하고 깨어있는 자들이 누리는 현재의 행복 회개 - 준비하고 깨어있는 자들이 누리는 현재의 행복   11월에 자주 듣는 말씀은 종말론적인 이야기입니다. 미래에 있을 종말을 염두에 두고 사는 이들에게는 ... 이마르첼리노M 2023.11.02 264
87 회개가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회개가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스스로 회개할 수 있다고 여기는 이들이 보여주는 모습은 하느님에 대한 이미지를 사람의 생각에 가두는 모습입니다. 기도의 ... 이마르첼리노M 2023.11.04 241
86 15. 당신이 살아 있는 동안, 죽음의 중요한 역할을 이해하기 15. 당신이 살아 있는 동안, 죽음의 중요한 역할을 이해하기 우리가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음의 가능성은 우리와 함께 한다. 어느날 죽음이 우리에게 갑자기 다가... 김상욱요셉 2023.11.07 171
85 경험된 지식은 기쁨에 찬 가난과 겸손으로 얻게 됩니다. 경험된 지식은 기쁨에 찬 가난과 겸손으로 얻게됩니다.   가난을 내려가는 일과 내려놓는 일로, 겸손을 허용하는 일과 놓아주는 일이라고 해석하고 있는 내가 객... 이마르첼리노M 2023.11.07 214
84 회개 - 변화의 내적 움직임 회개 - 변화의 내적 움직임   내가 변하면 하느님이 나를 사랑해 주시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사랑을 느끼면 내가 변하게 됩니다.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기에 ... 이마르첼리노M 2023.11.09 140
83 무슨 수를 써서라도… 어떻게 해서라도… 무슨 수를 써서라도… 어떻게 해서라도…   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은 인과 응보적 틀에 묶여 사는 나의 사고와 가치를 드러냅니다. 그런 시각으로... 이마르첼리노M 2023.11.11 310
Board Pagination ‹ Prev 1 ...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