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생명의 물이 흘러가는 강가에 서서 (에제키엘 47,1-9)

 

삼위일체 하느님의 내어주는 사랑이 자비와 선으로 표현된 예수그리스도의 사랑입니다. 그 사랑은 성전 오른편에서 흘러나온 물입니다. 그 물이 닿는 곳마다 생명이 살아 움직입니다. 또한 그 물은 예수님의 옆구리에서 흘러나온 물입니다. 그 물은 낮은 곳으로 흘러갑니다. 자신을 낮추는 가난과 겸손의 땅으로 흘러갑니다. 그러므로 가난과 겸손이 관계 안으로 생명의 물을 흐르게 한다는 말입니다. 도구적 존재로 살아가는 사람은 내려가는 가난과 내려놓는 가난, 허용하는 겸손과 놓아주는 자유로 관계를 구원하시는 하느님의 선에 참여합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우리가 자기 자신과 서로에게 저지른 온갖 것에 대한 진술입니다. 감추어지고 사적이고 비극적인 온갖 아픔을 하나로 모은 실상입니다. 사랑은 언제나 아픔을 동반합니다. 아픔이 없는 사랑도 없고 고통이 따르지 않는 사랑은 없습니다. 아픔과 고통은 슬픔의 원인입니다. 우리가 사랑이라는 명분으로 저지른 슬픔입니다. 십자가의 죽음을 통해 부활하신 그리스도는 만물을 돌보시는 하느님에 의하여 받아들여지고 사랑받고 변형된 온갖 고난의 결과였습니다. 내어주시는 사랑에 내어주는 사랑으로 돌려드린 사랑의 표상이 되었습니다. 사랑한다는 것은, 죽는지도 모르게 죽는 죽음이 과정의 흐름 안에 있다는 말입니다. 애끓는 사랑에는 조건 없이 내어주는 모성의 품이 있습니다. 엄마가 자식을 돌보는 사랑은 자신을 내어주면서 아이의 성장을 돕습니다. 신학적 덕목을 따지지 않아도 사랑이 무엇인지 압니다.

 

우리는 인과응보의 틀에 묶여 하느님께서 나를 사랑하시는 이유가 하느님께 무엇을 드렸기에 사랑하는 줄로 생각했습니다. 내가 선해야 하느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게 아니었습니다. 그분은 당신이 선하시기에 나를 사랑하시는 분이셨고, 죄가 없어야 나를 사랑하시는 분이 아니라 용서하심으로 죄를 무력하게 하셨습니다.

 

사랑은 인간의 자만심에 묶여있는 자유를 풀어줌으로써 인간을 자유롭게 합니다. 사랑은 인간을 위하여 하느님께서 아버지의 일을 하시도록 하느님을 자유롭게 해드려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느님을 졸라댑니다. 수없이 재촉하고 들어주지 않으면 보속이라는 이름으로 자신을 학대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우리의 소망과 상관 없이 자유롭게 당신의 일을 하십니다. 우리가 청하기도 전에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알고 계시며 그때그때 주시는 분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성급함이 그분을 성가시게 해드리고 있다는 사실을 잘 모릅니다. 주님께서 우리의 소망을 들어주실 때까지 우리는 희망을 두고 기다려야 합니다.

 

주님께서는 나를 도구 삼아 당신의 자비를 너에게 흘러가게 함으로써 자신에게 묶여있는 자유를 구원합니다. 자유가 확장되는 곳에 하느님의 현존이 있고 부활하신 주님의 영이 우리와 함께 계십니다. 우리는 우리와 함께 계신 하느님 안에서 누리는 자유로 하느님 나라의 현재로 경험합니다.

 

죄에는 희망이 없습니다. 희망이 없는 사람은 이미 죽은 사람입니다. 죄는 자유를 묶어 놓음으로 선이 흐르지 못하게 합니다. 선의 흐름을 막음으로써 희망을 빼앗아 갑니다. 그러므로 선의 흐름을 막는 단절의 죄는 희망을 인질로 삼아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았습니다. 바오로 사도는 인간은 선을 행하도록 그리스도 예수를 통해 창조되었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에페 2,10) 인간 상호 관계 안에서 행하는 선으로 빼앗긴 희망을 되찾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동안 우리는 우리 편에서만 보아온 하느님을 믿었지, 하느님 편에서 본 인간을 생각조차 하지 못하고 살아왔습니다. 하느님 편에서 우리를 보면 적나라한 우리가 보일 것입니다. 죄가 무엇인지도 모른 채 살고 있는 우리의 실상을 비추는 복음은 영의 활동으로 우리의 눈을 뜨게 하시어 사랑받는 기쁨이 내어주는 기쁨으로, 내어주는 기쁨이 사랑받는 기쁨이 되게 하십니다. 이러한 선의 순환으로 관계를 치유하십니다.

 

예수그리스도의 삶을 배우고 따르려는 우리의 믿음은 행동하는 자비로 표현되어야 하며 우리가 보이는 태도로 우리의 믿음을 드러냅니다. 예수님은 행동하는 자비로 사람들을 대하셨습니다. 예수님으로부터 자비를 입은 사람은 자신을 중심으로 살았던 방식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사람을 대합니다. 나만을 위한 삶에서 너를 포함하는 관계로 변화된 태도를 보이기 시작합니다.

 

하느님의 자비는 갇혀있던 희망을 불러내어 치유하십니다. 하느님과 사람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지고 용감해져서 자신의 허물을 스스로 고백하고, 허다한 죄와 잘못을 저지르며 살고 있는 나에게 얼마나 큰 사랑으로 돌보고 계신지를 깨닫게 하시어 그 기쁨을 온몸으로 표현합니다. 이러한 자신의 변화는 자기가 속한 가정이나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 신선한 느낌을 주어 전염병처럼 퍼져 나갑니다. 이 같은 변화는 치유로 발생하는 기쁨이기에 복음입니다.

 

예수께서는 선한 행실에 대한 보상으로 치유하시는 게 아니라 우리가 보이는 태도에 따라 고쳐주십니다. “네 믿음이 너를 살렸다.” 이러한 치유 이야기는 현재를 살고 있는 비극적인 현실에 관련된 것입니다. 지금 인간들이 겪는 비극적인 상황을 돌보시면서 여전히 십자가에서 사랑은 이런 것이다.”라고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십자가를 바라보아라, “나를 보았으면 아버지를 본 것이다.”

 

거저 받은 사랑에 거저 받은 사랑으로 응답하는 거기에 예수께서 보여주신 수난의 사랑이 있습니다. 누군가를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견디는 사랑과 기다리는 사랑의 표상으로 드러난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깊이 바라보아야 합니다. 광야에서 나무에 매달린 구리 뱀이 이스라엘 백성들을 살렸듯이 구리 뱀으로 상징된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사랑하는 이들에게 구원의 표징이 된 것입니다. 그러나 받았다는 느낌이 없는 신앙은 자신을 우상으로 만듭니다. 우리는 받았기에 내어줍니다. 받지 않으면 아무것도 내어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수께서는 아버지로부터 받은 생명을 우리에게 내어주시면서 사랑이 무엇인가를 보여주셨습니다.

 

그리스도의 수난에 참여하는 사랑은 그분으로부터 배우는 사랑입니다. 완전한 인간으로서 인간의 취약성을 지닌 채 인간의 취약성을 통해 일하십니다. 그분은 인간의 자만심이 얼마나 큰 죄의 뿌리인가를 아셨습니다. 그분은 죄를 모르시는 분이셨지만 우리를 위해 몸값으로 자신의 생명을 내어주심으로 사랑이 무엇인가를 깨닫게 하셨습니다.

 

생명의 물이 흘러가는 유역에 우리의 관계가 놓여 있습니다. 지금 참된 것은, 영원히 참되고 영원한 것은 지금입니다. 상과 벌을 우리의 현재 상황으로 인식한다면 죄는 그 자체가 벌이고 선은 그 자체가 상이 될 것입니다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57 사목과 정치 사목과 정치   사랑이 빠진 사목은 정치다. 사목은 삼위일체의 하느님의 사랑을 전달하기 위하여 하느님의 소통방식인 자기 비움이라는 마음으로 사람들... 이마르첼리노M 2017.10.05 1155
756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진실을 살아가기가 쉽지 않습니다.  내가 지금껏 살아왔던 것들을 포기해야 하며,  아니 포기까지는 아닐지라도,  지금까지의 방식과 다른 삶을 살아야 하기... 김명겸요한 2016.12.15 1156
755 철거작업 오전에 옆마당 풀뽑는 작업을 했다. 군데군데 풀이 나있어서 오전중에 뽑았는데 사방에서 난리가 난 것이었다. 이유는 사람들이 아니라 풀속에 숨어서 살고 있던 ... 일어나는불꽃 2018.05.19 1159
754 후라이팬 후라이 팬   팬들이 모여 진짜 왕을 뽑기로 했다   지방에서 도시에서 외국에서 유명한 팬클럽의 대표들이 모였다   열혈팬 왕팬 극성팬 ... 이마르첼리노M 2017.08.12 1168
753 도둑과손님 몇년전 친정집에 갔을적에 집안에 고양이가들어왔다. 내가 보기에는 명백한  도둑고양이였다. 그러나 어머니께서는  그 고양이가 들어어게끔 문도 열어놓고 밥도... 일어나는불꽃 2015.01.27 1172
752 까치둥지묵상 1    내 방 창문너머에 까치부부 한쌍이 둥지를 만들고 있다. 난 얼마전부터 한쌍의 까치들이 둥지를 짓는 모습들을 지켜보고 관찰하고 있었다. 난 지켜보면 지켜... 일어나는불꽃 2017.02.18 1172
751 추위 속의 사색 추위 속의 사색   혹한의 밤 속살을 파고드는 추위 날개를 웅크리고 떨고 있는 둥지속의 새   사람에게 추위란 신의 제단에 바쳐진 제물   배... 이마르첼리노M 2016.01.21 1180
750 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2일차(7/22) &lt;2017 포르치운쿨라 행진 2일차&gt; 7/22일(토) * 구간 ; 레일바이크승강장 ~임원해양경비안전센터 * 참여인원 ; 34명 * 구간참가자 ;   강릉 애지람 엄삼... file 김레오나르도 2017.07.23 1181
749 겨울 母性 겨울 母性    편지 글 1 가난의 절기는 겨울 옷을 벗은 겨울나무들은 서로를 소유하지 않기에 춥습니다. 새봄의 훈훈함으로 새싹을 기르... 1 이마르첼리노M 2015.12.03 1189
748 하느님 자비에 대한 믿음 하느님 자비에 대한 믿음   믿는다는 것은 하느님이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것을 믿는 것이다. 예수께서는 믿음을 조작하는 아들에 맞서 행동하셨다 해방을... 이마르첼리노M 2017.09.26 1189
747 관점 바꾸기 관점 바꾸기   초록도 고비를 넘겼다 이글거리는 태양이 지지건만 저항도 없이 내어맡겼다 더는 내 디딜 수 없는 가파른 한계점 초록빛깔은 더 이상 초... 이마르첼리노M 2015.08.31 1192
746 겨울의묵상-겨울눈의 지혜- +그리스도의 평화 겨울에  하늘에서   내리는눈들 한송이  작고작은   눈들이지만 그작은  눈속에는   지혜가있어 우리게  삶의지혜   가르쳐주... 일어나는불꽃 2015.02.17 1193
745 성숙한 염원 성숙한 염원 큰 나무에 있어서는 부분이 문제되지 않기에 커다란 뜻과 커다란 사랑에선 지엽이란 스치고 지나가는 것 인간적이며 전인적인 진실의 모든 발성 찾... 이마르첼리노M 2014.09.21 1194
744 프란치스코와그의글2 ⑤ 나환자와 의 만남: 1205년 말 어느 날 프란치스코는 시골길을 가다 나환자를 만났다. 나환자는 프란치스코가 가장 혐오하던 이였다. 그는 나환자들이 있는 곳... 김상욱요셉 2015.08.27 1196
743 부활아침에 쓰는 편지 부활의 아침에 쓰는 편지 새벽의 여명이 열리면서 돌무덤을 열고 나온 빛처럼 나의 눈시울에서 찬연히 피어오르는 한 사람의 모습, 커다랗게 두 팔을 벌리고 그 ... 이마르첼리노M 2016.03.27 1205
Board Pagination ‹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