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한국관구, 프란치스코회, 작은형제회, 성 프란치스코, 아씨시, 프란치스칸, XpressEngine1.7.11, xe stylish

조회 수 3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사랑하는 아들을 먼저 보낸  슬픈 母情

 

1.

속마음을 비추는 벌거벗은 촛불 앞에

미사가 끝난 후 텅 빈 성당의 쓸쓸한 제대 같은 모습처럼

혼자의 고독과 여럿의 고독,

그리고 고독의 단합이 만들어 내는 탄원과 절규,

저항의 날개를 접고 단념의 눈시울을 내리감습니다.

홀로된 자의식 속에서 아들을 떠올리며

아들의 빈자리를 바라볼 때마다

가라앉는 슬픔을 간간이 흔들면서 흐느끼는 모성의 눈물,

걷잡을 수 없이 엄습하는 유실의 위기

 

2.

사람의 심연 속을 살펴봅니다.

쫓아갈수록 놓쳐버리게 되는 존재의 숨바꼭질,

벼랑에서 굽어보는 소름 끼치는 깊이,

헤아릴 길 없는 한없는 미로,

겁나면서 슬프기만 한 칠흑의 어둠에 짓눌려

투신하는 이들을 받아주소서,

끊임없는 목마름과 소리치는 가슴 안의 불무더기,
고단한 사랑의 서러운 눈시울로
갈망과 비탄과 그 나머지 한 가닥 빛을 찾는 신앙
때로는 터져나갈 듯 벅차고,
더러는 너무나 마음이 비어 허적한 그곳에
유일하게 함께 계시면서
집 떠난 작은 아들의 귀환을 기다려 주신 주님의 자비는
사람에게 감사와 감동으로 감격의 전율을 느끼게 하십니다.

 

3.

차가운 밤바람에 섞여 불어오는 텅 빈 공허

그 안에 놓아기르는 야생의 고독

물리고 뜯기고 피 흘리는 영혼

걷잡을 수 없이 다가오는 풀지못할 수수께끼

생명의 애련

살아있는 모든 생명이 애련합니다.

묘하게 아프고 아름다운 감동이 물의 파장처럼 퍼집니다.

풀이 돋아나지 못하는 백사장에서

오직 강물이 적셔 주는 쓸쓸한 위안의 자국을

오래오래 눈여겨보고 있는 사람,

그 한 사람을 찾기까지

닻을 내리지 못한 이름이여!

생명의 시작과 그 끝을 올바로 헤아림은

결코 손쉬운 지혜가 아닙니다.

사람은 홀로의 고립감을 감내하기도,

둘의 상극을 넘어서기도 어렵기만 하고

여기 보태어 여럿의 관계에 알력과 차질을 감당하기란

정녕코 끔찍한 부담이라 할 것입니다.

 

4.

견딤의 극한 한계 안에서도

자비로우신 주께서

우리를 버리지 않으시고

우리와 함께 견디고 계십니다.

 

생명은 추위를 탑니다.

생명은 춥습니다.

생명에 머물려고 하는 모든 진실이 춥습니다.

 

사랑도 춥습니다.

하나의 관심

하나의 연민

하나의 축복마다

얼마나 외롭고 목마른 일인가요.

 

진리도 그렇게 춥습니다.

소금 뿌려진 듯 아픕니다.

절반은 불에 타고

절반은 피 흘리고

마냥 쓰라리기만 합니다.

 

사람의 생명에 따라오는 시린 가슴

지향과 의지로 하여 앓게 되는 상처들,

 

견딤의 용광로에서

제련의 아픔을 겪는 사람들,

어려울수록 성장으로 내달리는

생명의 추위여!

 

스스로 힘을 내려놓는

십자가의 무력함에서

추위를 녹이며

희망을 봅니다.

 

그리 멀지 않는 날

부활하리라고

서비스 선택
<-클릭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자유나눔 게시판

자유롭게 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2 정동 수도원 이야기 (3) 정동 수도원 이야기 (3) 캐나다 형제들이 일본 제국주의 감시의 어려운 여건에서도 한국 관구의 초석을 놓으며 단단한기반을 마련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 이종한요한 2021.11.11 339
141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 오신 하느님 우리들의 관계로 이사 오신 하느님   삼위일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공동체의 신비는 기존의 인식체계를 완전히 바꾸는 재인식을 허용하는 신비입니다. 우리가 처... 이마르첼리노M 2023.07.23 337
140 사도 베드로의 신앙고백과 우리의 믿음 사도 베드로의 신앙고백과 우리의 믿음   “지극히 높으시고 영광스러운 하느님이시여, 내 마음의 어두움을 밝혀주소서 주여! 당신의 거룩하고 진실한 뜻을 실행... 2 이마르첼리노M 2023.04.26 334
139 믿음의 뿌리를 성찰하기 믿음의 뿌리를 성찰하기   믿음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는 것은 세례를 통하여 자신이 얼마나 큰 축복을 받았는지 얼마나 큰 자비의 혼인 잔치에 초대되었... 이마르첼리노M 2020.01.25 334
138 마음의 소금으로 간을 맞춰라 마음의 소금으로 간을 맞춰라   믿음은 옳거나 우월하다는 것을 주장하는 도덕적 경주가 아니다. 잘 보이려고 포장하거나 드러나는 것보다 눈에 띄지 않는 것에 ... 2 이마르첼리노M 2022.02.24 333
137 프란치스칸 회개의 삶 회원피정 시작기도 시작기도 (프란치스칸 회개의 삶 회원피정) 이기남 마르첼리노 마리아 형제 O.F.M. (전주 다가, 익산 창인, 남원형제회 2023, 6,17-18 천호 피정의 집)     언제... 이마르첼리노M 2023.06.09 332
136 사랑 - 처음이자 마지막 언어 사랑 - 처음이자 마지막 언어   하느님에게서 배우는 학교 전부를 내어놓는 가난 한없이 낮추시는 겸손 환대와 소통 자비로운 용서 죽음으로 살리는 법... 이마르첼리노M 2019.12.27 330
135 4. 내적 단순성의 힘 깨닫기 4. 내적 단순성의 힘을 깨닫기 우리는 생애 전반에서 그리고 하루 생활에서도 수많은 활동들을 하고 다방면으로 이끌림을 경험하는데, 그 가운데서 우리 대부분은... 김상욱요셉 2023.08.05 329
134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변화의 길 (2) (1)에서 이어짐 내려가는 길은 아름다운 길이다. 통제와 지배의 자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오르려고만 했던 과정에서 피 흘리는 싸움으로 생명의 에너지를 허... 이마르첼리노M 2021.10.14 328
133 창조를 모르면 아무것도 모릅니다. 창조를 모르면 아무것도 모릅니다.   창조를 모르면 아무것도 모릅니다. 자신을 내어주시는 삼위일체 하느님으로부터 창조가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창조의 아름다... 이마르첼리노M 2023.08.31 327
132 일상의 축복에 반응하는 기도 저는 로버트 제이 윅스의 책, No Problem(문제가 아님을 향해) 을 대충 번역하며, 우리의 영적 여정에 대한 접근을 하고자 합니다. 책의 내용과 함께, 저의 이어... 김상욱요셉 2023.07.10 326
131 어둠 속에 있는 이들과 함께 드리는 새해의 기도 어둠 속에 있는 이들과 함께 드리는 새해의 기도  주여, 나와 함께 하소서   나로 넘치고 나에게 갇혀 부르짖으오니 주여, 나와 함께 하소서   ... 1 이마르첼리노M 2022.01.02 322
130 정체성 정체성   현대의 문명사회는 가공할 만큼 발전을 해왔고 몸서리 칠만큼 변화를 경험하고 있지만 우리의 정체성은 변덕 위에서 춤추고 있다. 이 깨어지기 ... 이마르첼리노M 2020.01.15 322
» 사랑하는 아들을 먼저 보낸 슬픈 母情 사랑하는 아들을 먼저 보낸  슬픈 母情   1. 속마음을 비추는 벌거벗은 촛불 앞에 미사가 끝난 후 텅 빈 성당의 쓸쓸한 제대 같은 모습처럼 혼자의 고독과 여럿... 이마르첼리노M 2024.03.19 321
128 성서에 나오는 부자는 어떤 사람인가? 성서에 나오는 부자는 어떤 사람인가?   예수께서는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기보다 낙타가 바늘귀로 들어가는 편이 훨씬 더 쉬울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1 이마르첼리노M 2022.08.16 321
Board Pagination ‹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01 Next ›
/ 10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